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상호문화주의 관점에서 본 베트남의 문화다양성교육에 대한 연구

        레기영짱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상호문화주의 관점에서 베트남의 문화다양성교육의 특징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현재 베트남 정부가 추구하고 있는 ‘다양성 속에의 통일’을 위한 문화다양성교육의 지원 특징은 무엇이며, 이에 대한 경험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연구문제는 상호문화주의 관점에서 바라본 베트남 문화다양성교육의 특징은 무엇인가로 설정하였다. 1980년대 말부터 노동자와 결혼이주자를 비롯한 이주민들이 다양한 목적으로 한국에 들어오기 시작하였다. 한국통계청에 따르면 2014년에 국내 이민자 수가 한국 전체인구의 약 3%를 차지하며, 그 중 베트남 출신은 두 번째로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한국통계청 2016.4.14.). 또한 1990년대 초부터 맺어온 한국과 베트남 양국의 관계 증진을 위해서는 정치·경제·문화 등 모든 측면에서의 상호협력이 촉진되어야 한다. 하지만 실질적인 상호협력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먼저 베트남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기존의 한국 내 베트남에 관한 연구는 주로 경제·사회적 측면에 집중되었을 뿐만 아니라 깊이 있는 연구가 진행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에 본 연구는 베트남의 문화다양성에 대응하는 교육정책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베트남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질적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1) 전문가 인터뷰, 2) 일반인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4년 11월부터 2016년 3월까지이며, 베트남 문화·교육 전문가 6명의 연구참여자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통해서 베트남 문화다양성교육의 특징과 과정을 살펴보았다. 전문가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분석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베트남에서 교육받은 6명의 일반인 연구참여자와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인터뷰에서는 베트남 교육경험자들의 문화다양성교육에 관한 경험의 의미를 상호문화주의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베트남 문화·교육 전문가의 경험에서 나타난 문화다양성교육지원을 위한 과정은 총 6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베트남에서 문화다양성교육을 위한 지원정책은 문화전문가들의 활동을 토대로 한다. 둘째, 베트남의 문화다양성정책 수립의 과정은 현장성과 전문성 그리고 체계성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정책 수립과정의 체계에서 벗어나거나 정치적 혹은 경제적 입장에 따라서 전문가들의 제안은 수용되지 않을 수 있다. 넷째, 베트남 문화전문가들이 인식한 문화요소는 언어와 역사, 문화공간, 생활문화, 풍습과 종교, 전통예술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섯째, 베트남 문화전문가들의 활동에 기반한 문화다양성교육을 위한 노력은 세계적인 주목과 호평을 받는다. 여섯째, 베트남 문화다양성교육에 대한 대외적인 호평과 달리 내부적으로는 부정적인 평가가 있다. 또한 베트남 교육경험자인 일반인 연구참여자를 통해 문화다양성교육에 대한 경험과 의미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일반인 참여자들은 보통 교육을 통해 소수민족의 다양한 문화적 특성을 ‘나와 다른’ 것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둘째, 참여자들은 보통교육을 벗어난 개인적인 경험 속에서 자신의 관점을 규정하고, 보통교육을 통해 이해한 것을 보완하거나 보충하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셋째, 보통교육 이후 참여자들은 진로 진학과 관련하여 생활범위의 확장을 경험하였다. 넷째, 베트남 일반인 참여자들이 전문가들이 제시한 문화다양성 요소를 인식하는 수준은 개인적인 측면에서 그리고 요소별로 차이가 있다. 다섯째, 참여자들은 소수민족의 언어, 문화공간, 종교, 전통예술 등의 문화다양성에 대해 무관심하거나, 적극적인 관심을 나타냈다. 여섯째, 앞서 넷째와 다섯째에서 제시한 결과는 전문가 인터뷰의 결과와 유사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일반인의 문화다양성교육 경험은 ‘개인적 경험에 따른 보통교육의 발전적 이해’로 의미화 하였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의 문화다양성교육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바를 다섯 가지로 제안하였다. 또한 한국사회의 다문화교육에 유의하다고 판단되는 시사점을 여섯 가지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베트남 문화다양성교육의 특징을 살펴봄에 있어 소수민족 출신 교육경험자에 대한 심층인터뷰가 이워지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 이후 한국사회의 다문화교육과 베트남의 문화다양성교육의 발전에 좀 더 의미가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서, 소수민족 출신 교육경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성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