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람을 돕는 직업군(helping professions)' 중년기 여성의 진로 전환 경험

        김미령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국문 요약 ‘사람을 돕는 직업군’ 중년기 여성의 진로 전환 경험 본 연구는 생애 이야기 속에서 드러나는 중년기 여성의 ‘사람을 돕는 직업군(Helping professions)’ 진로 전환 경험을 분석하고 사회적 맥락과 내면적 경험을 심리 체계적 접근 속에서 탐구한다. 이를 토대로 중년기 여성의 진로 전환을 위한 목회적 돌봄과 상담코칭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중년에 ‘사람을 돕는 직업군’으로 진로 전환을 한 7명의 기혼 여성들이며, 자료는 Schütze의 생애사적-이야기식 방법을 통해 수집 되었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첫째, 생애사 연구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연대기적 주제 도출을 위해 Rosenthal의 내러티브 생애사 연구방법론과, 삶의 영역, 전환점, 적응으로 분류하는 Mandelbaum의 방법을 분석의 틀로 삼았다. 둘째, 목회 연구 방법론인 Graham의 심리 체계적 접근과 Neuger의 상관 관계적 나선 방법론을 사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7명 각각의 연대기적 생애사 속에서는 이야기된 생애사와 체험된 생애사를 통해 진로생애 단계별 진로 이야기가 사회 시대적 배경 속에서 나타났다. 주제별 분석을 통해서는 삶의 영역 3개, 전환점 4개, 적응방식 7개의 진로 전환 경험과 관련된 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삶의 영역에 대한 주제는 진로 생애의 발달적 전개를 보여주는 것으로, ‘처음 품은 꿈의 실현과 좌절’, ‘관계 속 갑작스러운 사건들의 영향’, ‘사회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새롭게 발견하는 나’로 나타났다. 둘째, 전환점은 중년에 진로 전환의 직접적 촉발이 된 계기들을 포함한다. 이에 대한 주제는 ‘예상치 못한 아픔과 그 현장에 머무름’, ‘진정한 욕구를 성찰하게 던져진 질문들’, ‘우연히 경험하게 된 기회 속에서 반응하기’, ‘생계를 위한 선택과 숨어있는 능력의 발휘’이다. 셋째, 적응 방식은 연구 참여자 각자의 생애를 통해 보이는 삶에서의 적응 방법들이며, 이러한 적응 방식은 참여자들에게 실제 중년 진로 전환의 선택과 결정의 이유가 되는 중요한 가치로 작용되어 나타났다. 적응 방식에 대한 주제는 ‘실천적 배움과 결단’, ‘궁극적 질문과 성찰’, ‘추구하는 가치 지켜내기’, ‘허용의 범위를 넓혀가기’, ‘깊이를 더하도록 선택하고 실행’, ‘진정한 자유를 찾고 누리기’, ‘세상의 필요를 보고 따라가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람을 돕는 직업군’ 중년 여성의 진로 전환 경험을 생애 전반과 개인을 둘러싼 체계로 확장하여, 사회적 맥락 속에서 심리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진로 전환의 주제를 통합적으로 고찰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심리내적 접근을 통해 여성의 경험에 대한 내면의 무의식적 역동을 원형적으로 접근함으로써 경험의 해석을 풍부하게 하였고, 중년 시기의 내향적 에너지 추구를 진로 전환의 경험에 접목하는 시도를 하였다. 나아가 진로 관련 논의와 관련성이 높은 소명의 주제에 대해, 소명에 작용하는 긍정적/부정적 축과 사회문화적/심리내적 축을 사용하여 혼돈 속에서 전체성을 향해 나아가는 나선의 실질적, 통합적 모형을 제안함으로써 소명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 ‘사람을 돕는 직업군’ 중년 여성의 진로 전환 경험은 네 가지 관점 속에서 논의되었다. 첫째, 진로 구성적 관점을 통해서는, 생애를 관통하는 진로 이야기 속에서 진로 관련 행동의 이유가 되는 생애 주제와 직업적 성격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여성의 생애를 통한 진로적응은 성역할 고정관념, 성장기 진로 결정에 대한 부모의 영향과 시대적 사건들을 통해 진로 타협을 거치게 했고, 무엇보다 출산과 육아로 인한 변화 속에서 사회와 상호작용하며 진로를 구성해 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원형적 관점을 통해서는, 개인의 내적이고 심층적인 인식과 경험이 진로 관련 행동에 어떻게 연관되며 작용되었는지를 논의했다. 인과적이기 보다는 내적으로 끌리는 직관과, 변화를 추구하는 창조성 속에서 자율적으로 의미를 부여하는 움직임이 드러났다. 원형적 관점 속에서 ‘사람을 돕는 직업군’으로 진로 전환을 한 중년 여성의 경험을 네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타고난 관계적 특성을 지녔지만 중년에 비로소 돕는 일로 전환을 한 ‘다이몬의 부름’ 형, 자신의 고통 경험이 동기가 되어 같은 상처를 가진 사람들을 돕고자 하는 ‘상처 입은 치유자’ 형, 지속적인 삶의 질문을 가지고 자신의 답을 찾아가는 속에서 돌봄을 실현하는 ‘사원의 구도자’ 형, 시대의 필요를 바라보면서 돌봄의 일들로 들어선 ‘돌봄 시대의 딸’ 형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특징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진로 전환 여정을 여성 영웅의 여정, 개성화의 여정으로서 확인하였다. 셋째, 신학적 관점에서는 심리 체계적 접근을 통해 여성의 내적 외적 경험들을 체계의 움직임 속에서 바라보며 논의하였다. 심리체계의 중심이 되는 개인의 실제 경험에 여성 주의적 입장의 상관 관계적 나선 방법을 접목하여 여성 경험의 폭과 깊이를 더하였다. 이러한 여성의 경험 속에서 신학적 주제는 내적으로 형성된 하나님 이미지와 진로의 상관관계를 드러냈다. 중년의 진로 전환은 체계 속에서 창의적 진보로서 작용하였고, 진로 생애 속에 나타나는 힘의 불균형은 여성의 진로 경험 속에서 해체가 요구됨이 보여 졌다.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 속에서, 여성의 진로 속에 경쟁하는 가치들은 성취와 관계적 가치 사이에서 지혜로운 통합을 요구하며, 그 중심에 사랑의 힘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중년 여성의 이러한 진로 전환은 자기실현, 사회의 필요와 맞물리면서 체계 속에서 선순환이 됨을 확인하게 했다.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중년 여성의 진로 전환을 위한 목회적 돌봄과 상담코칭을 위한 모델을 제안하였다. 과정을 돕는 모델로 ‘창조적 나선 진로 구성 모델’을, 소명의 주제를 중심으로 한 모형으로 ‘자기실현적 진로 전환을 위한 통합적 소명 모형’을 각각 제안하였다. 창조적 나선 진로 구성 모델은 ‘일상의 진동 감지’, ‘내적 하강과 머무름’, ‘원형과 소명의 만남’, ‘선순환의 진로행보’의 네 단계로 이루어지며, 여성영웅 여정의 원형과 유사하지만 원래의 자리로 돌아오지 않고 지속하여 나아가는 나선의 형태를 가진다. 