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榮山江 集水域에서 森林과 水生植物의 分布 및 河川 水質과의 關係

        김하송 木浦大學校 大學院 1996 국내박사

        RANK : 247631

        本 硏究는 榮山江 集水域에서 삼림식생과 수생식물을 대상으로 식물군락을 분류하여 이 지역의 식생분포를 파악하고, 주요 하천별 수질의 이화학적 특성, 集水城의 면적, 토지이용현항 및 오염부하량을 조사하여 식생분포와 수질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榮山江 集水城의 삼림군락은 호랑가시나무-마삭줄, 굴참나무-졸참나무, 신갈나무, 소나무-억새, 비자나무-송악, 곰솔, 편백나무, 밤나무, 삼나무, 리기다소나무, 일본잎갈나무 및 왕대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수생식물상은 總 30과 79종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중 미기록종은 Paspalum distichum L., 감소추세종은 통발과 자라풀, 멸종위기종으로는 순채와 가시연꽃이 확인되었다. 수생식물群落은 검정말-붕어마름, 대가래, 물별이끼, 가시연꽃-수련, 자라풀, 노랑어리연꽃, 순채, 마름, 갯버들, 물억새, 줄, 고마리, 갈대, 달뿌리풀, 연꽃, 부들, 세모고랭이, Paspalum distichum, 큰 고랭이-좀개구리밥, 물개구리밥, 좀개구리밥 및 생이가래群落으로 分類되였다. 현존식생도는 소나무, 곰솔, 신갈나무, Quercus林, Pinus-Quercus混生林, 리기다소나무, 왕대, 편백나무, 밤나무 및 앞갈나무群落과 주거지역, 논밭경작지역, 강 (습지)지역으로 구분하여 13개 단위로 작성하였다. 榮山江 集水域의 15개 주요 하천에서 수계의 pH, E.C., 탁도, DO,BOD,COD,SS,T-P및 T-N을 비교한 결과, 榮山江 상류에 위치한 오례천과 중암천의 수질은 생활하수의 유입이 많은 광주천과 풍영정천 그리고 농경지로 부터 유입수가 많은 함평천, 삼포천 및 영암천에 비하여 훨씬 양호하였다. 각 하천별 集水域의 토지이용현황과 汚染負荷量은 광주천이 주거지 면적이 넓어 유사한 集水域 면적을 갖고 있는 삼포천보다 24배 높았다. 황룡강과 지석강은 汚染負荷量이 많지만 集水域 내의 삼림이 차지하는 비율이 60%이상으로 높아 T-N과 T-P가 낮았다. 특히 T-N과 T-P는 集水域 삼림면적과 주거지면적에 따라 밀접한 관련을 보여 1%의 수준에서 유의성을 나타냈다. 주요 하천의 토지이용에 따른 식생분포의 특징은 集水域의 삼림면적이 많은 오례천, 황룡강, 지석천 및 중암천이 검정말-붕어마름, 대가래 및 노랑어리연꽃群落으로, 농경지면적이 많은 삼포천, 영산천, 함평천 및 문평천이 즐, Paspalum distichum 및 좀개구리밥群落으로, 가축 사육이 많은 만봉천이 줄群落으로 우점하였다. 榮山江 본류의 수생식물군락 분포는 상류지역에 고마리-달뿌리풀-물억새群落이, 중상류지역에 검정말-붕어마름-자라풀-Paspalum distichum-줄群落이, 중상류지역의 오염된 광주천에 물피, 여뀌 및 부들이, 중류지역에 자라풀-마름-Paspalum distichum群落이, 하류지역에 갈대群落이 형성되어 있었다. 종 다양도 지수는 상류지역, 하류지역 및 광주천에서 낮고, 중상류지역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각 군락별 수생식물 현존량은 달뿌리풀군락이 1,434g/㎡으로, 하류로 내려 갈 수록 낮고, 물피와 부들군락은 광주천에서 높아지며, 갈대군락은 하류로 갈 수록 증가하였다. 수생식물의 현존량은 동일한 종일 경우, T-N과 T-P가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여 T-N과 T-P가 높은 광주천이 담양군 주변 하천보다 부들, 여뀌 및 물피가 20-36% 많았다. 따라서 수생식물의 군락분포, 종 다양도 및 현존량은 하천의 수질 환경요인과 관련되었다. These studies had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vegetation for forests and wetland plants,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water quality, land use and amount of pollutant loadings were determined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on of vegetation and water quality in the watershed of Youngsan River from Apr.1992 to Nov.1995. The forest plants were classified into 12 communites including Ilex comuta-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Quercus variablilis-Quercus serrata, Quercus mongolic community etc. Hydrophytes were composed of 30 families 79 species. Hydrophytes communites were classified into 23 communites including Trapa japonica, Hydrilla verticillata-Ceratophyllum demersum, Potamogeton malaianus var. latifolius, Callitriche verna, Euryale ferox-Mympharea tetragona var. angusta, Hydrocharis dubia community etc. Among hydrophytes, occurred in these areas, threatended species were Utricularia japonica and Htdrocharis dubia, endangered species were Brasenia schreberi and Euryale ferox, and unrecorded species is Paspalum distichum L., Pollutant loading of Kwangju chon was 24 fold higher than Sampo chon which has similar areas of watershed. Whangryong River and Jiseok chon had much more amount of pollutant loading, but the areas of forest were much wider 379 k㎡ and 442㎢, respectively therefore, the quantity of water is a little much on community, low contents of T-N and T-P contents of T-N and T-P had significant relation to the 1% of the level for the areas of forest and residence. Water quality of the stream appears to be directly correlated with the distribution of vegetation. Hydrilla verticilla-Ceratophyllum demersum, Potamogeton malaianus var. latifolius and Nymphoides peltata communities were dominant at the O-lye chon, Whangryong river, Jiseok chon and Jungam chon, Whereas Miscanthus sacchariflorus and Paspalum distichum and Lemna paucicostata communities at the Sampo chon, Youngsan chon, Hampyeong chon and Munpyeng chon with broader farm land, community at the Manbong chon with high breeding cattle. In the hydrophytes, the biomass of Zizania latifolia community was the highest 3,204 g/㎡, in the polluted Kwangju chon and the biomasses of Typha orientalis, Persicaria hydropiper and Echinochola crus-galli var. oryzicola at non-polluted stream of Damyang-gun appeared as the 20-36%. Thus, adaptability of these plants able to adapted to polluted stream and absorbed nutrients. The communities of hydrophyte showed different distribution along the stream. Persicari thunbergii, Phragmites japonica and Miscanthus saccharifolia occurred in the upper stream, Trapa japonica-Hydrilla verticillata, Hydrocharis dubia, Paspalum distichum and Zizonia latifolia occurred in the middle upper stream, Echinochola crus-galli var. oryzicola, Persicaria hydropiper and Typha orientalis occurred in the polluted sites, Hydrocharis dubia, Trapa japonica, Paspalum distichum occurred in the middle stream and Phragmites communis occurred in the down stream. The diversity indices were lower in the upper stream, down stream and Kwangju chon, while it was higher in the mid upper stream. The biomass of hydrophytes were also changed along the river: Phragmites japonica community was deereased while Echinochola crus-galli var. oryzicola, Persicaria hydropiper and Phragmites comminis were increased from upstream to downstream, Echinochola crus-galli var. oryzicola, Persicaria hydropoper and Typha orientalis were attained a maximum at wetland Kwangju chon and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was increased to the down stream.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distribution of communities, diversity of species and biomass of hydrophyte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water quality of the riv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