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예지 졸업 공연 "We are not different"

        김예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실용음악학과 석사과정의 이수를 위한 졸업 공연 "We are not different"에서 발표된 자작곡들의 내용을 분석한 논문이다. 본 논문은 대학원에서 습득한 음악 이론 및 작곡 기법, 편곡 기법 등의 지식을 바탕으로 공연 곡의 악곡 형식, 악기 편성, 음악적 특징 등 각 작품에 대한 주제와 내용에 대한 설명 및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공연은 "We are not different"라는 주제로, 공연의 네 번째 연주 곡으로 지정한 작품이기도 하다. 한 개인의 관점에서 특정 상황이나 사물을 사유(思惟)한 경험이, 넓은 관점에서는 그 사람에게만 경험해 본 일이 아니라 타자(他者) 역시 그의 삶의 시각에서 비슷한 경험이 있고, 비슷한 생각을 해봤을 것이라고 생각 한 부분에서 출발하였다. 또 한 바로 그 지점에서 동병-상련(同病相憐)의 마음을 느낌으로, 한 개인이 위로를 얻는다는 주제를 담고 싶었다. 모든 곡 들은 일상에서 바라본 관찰과 시선에 주목해서 작업했다. 졸업 작품은 총 6곡의 자작 곡으로 구성되어있다. 본 논문을 통하여 공연의 내용이 상세히 전달되고 공연의 기획 및 의도가 잘 전달되기를 바란다.

