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튜브 교육용 콘텐츠의 멀티미디어 설계 원리 반영과 인지적 가치의 관계 : S대학교를 중심으로

        김가현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유튜브 교육용 콘텐츠의 멀티미디어 설계 원리 반영과 인지적 가치의 관계 - S대학교를 중심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평생교육·인재개발 전공 김가현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서 유튜브를 통해 일반 대중에게 공개하는 온라인 교육용 콘텐츠를 대상으로 Mayer의 멀티미디어 설계 원리의 반영/위배 정도와 비디오 인지적 가치(Video Cognitive Value; VCV)가 서로 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VCV는 유튜브에서 제공하는 조회수와 좋아요 수를 통해 교육용 동영상 콘텐츠의 인지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 2019년 Shoufan에 의해 제안되었다. 이 개념은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동영상 콘텐츠가 얼마나 효과적으로 학습을 촉진하는지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대학은 지식을 생산하고 전달하며 지식인을 양성하는 기관으로 검증된 지식을 전달할 의무가 있다. 국내 대학의 경우 KOCW와 K-MOOC 등의 플랫폼을 통해서 전통적인 교육 형태를 갖춘 온라인 교육용 동영상을 공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유튜브를 사용하여 10분 내외의 마이크로 러닝 형태의 교육용 콘텐츠를 공개하기 시작했다. 유튜브에 교육용 콘텐츠를 제시하는 대학 중 대부분의 교육용 콘텐츠 조회수는 1만 회 이하였지만 S대학교는 다른 대학교와 달리 교육용 콘텐츠의 조회수가 평균 45만 회 이상으로 일반 대중에게 미치는 영향이 타 대학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유튜브에 공개된 교육용 콘텐츠를 평가하는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본 논문은 S대학교에서 공개한 유튜브 교육용 콘텐츠를 중심으로 평가를 진행했다. 평가를 위해 Mayer의 멀티미디어 설계 원리 9개를 선정하여 S대학교에서 제공하는 유튜브 교육용 콘텐츠를 대상으로 선정한 원리들의 반영/위배 정도를 카운트하였다. 카운트 결과를 각 영상의 장면 수로 나누어 비율로 변환하여 객관적 수치 비교가 가능하게 하였다. 카운팅 적절성이 높은 원리의 비율을 선정하고자 응집 원리와 중복 원리는 위배 비율을 사용하고, 나머지 7가지 설계 원리는 반영 비율을 사용하였다. Shoufan의 연구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설계 원리와 VCV 간의 관계가 존재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으나, 독립변수인 멀티미디어 설계 원리와 종속변수인 VCV 간에 선형성이 나타나지 않아 회귀분석을 진행할 수 없었다. 추가로, 설계 원리의 반영 여부에 따라서 인지적 가치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을 진행하기 위해 비모수 통계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멀티미디어 설계 원리의 반영/위배 비율에서 중복 원리와 사전훈련 원리를 제외한 나머지 원리의 반영/위배 비율은 비슷하다. 사전훈련 원리는 반영 비율이 매우 낮으며, 중복 원리는 위배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둘째, 멀티미디어 설계 원리와 VCV 간의 선형 관계가 나타나지 않아 회귀분석이 불가했으며, 추가로 진행한 비모수 통계 검정에서도 유의미한 관계를 발견하지 못했다. 이는 분석 영상의 수와 제작 스타일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된다. 즉, 국내 유튜브 기반의 온라인 교육용 동영상에서 멀티미디어 설계 원리와 학습자의 인지적 가치는 유의미한 관계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to which Mayer's multimedia design principles are reflected or unreflected in online educational content released to the public via YouTube by domestic universities and Video Cognitive Value (VCV). The VCV was proposed by Shoufan in 2019 as a metric for evaluating the cognitive value of educational video content based on views and likes provided on YouTube. This concept is used to evaluate how effectively the video content provided to learners promotes learning. Universities have a responsibility to produce and transmit knowledge, and to nurture intellectuals, by delivering validated knowledge. In the case of domestic universities, they have been publishing online educational videos with traditional educational formats through platforms like KOCW and K-MOOC. Recently, they have also started to publish educational content in the form of micro-learning, typically around 10 minutes in length, using YouTube. Most of the universities that release educational content on YouTube have less than 10,000 views of educational content, but unlike other universities, S University has an average of more than 450,000 views of educational content, which has a greater impact on the general public than other universities. However, due to the lack of research evaluating such content, this paper conducted an assessment of educational content publicly available on YouTube. For the evaluation, nine of Mayer's multimedia design principles were selected, and the degree of reflection/violation of the principles selected for YouTube educational content provided by S University was counted. The count result was divided by the number of scenes of each video and converted into a ratio to enable objective numerical comparison. In order to select the ratio of principles with high counting appropriateness, the coherence principle and redundancy principle were evaluated using violation ratios, while the remaining seven design principles were assessed using reflection ratios. Based on Shoufan's research, it was hypothesized that there would be a relationship between multimedia design principles and VCV, but regression analysis could not be conducted because there was no linearity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multimedia design principle and the dependent variable VCV. In addition, a nonparametric statistica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cognitive value depending on whether the design principle was reflected.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flection/violation ratio of the multimedia design principle, the reflection/violation ratio of the remaining principles except for the redundancy principle and the pre-training principle is similar. The pre-training principle was very small in reflection rate, and the redundancy principle showed a very high violation rate. Second, regression analysis was impossible because there was no linear relationship between multimedia design principles and VCV, an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in the additional nonparametric statistical test. This is judged to be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ouTube analysis videos and production style. In summary,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ultimedia design principles and learners' cognitive values in domestic YouTube-based online educational videos.

