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명동의 감각유산로서 러브마크 사랑차원 및 관광지만족에 미치는 영향 : 중국관광객 대상으로

        김몽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tial relation between the experiences of Meondong Sense-Tour, Lovemark and Tourism Satisfaction of Chinese tourists who have been to South Korea. The result of this paper confirm that Meongdong Sense-Tour has a positive impact on Tourism Satisfaction of Lovemark Awareness and Tourism Satisfac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revisit intention and Meondong Sense-Tour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intention of Chinese tourists. All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in this paper are of positive significance, in other word, it can be predicted that Meondong Sense-Tour in the tourism industry and the other industries also will have a positive effect.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용 사자성어의 선정과 활용

        김몽 관동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은 중국과의 지리적인 관계에서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있으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방면에서 그 어떤 국가보다도 비교적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다. 이러한 관계를 촉진시킨 도구로서 한자가 있고, 이를 토대로 이른바 한자문화권을 형성하게 되었다. 현재 한국어에서 한자어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 60%를 넘고 일상 언어생활에서의 사용빈도로 따지다면 70%를 넘는다. 그러므로 한국어 어휘에서 한자어가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많기 때문에 한자어 없이는 일상적인 언어생활이 불가능할 것이다. 이는 한국어교육과정에서 한자어 학습이 그만큼 중요함을 의미한다. 한국어 교수-학습의 관점에서 볼 때 중국인 학습자는 비한자문화권의 한국어 학습자보다 유리한 학습 환경에 놓여 있다고 할 수 있다. 외국인으로 한국어교육과정을 직접 받아본 필자의 관점에 의하면 중국인 학생들이 처음 한국어를 배울 때 다른 언어권의 학생들에 비해 한국어를 쉽게 배울 수 있는 이유 중의 하나가 한국어에 한자 어휘가 많다는 것인데, 반면에 이것은 중국인 학생들이 한국어를 배울 때 한자 어휘 오류를 발생시키는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그 이유는 한국어에서 사용하는 한자 어휘가 전래 당시와 중국어 어휘의 의미와 용법이 일치하지 않는 것들이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언어의 역사성에 입각하여 한자어 어휘가 유입될 당시와는 달리 오랜 세월을 두고 고유어와의 상호작용을 거치면서 한국어의 어휘로 굳어지던 것으로 이해된다. 지금의 한국어 어휘에는 그 뜻이 바뀌어 버린 한자 어휘가 많은데 이는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또 하나의 어려움으로 다가오는 것이다. 하지만 한국어 학습 현장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고에서는 한자어 어휘에 속한 사자성어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사자성어는 그 종류가 많을 뿐 아니라 세월의 흐름에 따라 전에 중국에서 전래된 사자성어와 비교하여 한국의 사자성어가 많이 달라졌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사자성어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사자성어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연구하고자 하였다. 우선 성어의 개념과 유형을 정리하고, 중급단계 이상의 학습자를 위한 교육용 사자성어 어휘를 선정을 하기 전에 한국에서 기본적으로 널리 쓰이는 사자성어100개를 제시하였다. 이것이 교육용 사자성어의 선정이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그 기준을 제시 하면 다음과 같다. 1. 사용빈도가 높은 사자성어 2. 학습자의 학습 수준에 맞는 사자성어 3. 사자성어의 형태와 의미의 차이에 따라 사자성어를 선정하였다. 다음으로는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능력시험(TOPIK) 문제를 분석하고 한국어와 중국어 사자성어의 대조를 통하여 사자성어 학습 어휘 목록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학습용 사자성어 목록은 총 세 가지로 동형동의(同形同意), 동형이의(同形異意), 동의이형(同意異形)으로 나누었는데 형태의 변화와 함께 의미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자어가 서로 다른 사자성어를 그 변화 양상에 따라 부분이형(部分異形) 사자성어와 완정이형(完全異形) 사자성어로 나누었다. 그리고 제시한 학습용 사자성어 목록은 중국인 학습자들이 자칫 간과하기 쉬운 것들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더욱 효과적인 교육을 하기 위해 활용예문도 같이 제시하였다. 이것을 토대로 실제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사자성어의 유형에 의한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는 한국어 어휘를 비교ㆍ대조하고 구체적인 공통점과 차이점을 익혀 효과적이고 흥미롭게 한국어 학습을 하도록 돕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며 중요성이다.

      • 한국어 교재의 관용표현 분석 연구

        진멍 가톨릭관동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327

        이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관용표현을 효율적인 교육을 위해서 중국어 번역을 활용한 한국어 관용표현의 교재 구성 방안을 제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재 7종에 나타난 관용표현들을 대상 자료로 삼아 교육의 실제에 대하여 조사·분석하였다. 궁극적으로 관용표현의 번역을 기저에 두고 한국어교육과 접목시킴으로써 관용표현의 실제 활동을 마련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용표현 교재 교육 내용상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밝히고,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관용표현을 어려워하는 이유를 분석·검토하였다. 한국어 관용표현은 한국의 문화, 역사, 사회상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관용표현을 구성하는 어휘적인 문제가 있다. 관용표현은 고유어가 많이 포함되기 때문에 한국어 학습자들은 어렵다는 부정적인 선입견을 갖는다. 관용표현은 문맥 속에서 관용 의미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문맥에 따라서 관용 의미가 달라지기 때문에 어렵다고 여긴다. 또한 관용표현은 학습자 모국어의 영향을 받는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관용표현은 형태상 전혀 다른 구성을 보이므로 문맥 속에서 관용표현의 역할 및 의미를 이해하기가 어렵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관용표현에는 여러 가지 형태 ·통사적인 제약에 있어서 중국어 관용표현과 큰 차이를 보인다. 둘째, 7종의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관용표현을 모두 조사·수집하여 이들에 대한 한·중 번역의 등가 양상을 검토·분류하였다. 이를 번역 이론을 접목시켜 전체 조사·수집한 관용표현들을 4가지 변역 양상 즉, 일대일등가, 유사등가, 무등가, 일대다등가로 분류하였다. 관용표현을 모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의 난도 기준이 한국어 교재를 구성할 때 위계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이론적인 토대를 마련하였다. 번역 양상에 따라 난도가 쉬운 것부터 가르치는 것이야말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라 할 수 있으며 이것이 학습자의 이해 능력을 충분히 배려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셋째, 한국어 관용표현의 중국어 번역은 공인된 여러 사전가료를 조사해 결정하였으며, 번역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이면서 향후 새로운 한·중 관용표현의 사전 편찬을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따라서 한국어 관용표현의 번역 양상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한국어교육에서 단계별 학습 활동을 설계하여 제시하였다. 이런 연구 결과는 중국 내 한국어 교재 구성 또는 한국 내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재 편찬에 있어서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