통합적 소명 모형은 긍정적/부정적 축 속에서 전체성을 추구하며 통합으로 나아가고, 사회문화적/심리내적 영역의 축 속에서 세상의 필요와 원형의 부름을 통해 온전한 소명을 추구하는 구조를 갖는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주요어: ‘사람을 돕는 직업군’, 중년기 여성, 진로 전환, 소명, 원형심리학, 진로 구성, 상관 관계적 나선, 심리 체계적 접근, 생애사 방법론 ABSTRACT Career Transition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in 'Helping professions’ Kim, Mi Ryung Department of Theolog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This study analyzes the career transition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to ‘helping professions' revealed in life stories, and explores social context and inner experiences in a psychological and systematic approach. Based on this exploration, a model for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coaching which are for middle-aged women was proposed. Participants included in this study were seven married women who changed their careers to the ‘helping professions’ in the middle ages. All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chütze's life history-story method.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first, a life history research methodology was used, Rosenthal's narrative life history research methodology and Mandelbaum's method that categorizes life domains, turning points, and adaptations into chronological themes were used as the framework of analysis. Second,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Graham's psycho-systemic approach and Neuger's correlated spiral methodology, which are pastoral research methodolog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chronological life history of each of the seven people, the story of the career path by each stage of the career life through the talked life history and the life history experienced appeared in the background of the social period. Through the thematic analysis, the 3 areas of life, 4 turning points, and 7 adaptation methods were identified as the related topics, respectively. First, the subject of life is to show the developmental unfold of career life: ‘the realization and frustration of one's first dream’, ‘the effects of sudden events in a relationship’ and ‘a newly found me in interaction with society’. Second, the turning point involves opportunities that have become direct triggers for career transition in middle age. The topics include ‘unexpected pain and staying on the scene’, ‘reaction in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real needs’, ‘choice for living and the use of hidden abilities’. Third, the adaptation methods are the way of adaptation seen in the lives of each participant throughout their respective lives, and these adaptation methods have been shown to serve as an important values for the participants to choose and make decisions on real middle-aged career transitions. The topics for adaptation methods were ‘practical learning and determination’, ‘questions and reflection on the ultimate’, ‘keeping the value to pursue’, ‘selection and execution to add depth’, ‘find and enjoy real freedom’ and ‘following the needs of the world’, respectively. This study has significancy in that it has expanded the experience of career transition of middle-aged women in ‘helping professions’ into a system surrounding their entire lives and individuals, and considered the topic of career transition in an integrated way by psychologically exploring in social context. Through an psychological approach, the interpretation of the experience was enriched by approaching the inner unconscious dynamics of women's experiences in a archetypal manner, and an attempt to combine the introverted energy pursuit of the middle age with the experience of career transition was made. Furthermore, a model for career-related discussions and highly relevant topics of calling, the practical and integrated model of the spiral moving toward wholeness in chaos with the positive/negative axis and the socio-cultural/psychological axis acting on the calling broadened the understanding of the calling, has been proposed and leaded to broadening the understanding of the