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자저널의 이용자 만족도와 재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 K대학교 교수 및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김숙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Library is one of public institutions that go through rapid change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media techniques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Recent environment including introduction of internet to the library has brought lots of changes to the off-line library system. Highly advanced and informative society provides us with a bunch of new information and newly developed writing devices are also introduced to the library. International journals that are major source of academic research are now being supplied as a form of electronic journal or Web DB to increase the amount of information to be served at a time.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ggest some ideas to the librarians for electronic journals. It surveyed and analyzed 390 questionnaires from the professors and graduate students of K university.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emonstrates several factors that influence user's satisfaction. These factors proved to be critical elements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for electronic journals. They are suitability of electronic journal service, convenience to use and public notification of electronic journal, and user instruction. Suitability of electronic journal service was most important variable for user's satisfaction. Convenience to use and public notification of electronic journal, and user education were also important variables, in their order, respectively. Second, all factors that are important to the service quality for electronic journal were analyzed to be significant for user's satisfaction. Third, free-use of electronic journals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user's satisfaction (p<.1). Fourth, user's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the re-use intention, positive word-of-mouth, and decrease in the frequency to visit the off-line library. Fifth, user's satisfaction, re-use intention and positive word-of-mouth tended to be higher when subjects were males rather than females, and professors rather than graduate students. Decrease in the frequency to visit the off-line library also showed the same tendency according to the groups. When failed to connect the electronic journals, many people showed the tendency to retry or just to give up, without asking the librarian in the library. Therefore, in addition of improving the service quality,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staffs and their attitude toward users as well as environmental conditions around facilities. This study was intended as an systematic research to introduce a new approach to evaluate the service quality for electronic journal. It suggested new factors of service quality for the evaluation of electronic journal service, and then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se factors to user's satisfaction. It is recommended tha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ould be necessary to carry out follow-up studies to find other new factors to influence the service quality and user satisfaction for electronic journal. 도서관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가장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사회기관 중의 하나이다. 인터넷의 본격적인 도입이후 도서관계에서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고도정보화사회는 정보의 생산량뿐만 아니라 매체형식에 있어서도 다양한 기록매체들을 등장시켰다. 