      • 문학교육의 가치 내면화를 위한 교육방법 고찰

        김가현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우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핵심역량을 기르기 위하여 창의성과 인성, 자기주도 학습 능력, 공동체의식과 민주시민 의식함양에 힘써야 한다고 말한다. 이러한 핵심역량에서 빠지지 않는 것 중에 하나가 창의성과 인성이다. 그만큼 창의성과 인성에 대한 부분은 현재 학교 교육에서 중요한 화두이다. 창의성과 인성은 곧 인간의 내면화의 문제와 관련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학교육의 목표와 가치의 내면화를 중심으로 문학 교육적 가치 내면화를 위한 교수 · 학습의 방안을 모색하였다. 학생들은 학교에서 문학시간을 통해 많은 작품을 보고 배우지만 자신과는 크게 상관없는 하나의 이야기로만 읽고 넘어가게 된다. 문학 작품이, 문학수업이 자신의 삶 가운데 스며들지 못하고 더 나은 삶을 향해 나아가도록 방향 제시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문학작품을 수용하는 단계 중에 하나가 문학작품의 가치를 내면화하는 것이다. 독자는 문학 작품에서 찾아 낸 인식적·윤리적·심미적 가치를 자신의 삶에 비추어봄으로써 자신의 삶을 여러 가지 면에서 현재보다 더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다. 내면화는 인지적, 정의적 영역의 목표를 포괄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문학을 통한 세계파악의 학습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내면화가 중요한 이유는 문학 교육의 교육적 목표는 궁극에 있어서는 내면화의 과정으로 요약되기 때문이다. 내면화 과정은 문학 교육의 교육활동 과정상 중핵을 이루는 부분이며, 문학 수용의 완결을 의미하며 고도의 심리 작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해당 연구에서는 문학교육의 가치와 내면화의 문제의 중요성을 제시하 면서, 문학교육의 가치와 내면화가 문학 작품을 통해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방안을 살펴보았다. 결국 문학적 가치를 내면화 하는 활동을 통해 독자 자신의 삶은 물론 자신이 속한 사회에 대해 인식하고 성찰 할 수 있으며, 자신의 정서를 정화하고 일상생활에서 맛보기 어려운 심미적 체험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처럼 가치 내면화 중심의 문학교육 방법은 학습자가 발견한 가치를 자신의 삶과 연결시켜 세계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문학교육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김가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완벽주의와 사회불안과의 관계에 대한 국내 연구 결과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자료는 2006년부터 2019년까지 출간된 총 45편의 논문이 분석에 포함되었고, 220개의 효과크기가 사용되었다. 효과크기의 분석을 위해 상관계수를 효과크기 변환 값(Fishere’s Z)으로 사용하였으며 Cohen(1988)의 효과크기 해석방법을 따랐다. 무선효과모형(Random effects model)을 선택하였고, 깔대기 그림(Funnel plot)을 사용하여 출판편향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Egger의 회귀분석(Egger’s regression test)을 통해 funnel plot의 비대칭성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평균효과크기의 이질성에 영향을 주는 조절변수를 검증하기 위해 메타 ANOVA를 실시하였다. 분석대상 논문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별로 남성만을 대상으로 한 논문은 없었으며, 여성만을 대상으로 한 논문은 2.2%, 남녀 모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97.8%였다. 연령별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논문이 가장 많았고(51.1%) 청소년 대상 연구(24.4%), 아동 대상 연구와 성인 대상 연구(각 8.9%), 그리고 연구대상이 혼재 된 연구(6.7%) 순으로 많았다. 완벽주의 척도는 HMPS가 44.4%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연구자들이 여러 척도의 하위척도를 혼합하여 사용한 논문(31.1%), 그리고 FMPS(8.9%), CAPS와 중·고등학생용 완벽주의 척도(각 6.7%), K-CAPS(2.2%) 순으로 많았다. 사회불안 척도는 단일척도로 측정된 논문이 전체의 29%였으며 두 가지 척도를 혼합하여 사용한 척도가 전체의 71%로, 이는 대인불안과 수행불안 척도를 혼합하여 사회불안을 측정하는 경향성이 반영된 것이다. 메타분석을 통해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은 유의한 수준의 중간 효과크기로 상관이 있었다. 둘째, 완벽주의의 하위차원에 따른 완벽주의와 사회불안 간 관계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으며, APS-R의 불일치 차원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고, FMPS의 수행에 대한 의심, 실수에 대한 염려, HMPS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FMPS의 부모의 비난 순으로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APS-R의 불일치 차원은 효과크기 수 3개로 신뢰할 만한 결과로 보기에는 근거가 부족하였다. 셋째, 적응적/부적응적 완벽주의의 정의에 따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 간 관계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고, 적응적 완벽주의는 사회불안과 상관이 없었으며,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중간 효과크기로 사회불안과 상관이 있었다. 넷째, 사용된 척도에 따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 간 관계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으며, 완벽주의 척도에서는 혼합 척도가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며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고, FMPS, HMPS 순서로 높은 상관을 나타냈으며 두 척도는 중간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사회불안 척도에서는 SIAS와 SPS를 함께 사용한 척도, SPAI-C의 수행불안 하위척도와 K-SAS-A를 함께 사용한 척도, 그리고 SPAI-C의 수행불안 하위척도와 SAS-A를 함께 사용한 척도 순서로 높은 상관이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대상의 연령에 따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 간 관계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고, 연구대상이 혼재하는 경우, 성인, 청소년, 대학생, 아동 순으로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에 대한 선행연구의 종합적인 분석 및 정리를 통해 두 변인과 관련된 국내의 연구를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으며, 다차원적인 완벽주의의 특성에 따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비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사회정서학습 실천을 위한 예비유아교사 핵심역량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김가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re competency test tool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practice social-emotional learning. developing social-emotional competency is an essential developmental task in early childhood,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the responsibility and role to support it. Early childhood is the optimal period for developing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And it is a predictor of academic ability, adaptation, and social problem behavior after childhood. Recently, social emotional learning(SEL) has been actively researched as a way to develop social-emotional competency. Social-emotional learning is an educational method that creates a saf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is implemented throughout the day to improve the social-emotional competency of children. In order to practice social-emotional learning for children, the teacher's competency is important. In particular, the higher the teacher's social-emotional competency, the more it has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adapta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social-emotional competency. Previous research on social-emotional learning revealed that teacher social-emotional competency,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 and understanding and operation of the curriculum are important factors for practicing social-emotional learning.