      • 영어 사역구문에 관한 연구 : 제약기반문법을 중심으로

        김예지 강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영어를 포함한 모든 자연언어의 문장은 그 구조가 단순하거나 복잡할 수 있다. 문장이 단순히 하나의 핵심이 되는 어휘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그 구조는 비교적 단순하다. 반면에 하나의 문장 안에 핵심이 되는 어휘가 두 개 이상 존재하여 하위절(embedded clause)을 그 내부에 포함하는 상위절(matrix clause)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문장은 그 구조가 예상보다 훨씬 더 복잡하다. 이러한 다양한 보문구조(complement structure)를 가진 문장의 상위절과 하위절을 연계하여 그 전체구조를 기술하는 방법은 그리 간단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보문구조는 어떠한 문법이론이라도 반드시 기술해야 하는 언어의 주요한 현상으로 여겨져 왔다. 대개 보문구조의 대표적인 유형은 통제구문(control construction)과 인상구문(raising construction)으로 대표된다. 이 두 구문 중 통제구문에 해당하는 사역구문(causative construction) 또한 그 간의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어 왔다. 본 논문의 대상은 바로 이러한 복잡한 보문구조를 가진 사역구문과 그 문장의 핵심이 되는 어휘인 사역동사들과 관련된 문법적 현상들이다. 사역구문에 대한 기존의 논의는 Lakoff(1965, 1966, 1967), Rosenbaum(1967), Ross(1967), McCawley(1968), Kiparsky and Kiparsky(1968), Postal(1969), Geis(1970, 1973), Jackendoff(1972), Chomsky(1980), 안승신(1986), Pollard & Sag(1994), Sag, Wasaw, and Benders(2003), 조세연(2009) 등이 있다. 더불어 본 논문의 연구대상은 영어의 전형적인 사역동사인 cause, make, have, get 으로 한정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영어 사역구문의 특성을 통사적, 의미적, 화용적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형식화하기 위하여 제약기반(constraint-based)문법 이론에 입각한 어휘유형 계층체계(lexical type hierarchy)와 어휘목록(lexical entry)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Ⅱ장에서는 그간의 사역구문에 관한 연구가 중심이 되었던 목적어 통제동사(object control verbs)가 어떻게 구성되느냐 보다는 Geis가 주장한 다양한 특성을 살피고 그것을 어떻게 분석했는냐에 대해 최근 분석들을 살펴본다. Ⅲ장에서는 제약기반문법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영어 사역구문에 대해 분석한다. Ⅲ장의 1에서는 이 논문의 논지를 이끌어 가기 위한 이론적 토대로 사용되는 핵어중심 구구조문법(HPSG)을 간략히 소개하고 HPSG를 기술하는데 사용되는 기제로써 원리와 규칙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 Ⅲ장의 2에서는 조세연(2009)에서 Geis가 제시한 사역동사의 다섯 가지의 특질을 HPSG에 의해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제시한다. Ⅳ장에서는 제약기반문법 이론에 의한 영어 사역동사의 어휘를 분석하기 위해 영어 사역구문의 특질을 통사적 특질과 의미적 특 질로 나누어 설명한다. Ⅳ장의 1에서는 영어 사역구문에 주로 사용되는 사역동사 cause, make, have, get의 분포적 양태를 살펴 각각의 개별적 특성을 파악하고 통사적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한다. 그리고 모든 사역구문에 존재하는 의미적 인과 관계를 설정하고 기존에 논의되어왔던 사역구문에 대한 의미적 분석들을 통해 사역동사들의 의미적 속성과 차이점을 Ⅳ장의 2에서 설명한다. 사역구문에 대한 총체적이고 효과적인 분석을 위해 조세연(2009)을 바탕으로 사역동사 어휘소의 어휘목록에 통사정보와 더불어 의미정보를 상세하게 명시한 새로운 어휘목록을 제안한다. Ⅳ장의 3에서는 사역구문들의 구조를 HPSG(2003)에 기초한 수형도로 나타내어 이 논문에서 제안한 어휘목록의 어휘제약에 따라 통사정보와 의미정보가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본 논문의 내용들을 종합 정리하여 결론을 내리고 이 논문이 제안한 분석의 장단점 및 앞으로의 연구과제들을 제시한다. This thesis attempted to explain, within the framework of the constraint-based theory, the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properties of English causative verb constructions. Among English causative verbs, it focused on cause, make, have, and get. Early theses on various properties of English causative constructions employed, under the Generative Semantics framework, transformational rules, which assume underlying structures for causative constructions. Geis (1973) provided idiosyncratic properties of English causative constructions by giving various data and proposed some transformational rules such as the Agent Creation rule and rule ordering, to account for the syntactic and semantic aspects of causative verbs. In contrast, Cho (2009) took, as its theoretical framework, Head-driven Phrase Structure Grammar (HPSG) under a constraint-based analysis and proposed a few lexical constraints in order to explain the properties of English causative constructions provided by Geis. This thesis fully adopted the points of Cho's argument, and then not only examined the syntactic properties of each causative verb more specifically, but also represented the semantic and pragmatic properties in terms of the lexical constraints proposed by Cho and existing grammatical tools in HPSG. To describe the syntactic properties of English causative constructions, this thesis examined the syntactic distributional behaviors of causative verbs such as cause, make, have, and get and specified the lexical entries of them. Although these causative verbs belong to the same category, causative-verb-lexeme (causv-lxm) in the lexical hierarchy Cho presented, each verb exhibits syntactically idiosyncratic properties. On this basis, this thesis describes the syntactic information of each causative verb by specifying each relevant lexical entry. Also, with respect to semantic and pragmatic properties of English causative constructions, this thesis explains the relation between cause and effect of causative constructions and examines the semantic and pragmatic properties of each causative verb. In considering the meanings of causative constructions, this thesis explains the semantic and pragmatic information of causative constructions by describing the semantic part of lexical entries Cho provided in much more detail and by specifying the pragmatic part of lexical entries. This results in an integrated analysis of English causative constructions covering all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aspects. Finally, this thesis gives some examples and tree diagrams based on HPSG(2003). By applying the rules and principles of HPSG, this thesis accounts for how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information of a causative verb interacts systematically in a causative sentence. This thesis has four strong points. First, by giving a few lexical constraints this thesis refrains from generating abundant grammar rules. Second, it classifies verb types more specifically by adopting the lexical hierarchy Cho presented and adding some causative verbs to causv-lxm. Third, in describing lexical information of a causative verb, it includes the pragmatic information which relates to some contextual or situational meanings as well as the semantic information which relates to the literal meaning. Finally, it describes the relevant lexical information effectively since it specifies all the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information of a causative verb within the well organized lexicon of HPSG (2003).