대학도서관에 있어서 중요한 학술정보원의 하나인 해외학술지의 경우 전자저널 및 Web DB로의 매체변환이 급속히 확장되고 제공정보 또한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변화에 비해 전자저널 이용에 대한 만족도 평가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는 전자저널 서비스 품질에 대한 새로운 차원을 제시하고 K대학 교수 및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전자저널 만족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전자저널 서비스 품질 구성 차원을 전자저널 서비스의 적합성, 이용의 편리성, 전자저널 홍보, 이용교육으로 새롭게 제시하였으며, 실증적 연구를 통해 이를 확인하였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 정도의 순위는 전자저널 서비스의 적합성, 이용의 편리성, 전자저널 홍보, 이용교육 순이었다. 둘째, 전자저널 서비스 품질차원이 전자저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자저널 서비스 품질차원 모두는 전자저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통제변수로 사용한 무료이용지각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지의 여부는 검증되지 않았다. 넷째, 종속변수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용자 만족은 재이용의도, 긍정적 구전의도 및 도서관 직접 방문 빈도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인구통계적 요인과 종속변수간의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는 남성이 여성보다, 교수가 대학원생보다 만족정도가 높으며, 재이용의도가 높고, 긍정적 구전의도가 높으며, 도서관을 직접 방문하는 횟수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자저널 접속오류시 취하는 행동으로는 접속될 때까지 시도 및 포기가 높은 응답을 보이는데, 이는 결국엔 이용률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것이다. 따라서 전자저널 서비스 품질차원 이외에 직원의 자질과 이용자에 대한 태도 및 기기를 둘러싼 환경정비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전자저널 서비스 품질측정에 대한 새로운 차원을 제시하고 품질차원에 따른 만족도를 평가하였으며, 또한 만족이 재이용의도, 긍정적 구전의도, 도서관 방문빈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최초의 연구라는데 그 의의가 있겠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미처 고려하지 못한 척도들을 개발하여 전자저널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 개발과 다양한 후속연구가 수행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 낙동강과 소규모 호소에서 수질환경요인에 따른 조류발생 특성 및 상관성 연구

        김숙찬 안동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낙동강과 소규모 호소에서 수질환경요인에 따른 조류발생 특성 및 상관성 연구를 위해 낙동강은 2013년 2월부터 10월까지 단기간 모니터링을 실시하였고 소규모 호소는 2007년에서 2012년까지 장기간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낙동강의 BOD로 지점별 수질등급을 평가해 본 결과 일선교의 수질등급은 (Ⅰb) ∼ (Ⅱ)등급, 덕산교의 수질등급은 (Ⅰb) ∼ (Ⅲ)등급, 고령교는 (Ⅰb) ∼ (Ⅳ)등급으로 나타났다. 낙동강 중류의 T-N의 평균농도는 2.497 mg/L, T-P의 평균농도는 0.049 mg/L로 나타났다. 여름철 낙동강의 Geosmin 농도범위는 0.98 ∼ 28.64 ng/L으로 나타났고 2-MIB의 농도범위는 0 ∼ 61.84 ng/L로 나타났다. 낙동강의 평균 Chl-a 농도는 24.7 mg/㎥로 나타났으며, 고령교, 덕산교, 일선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낙동강의 주요 우점종으로 Oscillatoria sp., Microcystis sp., Aphanocapsa sp., Stephanodissus sp., Fragilaria crotonensis가 다수 출현하였고 지류인 감천에서는 Navicula sp., Nitzschia palea, Scenedesmus sp.가 출현해 낙동강 본류와 지류의 우점종 차이가 뚜렷하였다. 낙동강 지점별 평균 현존량은 하류로 갈수록 많았으며, 낙동강 본류와 감천의 현존량 발생패턴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낙동강 중류에서 상관성 분석결과 Cl-a와 유기물지수인 COD, TOC, BOD, SS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났으며, 영양염류인 T-N, T-P와는 낮거나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로 나타나지 않았다. 낙동강 요인분석은 5 가지 요인으로 분류되고 79.1%를 설명할 수 있었으며, 제 1 요인은 현존량, COD, BOD, SS, pH로 유기물지수와 관련된 인자로 나타났다. 낙동강의 Chl-a에 대한 회귀 모형식에서 영향인자로 COD, pH, SS, EC로 나타났다. 소규모 호소의 평균 COD로 수질등급을 평가한 결과 오어지, 상판지, 성주댐은 약간좋음(Ⅱ)이며 지평지, 묘곡지는 약간나쁨(Ⅳ)이고, 하곡지, 심곡지, 문천지는 매우나쁨(Ⅵ)이었다. 소규모 호소를 TSIm에 의한 영양단계를 평가해 본 결과 중영양 상태에 있는 호소는 오어지, 성주댐, 상판지였으며, 부영양 상태에 있는 호소는 묘곡지, 하곡지, 지평지, 문천지, 심곡지였다. 소규모 호소에서 우점도가 60% 이상 차지하는 조류를 분류하면 규조류는 Aulacoseira ambigua, Aulacoseira distans, Asterionella formasa, Cyclotella sp., Nitzschia acicularis, Fragilaria sp.가 출현하였고 남조류는 Microcystis sp., Anabaena sp., Phormidium sp., Dinobryon sp., Aphanizomenon sp.가 출현하였으며, 녹조류는 Carteria cordiformis, Scenedesmus sp.가 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부영양화가 심한 호소일수록 독성 남조류의 출현 회수가 많았다 소규모 호소에서 Chl-a와 수질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 호소 Chl-a는 유기물지표인 BOD, COD, SS와 대체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소규모 호소의 요인분석은 5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고 70.2%를 설명할 수 있었으며, 제 1 요인은 Chl-a, COD, BOD, T-P, Standing Crops, pH으로 대체로 유기물지수와 관련된 인자로 나타났다. 