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education that can improve the professionalism in the training proc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presents the quality of education, so the competence of the teacher itself is important. In particular,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is operated as a competency-centered curriculum, and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hich is a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emphasizes the connection with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ith the introduction of competency-centered curriculum, the core competencie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are derived and inspection tools that can measure them are actively being developed. Accordingl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ools that can derive the core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xamine them is being conducted. However, research on test tool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s poor. In previous studies on the core competenci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ore competencies developed for incumbent teachers were mainly modified and used, or the K-CESA, a core competency test tool for college students, was used. In addition, there is no core competency test tool including social-emotional competency.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for a core competency test tool that includes social emotional competency, which is considered importa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fore, in this study, a core competency test tool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social-emotional learning was developed and validated. The research questions se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components and measurement questions of the core competenci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practicing social-emotional learning? 2. What ar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re competencies for social-emotional learning practice?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questions, initial questions for core competencies were developed through the test tool development stage, and then it was conducted as a procedure in the tool verification stage to secu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test tool. As for the tool development process, first, a theoretical framework for core competencies was derived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related to social emotional learning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 home and abroad. Second,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to identify expert opinions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and 5 core competencies and 17 sub-competencies were derived. Third, 87 initial items were extracted by examining the original core competency test tool used in the papers subject to theoretical analysis. Fourth, an education-related expert panel was formed for the core competency model and questions, and th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ased on this, the final 4 core competencies and 12 sub-competencies were derived, and 62 items were extracted as initial questions for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Fifth,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on 167 students in grades 1 to 4 in department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located nationwide, and 62 final questions were selected after verifying reliability and validity. As for the tool verification procedure, first,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23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located across the country. Of these, 110 subjects were additionally asked to respond to the official validity test. Second, basic item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collected 223 questionnaire data. Third, the second content validity test was conducted on a group of 5 experts, 6 out of 62 items were deleted, and the validity of 56 items was verified. Fourth, by conduct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the 56 finally selected items, social emotional competency of teachers(25 items), understanding of children (8 items), and operation of a play-centered curriculum(15 items),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he teaching profession(8 items) was confirmed. As a result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questions for each core competency were set as one factor.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oodness of fit of the research model set in this study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all goodness of fit indices were at an appropriate level, with CMIN/df = 2.600, TLI = 0.949, CFI = 0.963, and RMSEA = 0.085.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test, we looked 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test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and the standardized test tool, the Core Competency Test Tool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f Park Yu-Young(2021),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total score of each measuring tool. The coefficien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825 (p<0.1). A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intra-item consistency of 56 items of the finalized Social Emotional Competence Scale, and the overall Cronbach's α was .972, and the range of Cronbach's α for each component was at least .859 and at most .960, a tool with an appropriate level of reliabil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e competency test tool for social-emotional learning practice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s of 4 core competencies and has a total of 56 questions. The test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was verified to be a valid measurement tool to evaluate the core competenci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practicing social emotional learning through validity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This study identified teacher competencies necessary for practicing social-emotional learning, and developed a scale that can be used as a basic information collection tool and dependent variable measurement tool for various intervention studies aimed at strengthening core competenci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lso this study developed a scale that can appropriately measure the core competenci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international teacher standards.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정서학습 실천을 위한 예비유아교사의 핵심역량 검사도구를 개발하기 위함이다. 사회정서역량 발달은 유아기의 필수적인 발달 과업으로 유아교사는 이를 지원할 책임과 역할이 있다. 유아기는 사회정서역량을 발달시키기에 최적의 시기로, 유아기 이후 학업능력, 적응, 사회적 문제행동을 예측하는 요인이다. 