      • 상상의 이미지를 투영한 유희적 표현

        김예지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유희는 인간 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있는 기본적이고 보편적인 정신요소 중의 하나로, 원초적인 흔적은 어린아이들의 ‘놀이’에서 찾을 수 있다. 이는, 인간의 본성 중에는 즐거움을 찾으려는 유희의 정서가 크게 내재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인간은 어릴 적부터 무의식적으로 유희를 추구해 왔음을 방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유희의 즐거움을 삶의 가장 큰 목표로 삼고 있으며, 유희의 감정이 본인의 행복과 직결된다고 여기고 있다. 이에 따라 지루할 수도 있는 삶에서 즐거움을 만끽하기 위해 ‘상상’이라는 정신 활동을 수시로 활용하며 지낸다. 본 연구자에게 있어서 ‘상상하는 것’은 평범할 수도 있는 일상을 좀 더 재미있고 흥미롭게 보내기 위한 습관 중의 하나이며, 이는 곧 유희적인 요소로 작용하는 ‘놀이’의 한 종류라고 할 수 있다. 상상은 현실 세계에서 이루어낼 수 없는 소소한 욕망을 실현시켜 주고, 자유로움과 즐거움을 만끽하게 해준다. 또한 이러한 상상 속 이미지들을 가치 있는 조형으로 표현하는 것은 또 다른 창조의 유희를 만끽하게 해주며, 이는 즐거움을 배가시키고 가장 순수하고 자유로운 ‘나’를 마주하게 해준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상상’을 활용하여 유니크하고 재미있는 캐릭터 오브제를 제작함으로써 사람들에게 무궁무진한 상상의 즐거움을 선사하고자 하였다. 작품들은 시즌 1과 시즌 2로 나누어 각각 스토리를 구성하였으며 시즌 1에서는 6개의 작품을 시리즈로, 시즌 2에서는 4개의 작품을 시리즈로 제작하였다. 첫 번째 시즌은 ‘Welcome to my world’라는 제목으로서, 본인의 상상 속에 등장하는 6종의 캐릭터를 작품으로 제작한 것이고, 두 번째 시즌은 ‘Hello my moldy friends’라는 제목으로서, 지하 세계에 살고 있는 4종류의 곰팡이들을 상상하며 작품을 제작한 것이다. 상상의 세계를 표현한 본 연구 작품들이 즐거움과 긍정적인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한 매개체로서, 관조자들에게 독특한 즐거움이 있는 환상적 상상의 세계를 선사할 뿐만 아니라, 각자의 순수하고 즐거웠던 순간의 감정들을 떠올리며 소소하고도 묘한 웃음을 지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기를 기대해 본다. Amusement is a fundamental and universal psychological element that is inherent to human life, and the primitive form of amusement can be found in children’s ‘play’. In other words, seeking amusement is part of human nature and we unconsciously and constantly seek to have fun. As the author of this research, I consider the fun of amusement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goals in life, and believe that emotions associated with amusement are directly related to personal happiness. ‘Imagination’ as a mental activity is a useful tool for me to have fun in a life that otherwise can be mundane and routine. ‘The act of imagining’ is one of my habits to make ordinary everyday life more fun and interesting, and it is also a form of play that serves as a amusing element. Imagination allows me to realize whimsical desires that cannot be indulged in reality and to feel free and pleasure. Expressing these images from my imagination in art forms is a way of increasing the pleasure of creation, which provides more fun and lets me discover ‘myself’ as an innocent and free-thinking individual. In this paper, ‘imagination’ is used as a tool to create unique and fun character objects, thereby sharing the fun of unlimited imagination with others. These works are combined to make stories in two seasons. Season 1 is made up of 6 works and Season 2 consists of 4 works. The title of Season 1 is “Welcome to My World” in which 6 kinds of character from my imagination make a full story. Season 2, “Hello, My Moldy Friends” is a story based on my imagination of 4 different kinds of fungus growing in the underground world. The works in this research that expresses the world of my imagination are expected to serve as a medium for delivering fun and positive energy, usher viewers in the fantastic world of imagination and unique fun, and remind them of the feelings they had in their blissful innocence, giving them oddly-pleasing and satisfying smiles and giggles.

      •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대인관계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효과

        김예지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대인관계유능성 :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효과 김예지 동신대학교 대학원 상담심리학과 (지도교수 송 연 주)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세 가지 하위요인(완벽주의적 자기노력, 불완전함 은폐노력-행동적, 불완전함 은폐노력-언어적)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를 확인하고,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세 가지 하위요인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한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G시 및 J지역에 소재한 대학교의 남·여 대학생 513명을 대상으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대인관계유능성, 자기개념명확성 척도를 실시한 후, 수집된 자료는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 변인들 간 관련성을 분석하고, Baron과 Kenny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Sobel 검증을 통해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세 가지 하위요인과 대인관계 유능성, 자기개념명확성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완벽주의적 자기노력과 대인관계유능성은 정적상관을 나타냈고, 불완전함 은폐노력-언어적은 대인관계유능성과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반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총합과 불완전함 은폐노력-행동적은 대인관계유능성과의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총점 및 3개 하위요인은 모두 자기개념명확성과 부적상관을 나타냈고, 대인관계유능성과 자기개념명확성은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이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완벽주의적 자기노력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완전함 은폐노력-언어적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에서는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총합과 불완전함 은폐노력-행동적은 대인관계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완벽주의적 자기제시는 타인에게 극단적으로 완벽한 인상을 주기 위해 과도한 노력을 할 뿐 타인과 효과적으로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능력에는 영향을 주지 않음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요 용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완벽주의적 자기노력, 불완전함 은폐노력-행동적, 불완전함 은폐노력-언어적, 대인관계유능성, 자기개념명확성 Abstract College Student's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Kim Ye Ji Counseling Psychology The Graduate School Dongshin University (Direct by Professor Song Yeon j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three factors of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Perfectionistic Self Promotion, Nondisplay of Imperfection, Nondisclosure of Imperfectio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on the previous relationship. To conduct this study, questionnaires on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elf-concept clarity were administered to 513 college students in G city and J province.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SPS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proposed by Baron & Kenny(1996), Sobel test(Sobel, 1982) to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three factors of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prove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Perfectionistic self promotion turned out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rpersonal competence, while nondisclosure of imperfec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he other hand, the correlation between total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and nondisplay of imperfection did not prove to be significant. Total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and three factor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concept clarity, whil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elf-concept clari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elf-concept clarity appeared to play the role as a partial mediator between perfectionistic self promo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elf-concept clarity has been shown to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ondisclosure of imperfec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However, total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and nondisplay of imperfection were found not to mediate the influence of self-concept clarity on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only means a heroic effort to give a perfect impression to others, although it does not contribute to forming and maintaining the relationships with others eff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 words: Perfectionist Self Presentation, Perfectionistic Self Promotion, Nondisplay of Imperfecion, Nondisclosure of Inperfection, Interpersonal Competence, Self-Concept Clarity