calling. The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s career transition in ‘helping professions’ was discussed in four perspectives. First, from a career construction perspective, life themes and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were found as reasons for career-related actions in the story of career through life. It has been confirmed that career adaptation through women's lives has undergone career compromise through gender role stereotypes, parental influences on career decisions, and the events of the times, above all, they have been interacting with society and forming a career path amid changes caused by child-birth and child-care. Second, through a archetypal perspective, we discussed how an individual's intrinsic and in-depth perceptions and experiences were related to and acted on career-related behaviors. The move to give meaning autonomously has been revealed in the midst of an introspection that is drawn internally rather than causal, and creativity that pursues change. The experiences of middle-aged women who changed their careers to ‘helping profession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from a archetypal perspective. The four types are ‘Daimon's Call’ who had natural relational characteristics but transits to helping in the middle age, ‘Wounded Healer’ who motivated her pain experience to help people with the same wounds, ‘The Seeker of Truth in the Temple’ who realized taking care of oneself with continuous questions of life, and ‘Daughter in the Age of Care’ who does the things of care while looking at the needs of the times. Furthermore, the journey of career transition was confirmed as a journey of female heroes and individuation. Third, from the theological point of view, women's internal and external experiences were discussed in the movement of the system through a psychological systematic approach. The breadth and depth of female experience were added by grafting the correlated spiral method of feminist perspective to the actual experience of the individual, which is the center of the psychological system. In these women's experiences, the theological theme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ly formed image of God and the career. The middle-aged career transition served as a creative advancement in the system, and the imbalance of power in career life was shown to require dismantlement in women's career experiences. Values ​​competing in women's careers in work-family balance require wise integration between achievement and relational values,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power of love is at the center. This career change of middle-aged women made it a virtuous cycle in the system, in line with self-realization and social needs.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e study, a model for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coaching, which are for middle-aged women was proposed. As a model for the process, a ‘Creative spiral career construction model’ was proposed, and a model centered on calling, an ‘Integrated calling model for self-realistic career transition’ was proposed, respectively. The creative spiral career construction model consists of four stages: 'detection of the vibration of everyday life', 'inner descent and stay', 'the meeting of the archetype and the calling', and 'the path of the virtuous cycle'. It is similar to the archetype of the female hero's journey, but it has the form of a spiral that does not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continues to progress. The integrated calling model has a structure that pursues wholeness in the positive/negative axis, advances toward integration, and pursues a whole calling through the needs of the world and the calling of the archetype in the axis of the sociocultural/psychological domain.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Key word: Helping professions, Middle-aged women, Career Transition, Calling, Archetypal psychology, Career construction, Correlational spiral, Psycho-systemic approach, Life history methodology