사회정서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방법으로 최근 사회정서학습(Social Emotional Learning: SEL)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사회정서학습은 유아의 사회정서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안전한 교육환경을 조성하고 일과 전반에 걸쳐 시행되는 교육 방법이다. 유아에게 사회정서학습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량이 중요하다. 특히 교사의 사회정서역량이 높을수록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 유아의 자기조절, 사회정서유능감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사회정서학습 관련 선행연구에서는 사회정서학습 실천을 위한 중요한 요인으로 교사 사회정서역량, 유아 이해, 교육과정 이해 및 운영 등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따라서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사회정서역량을 포함한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교사의 질은 교육의 질을 대변하기 때문에 교사 자체의 역량이 중요하다. 특히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역량 중심 교육과정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유치원 교육과정인 2019 개정누리과정에서는 초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강조하고 있다.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도입으로 초·중등학교 교사의 핵심역량을 도출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유아교육에서도 유아교사의 핵심역량을 도출하고 이를 검사할 수 있는 도구 개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예비유아교사 대상 검사도구 연구는 저조한 실정이다. 예비유아교사의 핵심역량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현직 교사용으로 개발된 핵심역량을 수정하여 사용하거나 대학생용 핵심역량 검사도구인 K-CESA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사회정서역량을 포함한 핵심역량 검사도구는 부재한 실정이다. 즉, 유아교육에서 중요시해지는 사회정서역량을 포함하며 예비유아교사의 특성을 반영한 핵심역량 검사도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정서학습 실천을 위한 예비유아교사 핵심역량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였다. 다음은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이다. 1. 사회정서학습 실천을 위한 예비유아교사 핵심역량의 구성요인과 측정 문항은 무엇인가? 2. 사회정서학습 실천을 위한 예비유아교사 핵심역량 검사도구의 심리측정적 속성은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달성하기 위해 검사도구 개발단계를 통해 핵심역량 검사도구의 초기 문항을 개발하였다. 그 후 개발된 검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의 근거를 확보하는 도구 검증 단계를 실시하였다. 검사도구 개발단계의 절차는 첫째, 국내·외 사회정서학습과 (예비) 유아교사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핵심역량의 이론적 틀을 도출하였다. 둘째, 이론적 틀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확인하기 위해 초점집단 인터뷰(FGI)를 시행하여 5개 핵심역량과 17개 하위역량을 도출하였다. 셋째,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예비유아교사 핵심역량 검사도구를 살펴보며 87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넷째, 핵심역량 모델과 문항에 대한 교육 관련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여 내용타당도 검증을 시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최종 4개 핵심역량과 12개의 하위역량을 도출하였고 예비 조사를 위한 초기 문항으로 62개를 추출하였다. 다섯째, 전국에 있는 유아교육 관련 학과(유아교육과, 아동학과 등) 1~4학년 재학생 167명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최종 문항 62개를 선정하였다. 도구 검증 절차는 첫째, 전국에 위치한 유아교육과 학생 223명에게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중 110명에게는 공인타당도 검사에 추가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둘째, 회수된 223부의 설문지 자료를 대상으로 기초 문항 분석, 신뢰도 검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셋째, 전문가 집단 5인에게 2차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62개 문항 중 6개 문항을 삭제하였고 최종 56개 문항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넷째, 최종 선정된 56개 문항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여 교사 사회정서역량(25개 문항), 유아 이해 역량(8개 문항), 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 역량(15개 문항), 교직 전문성 개발 역량(8개 문항)의 검사도구의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핵심역량별 문항이 1개의 요인으로 설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살펴보았다. 적합도 지수를 확인한 결과, CMIN/df = 2.600, TLI =0.949 CFI =0.963, RMSEA =0.085로 나타나 적절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이후 표준화된 검사도구인 박유영(2021)의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핵심역량 검사도구와 본 연구에서 개발한 검사도구와의 상관계수를 통해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각각의 측정 도구의 총점에 대한 상관계수는 .825(p<0.1)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최종 확정된 핵심역량 검사도구 56문항의 문항내적일관성 신뢰도 분석을 시행한 결과, 전체 Cronbach's α는 .972로 높게 나타났다. 핵심역량별 Cronbach's α의 범위는 최소 .859, 최대 .960으로 나타나 신뢰도가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사회정서학습 실천을 위한 예비유아교사 핵심역량 검사도구는 4개의 핵심역량으로 구성되었다. 전체 56문항이며 5점 리커트(Likert) 척도로 응답자의 사회정서학습 실천을 위한 핵심역량을 평가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본 검사도구의 점수 범위는 최소 56점에서 최대 280점으로 나타났으며 총점의 평균은 4.06(±.49)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검사도구는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통해 사회정서학습 실천을 위한 예비유아교사의 핵심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타당화 된 검사도구임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정서학습 실천을 위해 필요한 교사 역량을 규명했다는 점, 예비유아교사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중재 연구의 수집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 2019 개정누리과정의 특성을 반영한 점, 국내외 교사 관련 기준 및 역량을 반영한 점, 유아교육 및 교육 분야 전문가들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핵심역량을 적절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채식주의자(Veg*ns)의 가치체계 및 채식주의자와 잡식주의자(Omnivores)의 식이 정체성 및 식품 선택 동기와 식물성 식품 선택 속성

        김가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채식주의는 더 이상 소수의 특별한 식생활이 아니라 동물 윤리, 환경 보호, 지구 생태계, 지속가능성 등 폭넓은 사회 문제와 연관되어 있는 개념이다. 세계적인 채식주의 증가 추세와 함께 한국도 지속적으로 채식주의자가 증가하고 있으나, 이와 관련된 학술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채식에 대한 국내 채식주의자의 가치체계를 탐색하고, 채식주의자와 잡식주의자의 식이 정체성 및 식품선택동기를 비교하고 식물성 식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1>은 채식(Veg*n diets)에 대한 채식주의자의 가치체계 탐색을 위하여 수단 목적 사슬 이론(Means-end chains theory)을 기반으로 한 래더링 기법(Laddering technique)을 바탕으로, 채식주의자 33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결과 채식과 관련하여 도출된 속성(Attribute) 코드 13개는 ‘고기 없음’, ‘공장식 축산 없음’, ‘식물성’, ‘채소’, ‘맛이 좋은’, ‘국내산/로컬식품’, ‘가공되지 않은’, ‘화학물질이 없는’, ‘체질에 맞는’, ‘유기농/Non-GMO’, ‘인프라 부족’, ‘편견’, ‘인지 부족’이다. 채식의 속성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결과(Consequence)는 ‘건강’, ‘환경보호’, ‘동물보호’, ‘생태계보존’, ‘잔인함 없음’, ‘죄책감 없음’, ‘활력’, ‘질병예방’, ‘신체기능향상’, ‘반자본주의’, ‘인권’, ‘지역경제’, ‘먹는 즐거움’, ‘선택권 없음’, ‘인간관계/사회생활 문제’, ‘불편함’의 16개 코드가 도출되었다. 채식으로부터 궁극적으로 충족되는 가치(Value)는 ‘양질의 삶’, ‘윤리적 삶’, ‘지속가능한 미래’, ‘자연에 대한 책임’, ‘생명존중’, ‘약자존중’, ‘만족’, ‘행복’, ‘가족애’, ‘내적 조화’의 10개 코드로 요약되었다. 개발된 코드 간의 연결 관계를 LadderUX software에 입력한 후 컷오프(Cut-off) 수준 결정 과정을 거쳐 속성, 결과, 가치에 이르는 지배적인 인지구조를 보여주는 가치계층도(Hierarchical Value Map)에 도식화한 결과 채식에 대한 채식주의자의 지배적인 인지구조는 다음과 같다. 1) 공장식 축산 없음/고기 없음-동물보호-잔인함 없음-생명존중-윤리적 삶 2) 공장식 축산 없음-환경보호-생태계보존-지속가능한 미래 3) 고기 없음/식물성-건강-삶의 질 즉, 채식의 속성으로 ‘공장식 축산 없음’, ‘고기 없음’, ‘식물성’을 중요하게 인지하고 있으며,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채식주의의 주요 동기로 제시하는 ‘동물보호’, ‘환경보호’, ‘건강’이 주요 결과로 도출되었다. 이로부터 충족되는 궁극적인 가치는 ‘윤리적 삶’, ‘지속가능한 미래’, ‘삶의 질’이다. 