      •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기록관리기관의 기록서비스 혁신 방안 연구

        김예지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셜미디어를 통한 기록서비스의 제공이 기록관리기관에서 기존에 제공해왔던 고전적인 기록서비스를 활성화시키고, 계속해서 고민해왔던 이용자 저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은 분명하다. 이는 이미 여러 선행 연구에서 증명된 바 있으며, 오늘날 대부분의 기록관리기관에서도 그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지하고 소셜미디어를 운영하고 있다.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이자 영구기록물관리기관으로, 이용자들에게 양질의 기록서비스를 제공할 책무가 있는 경남기록원과 서울기록원도 이를 인지하고 소셜미디어를 운영하고 있지만, 투자 대비 효과와 이용자 인식 및 도달률 모두 저조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남기록원과 서울기록원을 중심으로 기록서비스가 저조한 이유는 무엇인지, 왜 특정 종류의 소셜미디어만 활용하고 있으며 다른 소셜미디어는 활용하고 있지 않은지, 소셜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과 도달률이 낮은 이유는 무엇인지, 소셜미디어 서비스를 활용해 기록의 난해성을 극복함과 동시에 이용자 인식과 도달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 네 가지 연구질문을 설정한 뒤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제점 파악을 위해 경남기록원과 서울기록원에서 제공중인 기록서비스 현황을 분석했으며, 각 기관에서 운영중인 소셜미디어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다. 기관별 조직도 및 업무 분장을 검토하였으며, 단위사업별 업무계획 및 기록관리기준표를 분석하여 기관의 전체 업무 정책 내에 소셜미디어를 어떻게 위치시키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보다 자세한 현황 분석을 위해 담당자와의 전화 및 화상 인터뷰를 진행하여 소셜미디어 운영 현황에 대한 심화 분석을 진행하였다. 현황 분석 결과, 두 기관 모두 소셜미디어를 통한 기록서비스의 제공을 정식적인 업무에 반영하지 않고 있었으며, 그 중요성에 대해 인지하지 못한 채 산발적으로 운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각각의 소셜미디어별 특성과 알고리즘의 작동 방식을 고려하지 못한 채 무전략적으로 운영하고 있어 급변하고 있는 소셜미디어 시장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황 분석 결과 파악된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해결책과 개선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소셜미디어별 알고리즘의 작동 원리를 파악하고, 전략적인 핵심 키워드와 연관 키워드를 설정하여 이용자들에게 도달률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기존의 기록관리기관의 정적인 기록서비스 콘텐츠와는 차별화된 재미를 유발하는 콘텐츠의 제작으로 이용자들의 인식과 흥미를 제고할 것을 제안했다. 이를 위해 국내 유관기관 및 해외 기록관리기관의 소셜미디어 운영 우수 사례를 검토하였으며, 이를 아카이브기관에 적용할 방안을 고려해보았다. 기존의 고전적 이용자 세분화 방법론이 아닌 소셜미디어 메커니즘에 알맞은 발전된 이용자 세분화 방법론을 제시하고, 소셜미디어의 이용자 상호작용적 특성을 활용해 이용자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소셜미디어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통해 이용자 성향 및 이용행태 등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소셜미디어 운영 방안을 설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각 소셜미디어별 알맞은 운영 전략을 수립하여 이용자 도달률과 인식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소셜미디어의 운영이 기존의 기록서비스를 활성화시키고, 상호성장하여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 운영 체계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이제껏 여러 선행 연구와 아카이브기관에서 계속해서 고민해왔던 소셜미디어를 통한 기록서비스 제공의 효과가 미진한 원인을 근본적으로 분석하고, 실질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지방기록물관리기관 뿐만 아니라 국내외의 다양한 아카이브기관 및 유관기관, 공공기관에서의 소셜미디어 운영 시 유의미한 참고 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It is clear that provision of record information service through social media can revitalize the existing record information services previously provided by Archives and solve the problem of low user visiting rate that have been agonizing over. This has already been proven in several previous studies, and most Archival institution today recognize its necessity and importance and operate social media. Gyeongsangnam-do Province Archives and Seoul Archives, which are regional record management institutions and permanent record management institutions responsible for providing high-quality record information services, recognized this and operated social media, but both effectiveness and user recognition and reach rates were low. Therefore, this study set up four research questions about why recording information services are low, why only certain types of social media are being used, why users' perceptions and reach rates are low, and how to use social media services to overcome records’esotericism and increase user awareness and reach rates. To analyze the problem, the current status of recording information services provided by the Gyeongsangnam-do Province Archives and the Seoul Archives were examined, and the current status of social media operation operated by each institution werer analyzed. The organization chart and division of labor for each institution were reviewed, the operational palnning and record disposal schedule were reviewed to see how social media was placed within the institutions’overall policy. In order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in more detail, telephone and video interviews with the person in charge were conducted to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social media operations. As a result of the current status analysis, neither institution reflected the provision of recording information services through social media in formal work, and operated sporadically without being aware of its importance. In addition, it was not actively responding to the rapidly changing social media market as it was operated strategically witho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ocial media and how the algorithm works. In this study, the solutions and improvements were proposed based on the problems revealed as a result of the current status analysis. A plan was proposed to increase the reach rate to users by anaylz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each social media algorithm and setting strategic keywords and related keywords. Also, unlike the exisiting Archives’formal record information service content, it tried to raise users’awarness and interest by producing differentiated contetns. To this end, outstanding cases of social media operation by domestic and overseas record management institutions were reviewed, and measures to apply them to archive institutions were considered. This study presented a developed user segmentation methodology suitable for social media mechanisms, analyzed user requirements using user interactive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and proposed an effective social media operation plan by identifying user tendencies and usage behavior through data provided by social media. In addition, an appropriate operation strategy for each social media was established to suggest ways to simultaneously increase user reach rate and awareness. Finally, through such social media operation, an operating system that can activate existing recording services and mutually grow to create synergies was proposed. This study fundamentally analyzed the cause of the lack of effectiveness of providing recording services through social media, which has been continuously contemplated by several previous studies and archives, and suggested practical solutions. It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can be used as a significant reference material for social media operation not only by regional record management institutions, but also by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archival institutions, related institutions, and public institutions.