      • 이혼자들의 이혼 후 성장 경험에 관한 연구

        오은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이혼자들의 적응 경험을 부정적인 측면에서만 보아왔던 기존의 시각을 개정하여, 이혼과 같은 외상적 사건과 스트레스 경험이 성장경험의 촉매제가 되어 의미 있게 사용될 수 있다는 외상 후 성장 및 역경 후 성장이론의 관점을 통해 이혼 후 성장 경험의 현상과 구조적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이혼자들을 위한 개입과 돌봄의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12명의 이혼 경험자를 대상으로 면담을 시행하고 질적 연구를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연구자는 질적 연구 방법 중 Creswell(2010)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자료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자는 질적 연구의 결과인 현상학적 자료에 대한 신학적 성찰을 위하여 Larry K. Graham(1992)의 심리체계이론과 Watkins Ali(1999)의 목회신학 방법론을 접목하여 이혼자들의 이혼 후 성장 경험에 대한 체계적인 신학적 성찰을 수행 했을 뿐만 아니라 이혼자 돌봄을 위한 ‘체계적 재구성을 통한 수정된 회개 모델’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또한 성장 경험을 기독교 신학의 개념인 ‘성화’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비교하여 목회 상담적 성찰을 시도하였다. 이혼자들의 이혼 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의 결과로 11개의 범주와 46개의 주제모음을 도출하였다. 먼저, 이혼자들은 이혼 사건 이후 적응 과정에서 이혼의 후유증인 5개의 범주를 드러냈다. ‘부정적 정서, 부정적 인식, 그 외 부정적 경험, 남겨진 과제, 성적욕구 문제’ 이다. 두 번째, 이혼자들은 범주 6을 통하여 ‘이혼 적응을 위한 대처 전략’을 사용하였다. 세 번째, 범주 7은 이혼 적응, 변화요인(일반경험) 이고 범주 8은 이혼적응, 변화요인(영성경험)이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이혼자들의 적응에 있어서 한국 사회의 인식이 더 이상 부정적으로만 작용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또한 이혼 적응과 변화경험에 신앙과 영성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사실도 드러났다. 네 번째,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물인데, 이혼자들 개인의 삶과 타인과의 관계, 그리고 인생철학에 있어서 성장이라고 하는 변화를 경험한 것이다. 이것이 범주 9. 개인의 변화, 범주10. 타인과의 관계변화, 범주11. 인생철학의 변화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의한 이혼자들의 이혼 후 성장 경험의 본질적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이혼자들은 이혼 사건을 경험하고 나서 후유증인 심리적, 육체적, 정신적 고통을 겪는다. 이런 부정적인 경험들은 이혼자들의 세상에 대한 핵심신념과 가정에 충격을 주어 새로운 인지체계를 형성하는 촉매제가 되었고, 새로운 삶의 전환을 가져와 성장으로 이끌었다. 두 번째, 본질적 구조는 이혼 적응을 위해여 대처전략을 사용했는데, 연구 참여자들 대부분은 긍정적 대처 전략을 사용했고, 소수는 부정적 대처전략과 긍정적 대처전략을 동시 사용하였다. 이들의 대처전략 중에서 반복적인 사고와 건설적 자기 노출이 이혼의 고통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 세 번째, 이혼자들의 적응과 변화 경험에 가장 크게 기여한 요인은 ‘신앙생활 및 영성적 대처 요인’이다. 이 전략은 이혼직후 초기부터 사용되었고, 다른 방법들과 달리 가장 쉽게 주변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장 큰 효과를 거두는 방법이었다. 그러므로 앞으로 이혼 연구에 있어서 영성적 작용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더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질적 구조는 이혼 경험으로 인하여 개인의 성장, 타인과의 관계성장, 인생철학의 성장이라고 하는 변화 현상이다. 이러한 결과는 역경 후에 성장이 일어난다는 ‘역경(외상) 후 성장 이론’과 역경(외상) 후 성장이 심리적 안녕에 기여한다는 이론과 맥락을 같이한다. 그런 점에서 본 연구는 이혼 사건을 부정적이고 쓸모없는 경험으로만 인식했던 사회와 개인들에게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개인이 경험하는 이혼의 고통과 아픔이 의미 없는 사건이 아닌 개인의 성장을 도모하는데 중요한 밑거름을 제공할 수 있다는 중요한 교훈을 남긴다. 아울러 이러한 결과는 이혼자들을 돕기 위한 개입과 전략수립에 중요한 인식적 도움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se the existing perspectives on the negative aspects of the divorce adjustment processes. The theory of “posttraumatic growth or growth following the adversity” suggests that traumatic and stressful environment, such as divorce, can be a catalysis for the experience of growth.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henomena and the structural meanings of growth experience, Based on this examination, it will provide the strategies for intervention and care for divorcees. In order to conduct a qualitative research, researcher completed interviews with 12 divorcees and implemented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by Creswell (2010), among other availabl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phenomenological data, researcher adopted the psycho-systems approach by Larry K. Graham (1992) and the pastoral theology methodology by Watkins Ali (1999). This study newly suggests ‘a revised metanoia model through systematic reconstruction’ for the care of divorcees. Furthermore, the posttraumatic experience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compared in the aspects of "sanctification", which is the theological concept of Christianity. As a result of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experience following adversity of divorce”, 11 categories and 46 themes were derived. The findings from 11 categories are explained as follows. Firstly, the aftermath of divorce present 5 categories in the adjustment processes, which include ‘negative emotions’, ‘negative perceptions’, ‘other negative experiences’, ‘remaining tasks’, and ‘sexual desire problems’. Secondly, category 6 shows that the divorcees used 'the coping strategies for adjustment to divorce'. Thirdly, while category 7 is related to the divorce adjustment and change factors as a general experience, category 8 reveals the divorce adjustment and change factors as a spiritual experience. It is worth noting that the perception of divorce in Korean society no longer affects negatively when divorcees are adjusting themselves to the circumstances, It is also revealed by the research that faith and spirituality play an important role in adjustment and change experience of divorce. Lastly, divorcees experience positive changes of growth in personal life,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philosophy of life, which are critical findings of this study. Changes of individuals are shown at category 9, changes in relationship with others at category 10, and changes in the philosophy of Life at category 11. The essential structure of “the experience of growth following adversity of divorce” which was derived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divorcees suffer from psychological, mental, and physical aftermath after divorce. These negative experiences have an impact on their core beliefs and life, and these become a catalysis to forming a new cognitive system. Furthermore, these negative experiences also bring about the new transformation of life, which leads to the experience of growth. Secondly, the essential structure of “the experience of growth following adversity of divorce(divorce trauma)” shows that divorcees utilize the ‘coping strategies’ in order to adjust to divorce. Most of the interviewees used positive coping strategies, and only few adopt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strategies. Among the coping strategies, ‘rumination as repeated self-reflection’ and ‘constructive self-disclosure’ were significantly useful to help reduce the degree of pain brought by divorce. Thirdly, the factors influenced the most, in adjusting and experiencing the change after divorce are, the 'religion and spiritual coping strategy. 'Religion and spiritual coping strategy’ was adopted from the early stage of divorce, and unlike other strategies, this strategy was shown to be handy in getting help from others, and proved to be very effective. Further studies on the ‘spiritual effect’ in relation with the area and field of divorce are required. Lastly, the essential structure of this study is that divorcees experience the changes of growth in personal life,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philosophy of life after divor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in line with the theory of “posttraumatic growth or growth following adversity” and revealed that growth following adversity contributes to divorcees’ overall well-being. In this respect, this study provides a new paradigm to the society and individuals who regard divorce as a negative and counterproductive experience. It provides us with the insight that the pain of divorce is no longer meaningless but builds the groundwork for individuals growth. Moreover,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may play an important role to support the cognitive system for the relevant intervention and strategy to help divorcees.