채식을 통해 다양한 가치가 충족되지만 ‘인프라 부족’, ‘편견’, ‘인지 부족’ 등으로 인해 대다수의 채식주의자가 채식 생활에서 ‘불편함’을 겪는다고 나타났다. <연구2>에서는 채식주의자와 잡식주의자의 식품선택동기, 식이 정체성을 비교하고 제품화된 식물성 식품에 대한 인식, 구매행동, 선택속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총 49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SPSS Statistics 22.0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채식주의자와 잡식주의자는 식품선택동기, 식이 정체성 및 제품화된 식물성 식품에 대한 인식, 구매행동, 선택속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식품선택동기에 있어서 윤리적 관심(Ethical Concern), 건강(Health), 편의성 및 가격(Convenience & Price) 요인에서는 채식주의자의 점수가 더 높은 반면 감각적 측면(Sensory Appeal), 체중 관리(Weight Control) 요인은 잡식주의자의 점수가 더 높았다. 식이 정체성의 복합 동기(Complex motivation) 요인과 엄격성(Strictness) 요인에서는 채식주의자의 점수가 더 높았고 외집단 평가(Out-group regard) 요인과 대중적 평가(Public regard) 요인에서는 잡식주의자의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제품화된 식물성 식품(Plant-based food products)에 대한 인식에서 채식주의자 148명(60.4%), 잡식주의자 160명(65.0%)이 긍정적이라고 응답하여 두 그룹모두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채식주의자 80명(32.7%)이 양가적으로 인식하고 있고, 잡식주의자 54명(22.0%)은 의견 없음으로 응답하여 차이가 있다. 제품화된 식물성 식품에 대한 세부 인식에 있어서 맛이 좋을 것(Good taste), 동물 생명 살리기에 도움이 될 것(Animal-friendly), 개인적 가치에 부합(Personal value)하는지에 대한 인식에서는 채식주의자의 점수가 높았고, 건강에 도움이 될 것(Good for health), 환경보호에 도움이 될 것(Environmental-friendly)에서는 잡식주의자의 점수가 더 높았다. 제품화된 식물성 식품의 구매 빈도에 있어서 ‘식물성 대체 육류(Plant-based meat)’, ‘비건 베이커리류(Vegan bread and cake)’, ‘비건 과자류(Vegan snack, chocolate, and jelly)’의 경우 채식주의자가 더 자주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인 콩 가공품(Traditional soybean product)’과 ‘식물성 대체 우유(Plant-based milk)’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새로운 식물성 식품 구매의향에 있어서 채식주의자는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 응답이 높은 반면 잡식주의자는 ‘약간 그렇다’와 ‘보통이다’ 응답이 많았다. 새로운 식물성 식품에 대하여 채식주의자는 ‘비건 식품(Vegan foods, 완전채식 식품)’이라는 표시를 선호하고, 잡식주의자는 ‘식물성 식품 (Plant-based foods)’이라는 표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화된 식물성 식품에 대한 선택속성에서 채식주의자는 원재료(Ingredients) 속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잡식주의자는 맛(Taste) 속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재료(Ingredients), 첨가물 여부(Addictive), 가공 정도(Processing degree), 포장재(Packing materials), 생산 방식(Way of producing)은 채식주의자가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맛(Taste), 영양 강화(Nutrient-enhanced), 가격(Price), 편의성(Convenience), 브랜드(Brand), 디자인(Design), 광고(Advertising), 독창성/새로움(Uniqueness)에 대해서는 잡식주의자가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이 정체성을 조사한 DIQ의 4가지 요인이 식품선택동기를 나타내는 FCQ의 6가지 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중 회귀 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식이 정체성 요인이 식품선택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동안 연구가 미비했던 한국인 채식주의자의 채식에 대한 가치체계를 탐구하여 한국인 채식주의자의 채식에 대한 인지구조 개념을 정립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채식주의자와 잡식주의자의 특성을 비교하교 식물성 식품에 대한 인식과 기대를 조사하여 추후 진행될 다양한 연구의 기반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속 가능하며 환경 친화적이고, 윤리적이고, 건강한 식생활 문화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Vegetarians are increasing worldwide. Vegetarianism is no longer just food-related, rather it evokes various meanings such as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nd animal welfare. In the West, many studies examined vegetarians’ motivations, which related to animal, health, and environmental concerns. In South Korea,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in this area despite the growing number of vegetarians. The aim of the <study 1> is to identify the hierarchical value maps (HVM) of vegetarians, understand more deeply why they are vegetarians, and investigate the dark side as well as the good. I conducted in-depth one-to-one laddering interviews with 33 vegetarians in South Korea based on means-end chain theory. Laddering technique is a qualitative approach to determine the linkages among attributes, consequences, and value. The results suggest that vegetarians tend to value on ethical life, sustainable future, ecological circulation system, responsibility for nature, respect for life, respect for the weak and quality of life. HVM differs slightly in groups by vegetarian type (vegans and non-vegan vegetarians), gender (females and males), and age (20s and 30s), but it was similar overall. The most dominant cognitive structures toward vegetarian foods were ‘meatless’, ‘no factory farming’, and ‘plant- based’ (attributes), ‘health’, ‘environment-friendly’, and ‘animal-friendly’ (consequences), ‘quality of life’, ‘ethical life’ and ‘sustainable future’ (values). This insight will help us understand vegetarianism especially in South Korea. Although vegetarians are increasing worldwide, both the total amount and average per capita consumption of meat is increasing. Thus, detailed insight into consumers’ perceptions, expectations, and attitudes towards plant-based food products can help promote plant-based foods settle and continue in the market. Hence, the purpose of the <study 2> is (1) to identify food choice motives, dietarian identity, (2)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purchase behavior, and what attributes that vegetarians and omnivores expect of plant-based foods and (3)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vegetarians and omnivores. I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245 vegetarians and 246 omnivores to collect data. The results suggest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vegetarians and omnivores. In the food choice motivation, vegetarian scored higher in the factors of ‘ethical concern’, ‘health’, and ‘convenience and price’, while omnivores responded higher in ‘sensory appeal’ and ‘weight control’ factors. In dietary identity, vegetarians scored higher in the ‘complex motivation’ and ‘strictness’ factors, on the other hand omnivores scored higher in ‘out-group regard’ and ‘public regard’ factors. More than half subjects take a positive view on plant-based food products, but some vegetarians thought ambivalent, and some omnivores had no opinion. For plant-based food products, vegetarians valued on ‘ingredient’ most importantly, whereas omnivores valued ‘taste’ the most. This study established the concept of cognitive structure on vegetarian diets by exploring the value system for vegetarians of Korean vegetarians. Also, this study identified the differences between vegetarians and omnivo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research on Korean vegetarians. Ultimat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advancing environmental, good for health and ethical plant-based food culture.