      • 대학 태권도선수의 근기능 훈련유형의 차이가 체력과 전자호구 타격력에 미치는 영향

        김예지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대학 태권도선수의 근기능 훈련유형의 차이가 체력과 전자호구 타격력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체육교육전공 김 예 지 지도교수: 신 윤 아 이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선수의 근기능 훈련유형의 차이가 체력과 전자호구 타격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훈련 전·후 선수들의 기초체력, 등속성 근기능, 전자호구 타격력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태권도 겨루기 선수를 대상으로 근력군, 순발력군, 대조군 세 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자 중 사전·사후 검사를 모두 완료한 대상자들의 결과만을 분석하였으며 근력군, 순발력군, 대조군으로 총 25명을 이 연구에 적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사전 값 차이검증을 위해 모든 종속변인에 대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세 집단(근력군, 순발력군, 대조군)과 사전·사후의 시기 간 종속변인의 평균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이원반복분산분석(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고, 그룹과 시기의 상호작용, 그룹 간의 주 효과, 시기간의 주 효과가 유의할 경우, 시기간의 변화량은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그룹간의 변화량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으로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사전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종속변인에 대해서는 공변량으로 공분산분석(ANCOVA)을 적용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력훈련을 실시한 결과 신체구성 변인인 체중, 체지방량, 복부지방률 등에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었고, 근력훈련이 순발력훈련보다 신체구성의 더 효과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근력훈련과 순발력훈련은 기초체력의 전반적인 향상을 가져왔다. 근력훈련과 순발력훈련 모두 기초체력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오며, 근력훈련의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셋째, 등속성 근력의 차원에서 두 가지 훈련방법 모두 대조군에 비해 경기력 향상을 위한 근력 증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근력 훈련의 경우 허리와 무릎의 근력이 대조군에 비해 크게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으며 순발력훈련에 비해 그 효과가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전자호구 타격력의 돌려차기와 뒤차기, 2분 타격횟수에서 모든 집단이 공통적으로 타격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보면 근력과 순발력훈련은 기초체력, 신체구성, 허리와 무릎의 근력, 전자호구 타격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력군이 순발력군보다 신체구성과 무릎과 허리의 근력 개선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나 신체구성과 체력의 향상에는 근력훈련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보여진다. 태권도 경기력으로 측정된 타격력은 모든 집단에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체력훈련보다는 태권도 경기기술의 훈련효과가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여진다.