소규모 호소에서 Chl-a에 대한 회귀식 모형에서 영향인자로 COD, NH3-N, T-P, Temp, EC 등으로 나타났고, Standing Crops에 대한 회귀식 모형에서 영향인자로 BOD, COD, NH3-N, T-P, EC 등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a water quality monitoring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algae occurrence an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algae occurrence and the water environmental factors in Nakdong river and small reservoirs. The monitoring was conducted from Feb. 2013 to Oct. 2013 for Nakdong river and from Feb. 2007 to Sep. 2013 small reservoirs. Korean Water Quality Standard levels for each area based on BOD were (Ⅰb) ∼ (Ⅱ) for Ilsun Bridge (1.2 ∼ 2.8 mg/L), (Ⅰb) ∼ (Ⅲ) for Duksan Bridge (1.6 ∼ 2.9 mg/L), and (Ⅰb) ∼ (Ⅳ) for Koryung Bridge (2.0 ∼ 5.3 mg/L). At the main stream of Nakdong river,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T-N and T-P were 2.497 mg/L and 0.049 mg/L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Geosmin ranged from 0.98 to 28.64 ng/L and those of 2-MIB ranged from 0 to 61.84 ng/L.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Chl-a in Nakdong river was 24.7 mg/㎥. The concentration of Chl-a was in order of Koryung Bridge > Duksan Bridge > Ilsun Bridge. The dominant species in the Nakdong river were Oscillatoria sp., Microcystis sp., Aphanocapsa sp., Stephanodissus sp., and Fragilaria crotonensis, and those in Kam-river were Navicula sp., Nitzchia palea, and Scenedesmus sp. show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river and the reservoirs. The number of total cells was higher in the lower part of the river and the patterns of standing crops for the Nakdong river was different from those of Kam-river. Relationship analysis showed good co-relations between Chl-a and COD, TOC, BOD, S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hl-a and T-N, T-P. Five factors cover 79.1% for Nakdong River as result of factor analysis. The first factor was Standing crops, COD, BOD, SS, pH which were related organic index. Concentrations of Chl-a for Nakdong River had strong relationships to COD, pH, SS, and EC. Water quality of eight small reservoirs was evaluated by averaging COD values. Water quality showed slightly good (II) for Orji, Sangpanji, and Sungju Dam, slightly bad (IV) for Jipyungji and Myougokji, and very bad (VI) for Hagokji, Simgokji, and Muncheonji. Mesotrophic reservoirs were Orji, Sungjudam, Sangpanji and eutrophic reservoirs were Myougokji, Hagokji, Jipyungji, Simgokji, and Muncheonji calculated by modified Carlson index. Dominant species in the small reservoirs occupying more than 60% were Aulacoseira ambigua, Aulacoseira distans, Asterionella formasa, Cyclotella sp., Nitzschia acicularis, Fragilaria sp. for diatom, Microcystis sp., Anabaena sp., Phormidium sp., Dinobryon sp., Aphanizomenon sp. for blue-green algae, Carteria cordiformis, Scenedesmus sp. for green algae, and Crytomonas sp. Dinobryon sp. for flagellates. The blue-green algae was prequently found in the eutrophic reservoirs. For small reservoirs, relationship analysis showed good co-relations between Chl-a and BOD, COD, SS. Five factors cover 70.2% for small Reservoirs as result of factor analysis. The first factor was Chl-a, COD, BOD, T-P, Standong Crops, pH which were related organic index. Factors affecting Chl-a were COD, NH3-N, T-P, Temp, EC as the result from regression analysis in small Reservoirs. Factors affecting Standing Crops were BOD, COD, NH3-N, T-P, E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