      • 또래교수 담론에서의 근접발달영역에 관한 사례 연구 : 지수함수 과제 해결을 중심으로

        김가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또래교수 학습법을 활용한 수학 교수학습과정에서 집단별로 수학 성적이 다른 또래학습자의 3개의 집단에서 각 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이 학습법을 활용하고자 하는 교수자에게 교수학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수학 성적 최상(A)․상(B)․중(C)․하(D)위 집단에서 연구 참여자를 각각 한명씩 선정하여 수학 학업 성취도가 가장 높은 학생이 또래교수자가 되고, 나머지 3명의 학생들이 또래학습자가 되어 A-B, A-C, A-D의 3개의 집단을 구성하였다. A-B, A-C, A-D의 각 집단별 의사소통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설명하는 기회를 가지도록 하였으며, 이를 촬영한 비디오 자료와 사전․사후 활동지를 분석한 질적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담론 전사본과 활동지를 열 네개의 문제에 대하여 구조화된 자료를 비교․대조하여 세 집단에서 보이는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또래교수자에게 또래교수 학습법이 어떤 도움을 주고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장면을 제시하고 있으며, 또래학습자의 성적 차이가 집단 별로 다를 때 수학적 담론의 특징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또래교수의 집단 구성을 할 때 성적의 차이를 고려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여 또래교수의 집단 구성 방법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vides an implication of further teaching learning process by analyze the common and difference and characteristic of mathematical self-efficiency between three peer tutoring groups discourse in the mathematical teaching leaning process that use peer tutoring. To achieve this goal, three groups formed that consist of one peer tutor who received a first grade of mathematic achievement and one peer student. Peer student of each group is divided into high grade, middle grade, low grade of mathematic achievement. Then analyze the discourse in the exponential function problem solving process.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peer tutor uses different communication strategy and signifier depend on grade of peer student during problem solving process. Second, Active communication and divers strategies and reasoning and demonstration appeared on high grade peer student group than low grade peer student group during problem solving process. Third, Four type of the Mathematical process norms are apparent in the mathematical teaching leaning process that use peer tutoring. Fourth, Positive changes has appeared on mathematical self-efficient of peer tutor and peer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this paper provides a concrete example of merit of peer tutoring on the peer tutor. Result of study also provides a practical help to make a peer tutoring group by considering a difference of grades between peer tutor and peer student.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of mutual discourse on the tutoring group that consist of similar grades.

      • 민간전통공연예술단체의 진흥에 관한 연구

        김가현 고려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Korean traditional art is not only a part of modern Korean cultures but cultural heritage which is a foundation of Korean cultures. However, the prototype of traditional arts was destroyed by recklessly introducing western cultures and suppressing Korean traditional arts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Cultural flunkeyism (sadaejuui) had become rampant. Also, the opening of Japanese culture and Chinese culture in 1990s caused people's indifference to Korean tradition arts to deteriorate, which consequently results in making the distance between Korean traditional arts and the public farther and farther. Concerns on these crises and the issue on creating new values through traditional cultural arts and begun to be discussed in the field of traditional arts. For example, in the perspectives of cultural democracy, citizens can enjoy every public arts, and the genres of arts should be freely chosen. Plus, the idea that the public should be able to enjoy traditional arts which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ultural experience and cultural participation, put a value on audience, and prioritize audience's participation, is being increased. There is a trend to increasingly expand supports of the government and traditional art organizations for the cultural art industry by perceiving culture as a high-value industry in the 21st century. On top of that, supports for cultural arts are being increased. Currently, most of traditional performances in Korea are put on for free owing to the support policy by the government. It is difficult to find traditional performances which are performed without external supports. Traditional performances are mostly conducted by private organizations having a difficulty in securing finances and the capacity of the organization. Additionally, company support is limited to specific sectors such as classic music and movies which the public are more interested in. That is, compared to other genres, company support for Korean classical music and traditional arts is little. Hereafter, the support policy for traditional arts, and the capacity of traditional arts organizations to self sustain are imperative to improve in order to popularize and promote traditional arts. This study suggested measures to improve supports for traditional art organizations as well as effective strategies allowing private traditional art organizations to strengthen its self sustain and its competitiveness by analyzing the actual situation of private traditional art organizations, and examining problems which the private traditional art organizations encounter. First,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which enables audience to meet their desire for enjoying performances