      • 세계시민교육 향상을 위한 고등학교 미술교과서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김예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such social problems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science as climate change, environmental contamination, depletion of resources, disturbances of the ecosystem and population problem need to be solved at the global dimension beyond the individual ones. In such circumstances, attention focuses on the sustainable society. Also, concern with cosmopolitanism and global citizenship increase rapidly, and therefore, they need to be discussed in all the areas encompassing education, economy, society and environment. Accordingly, the social function of understanding and solving the problems related to our life for the sustainability of the future generation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For such social function, the education for enhancement of the global citizenship is required, and in this context, 2015 Amendment High School Art Curriculum suggests the quality and culture as core competence for the cultural citizens based on the community spirit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wn in the art textbooks in reference to the competence and goals pursued by the art subject and thereupon, reviewing the contents of education for the activation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art classroom in order to suggest the reform measures and direction for the next amendment of the curriculum. First of all, the theories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ere reviewed, while the preceding studies were analyzed, to grasp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cluded in 2015 Amendment of Curriculum and examine its association in the high school art curriculum. Based on the global citizenship measurement indices suggested by Asia-Pacific Center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2020), the researcher confirmed 6 subject areas such as global citizenship, human rights, gender equality, cultural diversity, peac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n, suggested some criteria of analysis of 10 high school art textbooks as composition, units and contents. In the analysis of composition, ratio of themes and ratio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ere analyzed statistically, and in the analysis of the units, the ratio of units per theme, names of the units, learning goals, and distribution of the units per are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with the cases. In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learning activities and plates were analyzed to draw the results. Then, the results of such analyses and those of the interview with the art teachers were synthesized to suggest the reform measures for the art textbooks and next amendment of art curriculum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ompose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distribute its sub-themes equally in the high school art textbooks. The current art textbooks do not show any independent unit about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hus, the ratios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mes are much deviated among the textbooks. Since the themes are emphasized differently among textbooks, it might well be helpful to grasp the general tendency, but the learners may well be biased toward a certain theme. Moreover, also in the interviews with the art teachers, the weight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much differentiated among the textbooks, They emphasized in common that additional materials were required, while such a differentiation should be corrected. Hence, it is necessary to optimize the independent areas and the sub-themes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link the contents of learning in an organic way, and thereby, help the students to cultivate high dimensional perspective through sufficient explanations and cases, being conscious of the relevancy among the contents of learning about the sub-theme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reform the names of the units and learning goals so that the sub-themes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may be reflected equally. In the current art textbooks, the names of the units and learning goals are dispersed, being shown with repetitive and limited key words. In particular, the art teachers opined in the interview that such units as human rights, gender equality and sustainability are not sufficient, being partly featured in the art textbooks. In addition, in terms of the area-wise distribution of the units, the deviations are conspicuous, disturbing students' learning. Hence, it is necessary to recompose the units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rewrite the names of the units for sub-themes and learning goals by reflecting the reality of our life and society on the textbooks for a well-balanced learning among units. Thirdly,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art teaching & learning materials, programs and pedagogics to enhance students' global citizenship, while reflecting the inter-work relevancy and flows by intensive composition of the themes.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wn in the contents of the art textbooks and learning activities features repeated learning activities and art expression ones, and therefore, art teachers should reform their discussions, projects and the programs related to the real life to help the learners expand their views. Moreover, teachers are obliged to provide for the information useful to grasp the relevancy and flows among works with the visual data, diversified plates and theme-intensive composition. Accordingly, in the learning activities,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cultivate their individual values and sense of community through activities related to their ordinary life, debate and project. In this course, the plate should be reformed to help students understand its relevancy and information contextually. Fourthly, as the 2022 Amendment Curriculum emphasizes the education for the democratic citizenship, some systematic alternatives should be arranged.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it is necessary for the next curriculum to present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pedogogics reflecting educators' positions as well as some specific educational directions. Hence, through continued researches, it is necessary to set the learning contents relevant to the ordinary life, inter-disciplinary classes and peaceful solutions of the social problems through art, and thereby, help students to grow into the global citizens armed with the critical thinking.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the art education of helping the students to sympathize with others based on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others and solve the global problems in peaceful way as well as the reform of the next curriculum and textbooks to help students cultivate a sense of global citizenship. In addition, it is also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오늘날 기술과 과학의 발달로 나타난 기후, 환경, 질병, 자원, 생태계, 인구 등의 사회 문제는 개인을 넘어 전 지구적 차원에서 해결해 나가야 하며 지속 가능한 사회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속가능성을 위한 세계시민성, 세계시민의식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며 교육, 경제, 사회, 환경의 전 영역에서 다루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 흐름에 맞추어 미래 세대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삶과 연계된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사회적 기능은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기능을 위해 학교 교육에서 세계시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이 요구되고 있으며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문화시민의 자질과 소양을 핵심 역량으로서 제시하여 세계시민교육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 교과에서 추구하는 역량과 목표를 바탕으로 미술 교과서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교육현장에서 세계시민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교육내용을 살펴보아 개선방안, 차기 교육과정 방향성을 제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 분석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포함된 세계시민교육을 파악하고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아시아 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2020)에서 제시하고 있는 세계시민교육 측정지표를 바탕으로 세계시민성, 인권, 성평등, 문화다양성, 평화, 지속가능발전의 6가지 주제 영역을 확인하고 10종의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의 구성, 단원, 내용으로 분석 기준을 제시하였다. 구성 분석에서는 주제별 구성 비율, 세계시민교육 구성 비율로 통계를 분석하였고 단원 분석에서는 주제별 단원 비율, 단원명, 학습목표 분석, 영역별 단원 분포로 통계와 함께 사례를 분석하였다. 내용 분석에서는 학습활동, 도판 분석으로 사례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 결과와 현직 미술교사 인터뷰를 종합하여 세계시민교육 향상을 위한 미술 교과서, 차기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정리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에서 세계시민교육 영역을 구성하고 하위 주제별 균등한 분배가 필요하다. 현재 미술 교과서에는 세계시민교육 영역이 독립적으로 구성되지 않아 세계시민교육 주제 구성의 반영 비율은 편차가 있었으며 이는 교과서마다 강조하는 주제가 달라 그 경향성 파악에 도움이 되지만 현시대를 살아가는 학습자들은 한 주제에 편중되어 학습할 수 있어 우려되었다. 이에 현직 미술교사의 인터뷰에서도 세계시민교육 학습에 교과서별 비중의 편차가 있어 추가적인 자료를 요구하며 보완될 필요성이 있음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세계시민교육의 독립 영역과 하위 주제를 적정화하고 학습내용이 유기적으로 연계되도록 하위 주제의 학습내용들 간의 연관성에 유의하며 충분한 설명과 사례를 통해 고차원적인 시각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세계시민교육의 하위 주제를 균등하게 반영한 단원명과 학습목표의 개선이 필요하다. 현재의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에 반영된 단원명과 학습목표는 분산되어 있으며 반복적이고 한정적인 키워드를 바탕으로 나타나있다. 특히 미술교사들의 인터뷰에서 인권과 성평등, 지속가능성에 대한 주제의 단원이 부족하고 일부만 포함하여 제한점이 있었다. 또한, 영역별 단원 분포에서도 반영된 편차가 크고 풍부한 학습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될 수 있었다. 이에 세계시민교육 주제의 단원을 새롭게 구성하여 각 하위 주제의 단원명과 학습목표에 우리의 삶과 사회의 모습을 반영한 키워드로 개선하여 영역별 균형적인 학습을 이루도록 한다. 셋째, 교과서 내의 학습활동과 도판에서는 구체적으로 세계시민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술 교수학습 자료, 프로그램, 수업 방식의 다양화가 필요하며 주제 집약적인 구성으로 작품들 간의 연관성과 흐름을 반영해야 한다. 미술 교과서의 내용, 학습활동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은 반복되는 학습활동과 미술 표현활동에 중점적으로 전개되어 있으며 이에 현직 미술교사들은 토론, 프로젝트, 실생활 연계 프로그램 등과 같이 학습자들의 시각을 넓힐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하고 시각자료, 도판의 다양화, 주제 집약적인 구성, 작품들 간의 연관성과 흐름을 파악하는 것에 도움이 되도록 정보를 제시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학습활동에서는 내외적으로 실생활과 연계된 활동, 토론, 프로젝트 등으로 세계의 구성원으로서 개인적 가치와 공동체의식을 함께 기를 수 있도록 하고 도판은 학습 내용의 균등한 비중을 유지하여 그 연관성과 정보로 맥락적인 이해를 돕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넷째, 차기 교육과정인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민주시민을 위한 교육이 강조됨에 따라 이에 대한 체계적인 제안이 필요하다. 인터뷰에서 나타난 학교교육 현장에서의 세계시민교육 실천 현황, 차기 교육과정에서 점차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어 세계시민으로서 학습자들이 성장하고 현시대에 요구되는 주제를 바탕으로 교육자의 입장을 반영한 교수학습 자료, 학습 방법들에 연구와 개선,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실생활과 연결할 수 있는 학습내용, 타 교과와의 융합 수업, 미술을 통한 평화적인 사회문제 해결을 이끌어 주체적이고 비판적인 시각을 가진 세계시민으로서 성장하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미술교육에서의 세계시민교육이 자신과 세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타인에 대한 공감, 공동체적 의식 기반으로 세계의 문제를 평화롭게 해결하는 것에 기여하고 세계시민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토대로써 차기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편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지고 세계시민교육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중소기업 MZ세대 근로자의 심리적 계약위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소진의 매개효과