and allows the Korean ethnic identity to be established is necessary. In the 21st century, there is a global trend that not only does the culture industry significantly influence the success and the failure of economic policies in each country but also the culture industry is boosted as the strategic industry. Accordingly, plans for becoming global by content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the ethnic inherent identity are necessary. Plus, fostering management experts who can invigorate the market of traditional performances is necessary. Since professional art management does not only work through fostering artists, the specialized education organizations for art management need to be set up. Further, based on cases of successfully promoting traditional arts in this study,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s need to be aggressively modernized and have their own brand by developing various cultural contents about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s. Second, in order to invigorate the private traditional art organizations, mecenat needs to strengthen. For doing this, tax deduction for companies which support arts by donation activity, the expansion of advertisement seeking the profits of both private art organizations and corporations, and the network between firms and the Korea mecenat association need to be promoted. Also, mecenat can be reinforc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platform related to traditional arts. In recent days, this platform can mediate cloud funding characterized by investment and sponsor which allows raising funds from a majority of people and agencies. Third, now that existing performances created by a private art organization do not meet audience' demands, innovative change in traditional performances is necessary. In order to fortify the capacities of artists and the management, systematizing and specializing the management of art organizations are necessary by offering management programs specialized in cultural art organizations. Art facilities should be built in the area where there are few infrastructures relevant to arts. Consequently, constructing art facilities enables citizens throughout the nation to enjoy arts. That is, the region imbalance in arts can be solved. Information needs to be provided in various ways to help consumers to understand the products of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For example, endeavors to develop the marketing channel such as collaboration with other businesses are necessary. Furthermore, plans for securing funds including the cost of the promotion by meticulously analyzing the market in the intial phase should be considered. Key words : private traditional art organization, public traditional art organization, cultural democracy, cultural art management, support policy for an art organization 전통예술은 현대 우리 민족문화의 일부분이면서 그 근간이 되는 문화유산이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전통문화의 억압과 무분별한 서양문화의 도입으로 전통예술의 원형이 훼손되었으며 문화사대주의가 팽배하게 되었다. 또한 1990년대 일본과 중국 문화의 개방으로 우리 전통예술을 외면하는 경향이 심화되어 최근에는 대중과의 거리가 더 멀어지고 있다. 전통예술계에서는 이러한 위기의식과 함께 전통 문화예술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지에 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예를 들어서 문화민주주의적 시각에서 모든 대중예술이 시민들에게 향유되어야 하고, 예술 장르들이 자유롭게 선택되어야 하며 예술제작, 문화참여와 문화경험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관객을 중시하고 관객의 동참을 최우선으로 하는 전통예술은 모든 대중이 즐길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들이 많아지고 있다. 21세기는 문화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성장하여 인정받는 시대임을 인식하여 정부와 전통예술계는 문화예술 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는 추세이다. 그와 더불어 문화예술에 대한 지원도 확대되는 추세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상연되는 전통공연은 대부분 정부의 지원정책으로 인해 무료로 공연되고 있으며, 외부지원 없이 자비만으로 공연하는 경우를 찾기는 쉽지 않다. 전통공연은 대부분 민간단체에 의해 공연되고 이들 단체는 재원확보와 단체 역량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기업의 지원도 클래식 및 영화 등 대중의 수요가 많은 특정 분야에 한정되어 있고 국악․전통예술에 대해서는 그 비중이 낮은 편이다. 향후 전통예술의 대중화와 진흥을 위해서는 지원 정책 개선과 함께 관련 단체의 자생력 제고가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민간전통공연예술단체의 현황을 분석하고, 이들이 겪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전통공연예술단체 지원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며, 우리 민간 전통공연예술단체의 자생력과 경쟁력 강화에 효율적인 전략을 제시하였다. 첫째, 대중들의 관람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한국의 민족적 정체성이 확립된 세계적 문화콘텐츠의 개발이 필요하다. 21세기는 문화산업이 각국 경제정책의 성패를 좌우할 것이며 문화산업이 전략산업으로 부상하는 것이 세계적 흐름이다. 따라서 민족 고유의 정체성이 확립된 콘텐츠로 세계화하는 방안과 함께 문화산업으로써 전통공연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는 전문 매니지먼트 인력 양성이 필요하며, 아티스트 양성만으로는 전문 예술경영이 불가능하므로 전문화된 예술경영 교육기관 설립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더 나가서 본고에서 소개한 진흥성공사례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전통 공연에 대한 다양한 문화콘텐츠 개발로 현대화 및 브랜드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민간전통공연예술단체의 활성화를 위해 메세나 강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기업후원에 대한 기부금 세제혜택, 민간예술단체와 기업의 이익을 함께 추구하는 광고확대, 한국메세나협회의 기업과의 네트워킹 강화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최근에 다수에게서 자금을 모집할 수 있는 투자형과 후원형의 크라우드 펀딩을 중개할 수 있는 전통예술 관련 플랫폼의 도입도 메세나 강화를 위해서 필요하다. 셋째, 종전의 구태의연한 민간공연예술단체의 공연이 혁신적으로 변화해야 한다. 예술인 및 경영진 역량강화를 위해 문화예술단체에 특성화된 경영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운영조직의 체계화와 단체운영의 전문화를 꾀할 필요가 있고, 문화예술향유의 지역 간 균형을 위해 예술 인프라 취약 지역의 시설구축이 요구되며, 전통공연 상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이해를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의 정보제공, 타 업종과의 협업 등 마케팅 창구를 개발하는 노력을 강구해야 하며 홍보비용 또한 초기단계부터 세밀한 시장분석을 통해 재정확보 방안도 강구해야 한다.