        김예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노동시장의 유연화로 희박해진 종신고용의 개념과 COVID-19의 여파로 중소기업은 경영난과 인력관리 문제를 호소하고 있다. 조직 내외부의 급격한 환경변화로 인해 근로자는 조직으로부터 심리적 계약 불이행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며, 이는 근무지 이탈로 이어져 기업경영의 손실로 이어질수 있다. 이에 기업의 중추 인적자원으로 떠오르는 MZ세대 근로자의 이직률은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중소기업은 불안정한 환경변화로 인한 구인난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유능한 인재를 조직에 머물도록 지키는 것은 중소기업의 주요 당면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심리적 계약위반, 이직의도, 직무소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중소기업에 근로하는 MZ세대를 대상으로 표본을 수집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심리적 계약위반은 이직의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심리적 계약위반은 직무소진에 정(+)적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직무소진은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심리적 계약위반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소진의 매개효과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 SNS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존감 안정성의 매개효과 : 20대 성인을 중심으로

        김예지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지 SNS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존감 안정성의 매개효과: 20대 성인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SNS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대 성인 남녀 220명을 대상으로 SNS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 자존감, 자존감 안정성, SNS 중독경향성 수준을 측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SNS 중독경향성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자존감은 SNS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고 SNS 중독경향성과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존감 안정성은 SNS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SNS 중독경향성과 모두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SNS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존감은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으나 자존감 안정성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NS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 모두 SNS 중독경향성과의 관계에서 자존감 안정성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자존감 안정성이 자존감과 독립된 심리적인 변인이라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또한 20대가 SNS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력과 이를 매개하는 심리적 변인인 자존감 안정성의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SNS 중독에 관련된 상담의 기초자료의 범위를 확대하여 살펴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SNS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 자존감, 자존감 안정성, SNS 중독경향성 ABSTRACT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Stabilit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NS Addiction Tendenc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in SNS: Focused on Adults in their 20s Kim, Yae Ji Dep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in SNS and SNS addiction tendency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self-esteem stability in the relationship. To this end, 220 adults in their 20s were surveyed to measure perceived social support in SNS, self-esteem, self-esteem stability, and SNS addiction tendenc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social support in SN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NS addiction tendency. In addition, self-esteem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perceived social support in SNS and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NS addiction tendency. Self-esteem stabilit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in regard to perceived social support in SNS and SNS addiction tendency.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self-esteem did not show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in SNS and SNS addiction tendency, but self-esteem stability was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in SNS and SNS addiction tendency. In addition,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evaluation support, which are the subfactor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in SNS, were partially mediated by self-esteem stability in relation to SNS addiction tenden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has proved that self-esteem stability is an independent psychology variable from self-esteem. Also, we can expand the scope of the basic data on SNS addiction by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 esteem stability, which is a psychological variable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in SNS and SNS addiction tendency in their 20s with the highest SNS utilization rate. Last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offered. Keywords: Perceived Social Support in SNS, Self-Esteem, Self-Esteem Stability, SNS Addiction Tendency

      • 노화불안이 중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김예지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노화불안과 중년기의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40~64세에 해당하는 중년 남녀 307명(남 146명, 여 161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노화불안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자기자비 척도, 우울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화불안은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구체적으로 주관적 건강상태를 좋게 지각할수록 노화불안이 낮았다. 심리적 안녕감의 경우 남성, 연령이 어릴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를 좋게 지각할수록, 종교가 있는 경우, 자녀와 함께 살고 있는 경우 심리적 안녕감 수준이 높았다. 둘째,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 결과, 노화불안과 심리적 안녕감 사이에는 유의한 부적상관을, 자기자비와 심리적 안녕감 사이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이는 노화불안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은 낮아지며, 자기자비 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노화불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에 대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화불안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중년을 대상으로 노화불안과 자기자비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중년기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상담 및 치료프로그램 구성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상담 장면에서의 시사점,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between the aging anxie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40s and 64s middle-aged. The participants were 307 middle-aged. In this study, we used the Aging anxiety scal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Self-compassion scale, Depression sc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aging anxiety according to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sex, age, education, religion, monthly income, subjective health status, marriage period, number of children, living with a child. Second, the aging anxiet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self-compass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the main effects of aging anxiety, self-compassion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significant respectively bur, the interaction effects were not observed. Finally, based on the overall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