      • 영어 공용화 언어정책에 관한 미디어 담론분석 : LG전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가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본 연구는 기업의 언어정책, 특히 특정 언어의 지위를 공용어로 설정하는 영어 공용화 정책의 담론적 실천을 분석하기 위해 국내 대기업 LG전자가 영어 공용화 정책을 공표하고 도입을 위한 사전작업부터 실질적인 정책의 시행, 그리고 철회까지의 과정을 다룬 미디어 보도기사를 분석하여 담론적 실천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텍스트의 내적 관계 분석을 통해 어휘의 은유적 활용, 반복적 사용을 통해 주제가 있는 어휘관계가 만들어지고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텍스트 내에서 개인은 경쟁 속에서 끊임없이 자기계발을 요구 받고 있었으며 이들이 계발해야 할 영어능력은 원어민의 것으로 그대로 습득되어야 한다는 기정사실화된 전제가 설정되고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었다. 또한 의무서법의 사용을 통해 이러한 전제가 권위를 확보하고 합당성을 부여 받게 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텍스트와 텍스트의 사회적 실천을 매개하는 담론 수준의 분석을 통해서는 보도 장르, 특히 해당 사건에 관한 다양한 사실과 이해관계자들의 인터뷰를 직간접적으로 다룬 기획기사들을 통해 취업 준비생들을 청자로 가정하고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도 수행하는 것을 발견했다. LG전자의 영어 공용화 정책에 따라 임직원들에게 요구되는 영어능력과 이를 습득하기 위한 학습방식 등 개인의 실천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수사가 지속적으로 전달되고 있었다. 또한 텍스트를 통해 영어와 영어 능력에 대한 특정한 표상방식인 담론들(discourses)이 형성되어 있었으며, 영어가 생존을 위한 도구이고, 말하기 시험과 같은 도구를 통해 증명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와 더불어 소통과 협력을 위한 영어의 필요성 또한 또 다른 담론으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텍스트의 사회적 실천을 살펴볼 수 있는 텍스트 외적 관계 분석을 통해서는 전통적인 언어관인 단일언어주의가 글로벌 기업 LG전자의 영어능력에 지배적으로 등장함을 알 수 있었다. 토종과 원어민의 영어능력을 대립시키며 영어가 원어민의 것으로 태생적이고 생득적이라는 인식을 전제로 한 단일언어주의는 미디어 보도에 지배적으로 등장하고 있었다. 또한 시장의 원리로 전체와 개인의 행위를 측정하고 관리하는 신자유주의 역시 미디어 보도 전반에 반복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는 이념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LG전자의 영어 공용화 언어정책 사례를 통해 언어정책에 언어에 대한 편향적인 시각인 단일언어주의적인 관점을 발견하고, 개인에게 과도하게 부과되는 자기계발과 교육에 대한 책임을 담은 신자유주의적인 관점을 발견하였다. 동시에 영어 공용화 정책의 도입에 따라 새롭게 발견되는 소통과 협력의 가치, 문화의 교류를 통해 언어의 개방성, 자원성이 대안적인 언어 담론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discourse practice of corporate language policy, especially that of English common language project. To this end, this research employs media discourse analysis based on Fairclough’s methodology and examines the discourse practice by analyzing articles on the newspaper covering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e policy from pre-work to implementation of practical policies and withdrawal of the policy in LG Electronics.  Of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internal relations offers that the metaphorical use of the vocabulary and the repeated use of the word made the topical relations between words. In the text, workers in LG Electronics were constantly asked to develop themselves in competition. And it is established and emphasized by the relations of the words that the English skills they needed to develop should be acquired as native speakers. The use of the mandatory law gives the authority and legitimacy to those premises.  Secondly, through a discourse-level analysis, it is also found that the reporting genre, especially the special features that directly or indirectly dealt with various facts and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on the case, assumes job seekers as listeners and plays a role in providing relevant information. Under LG Electronics' policy to make English as a common language, detailed investigations of individuals' practice, including the English proficiency required by its executives and employees, and their learning methods to acquire them, were continuously being forwarded. The analysis of external relations suggests that the monolingualism, a traditional linguist, was dominant in the English proficiency of global company LG Electronics. In addition, neo-liberalism, which measures and manages the behavior of the individuals by market principles, was also seen as a recurring ideology in the media coverage.  To sum up,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monolingualism and neo-liberalism in language policy is an outdated perspective for languages. In this sense, this study suggests an alternative view on the value of th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nd cultural exchange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English common language project.

      • 대학생의 노부모부양의식에 대한 연구

        김가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사회에서 젊은 세대의 노인 부양부담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노인에 대한 부양가치관 및 부양에 대한 태도는 변화하고 있다. 서구적 가치관의 유입 및 확산으로 개인주의적 성향이 강화되었고, 가족의 노부모 부양 기능이 약화되었다. 이러한 가치관의 변화는 가족의 노인보호 기능을 현저히 약화시켜 노인부양을 사회문제로 가져오는 하나의 원인이 되었다. 현 시대에 적합한 공적부양체계를 발전시켜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지금, 젊은 세대의 노부모 부양 의식이 어떻게 확립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전반적인 부모부양의식을 살펴보고, 효 이데올로기, 애착이론, 교환이론을 바탕으로 한 전통적 관계, 정의적 관계, 교환적 관계가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력 정도를 파악하는 데에 있다. 연구 결과, 우선 대학생들의 전반적인 부모부양의식은 높게 나타났다. 특히 남성이 여성에 비해 높은 부양의식 정도를 나타냈다. 둘째,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부모부양의식은 효 이데올로기적 변인, 애착 이론적 변인, 교환 이론적 변인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경제적 부양의식은 보상지각정도와 애착정도가, 정서적 부양의식은 모든 독립변수에서, 신체적 부양의식은 애착정도만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이론적 변수들이 대학생들의 부모부양의식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 정도를 살펴보면, 애착이론의 하위변수인 애착정도가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보상지각정도를 하위변수로 설정한 교환이론 역시 대학생들의 부양의식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효 이데올로기적 변인들은 애착이론이나 교환이론에 비해 상대적인 영향력이 미비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