      • 미디어 리터러시를 위한 통합교과로서의 종교교육 연구

        이채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오늘날 청소년들은 기술의 발전과 미디어 환경의 변화로 새로운 방식의 삶을 살아가고 있다. 디지털 기기를 태어나면서부터 자연스럽게 접하고 사용한 이들을 ‘디지털 원주민(digital native)’이라고 일컫는다. 이 세대들은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는 청소년 시기에 가족이나 또래 집단보다 미디어와 더 밀착되어, 미디어 속 어떤 대상 혹은 네트워크에 접속한 다른 누군가와 상호관계를 맺으며 사회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미디어를 소비하는 사람들은 주체적이며 비평적으로 미디어 콘텐츠를 바라볼 때, 그 안에 함몰되지 않는다. 그러나 미디어 영상은 이미지의 빠른 전환으로 청소년들이 상상력을 펼칠 공간을 마련하지 않으며 비평적 사고의 여지를 남겨두지 않는다. 따라서 청소년들은 미디어가 보내는 메시지를 그대로 수용하는 경향이 있다. 또 미디어에는 사실의 재현과 허구적인 재현이 혼재하고 있어서, 미디어를 매개로 하는 커뮤니케이션은 청소년들의 정체성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먼저 겪은 나라들을 중심으로, 청소년들이 성숙한 시민으로서 미디어 활동에 참여하도록 하는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 교육이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청소년들의 미디어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차원을 넘어 미래 사회의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법으로도 알려지며, 정규 교육 과정에 반영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한편, 자율성과 다양성을 중시하는 포스트모더니즘으로 인해 현재의 종교교육은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시대적 변화에 따른 종교교육의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들에 따르면, 앞으로의 종교교육은 과거의 전통과 자산을 현대문화 속에서 재규정하는 해석의 작업을 통해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세계적 동향을 탐구하고 종교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찾기 위해, 종교교육과 미디어 리터러시를 연계하는 교육방법을 탐색하고자 학문 융합적으로 접근하였다. 본 연구는 종교교육과 미디어교육의 ‘청소년의 건강한 자아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이라는 공통된 교육과제를 확인하고, 청소년들이 주체적으로 미디어와 마주하여 미디어 콘텐츠를 비평적으로 성찰하는 역량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그리고 실천적 종교교육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미디어 속 상징 해석’이라는 주제에 초점을 맞춰 교육의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먼저 미디어 콘텐츠의 상징이 청소년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어서 종교에서 상징의 의미도 살펴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대안적 종교교육 모델로 통합교과 형태인 ‘상징교수법(symbolic didactics)’을 제안하였다. 상징교수법은 미디어 콘텐츠에 나타나는 종교적 상징이나 종교성을 발견하고 해석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교육방법이다. 이러한 종교교육 실천으로 청소년들은 미디어의 메시지를 비평적으로 수용하고 윤리적으로 판단하며, 미디어를 선택하고 자율적으로 창작할 수 있는 행동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Adolescents today are living their lives in new ways due to technological advances and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Those who have encountered and used digital devices in a natural manner ever since they were born are known as “digital natives.” These younger generations have a closer connection to the media than they do to their own families or peers. They use the media to form their own self-identities, to engage in social activities, and to interact with any object or network in the media. People who consume media are not submerged when they look at media content in an autonomous and critical manner. However, the media video does not provide a space for adolescents to express their imagination due to the rapidly changing images, and the media world leaves no room for critical thinking. So, adolescents tend to accept the message that the media sends. The media and mixed fictional representations have become intertwined. This type of media-based communication is causing an identity crisis in today’s adolescents. Media Literacy education, which allows adolescents to participate in media activities as mature citizens, has begun to attract attention, focusing on countries that have experienced this phenomenon first. Media literacy goes beyond the influence of the media activities of adolescents. It is also known as an educational method to cultivate the talents of future society, and the voice that it should be reflected in the regular curriculum is increasing. On the other hand, religious education is facing a crisis due to postmodernism that emphasizes autonomy and diversity. Studies to prepare alternatives to religious educ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imes state that it is necessary to work on the interpretation to redefine the traditions and assets of the past in modern culture. Therefore, this study has taken an academic convergence approach to exploring educational trends that link religious education and media literacy in order to explore global trends and find the right direction for religious education. The researchers identified the common educational task of “education for the healthy self-identification of adolescents” as religious education and media education. It was emphasized that adolescents should have the capacity to critically reflect on media content by facing the actual media. In order to find a practical method of religious education, the researchers discussed the direction of education by focusing on the theme of interpretation of symbols in the media. First, the researchers examined the influence that the symbolism of media content had on adolescents. The researchers then examined the symbolic meaning of religion.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researchers proposed “symbolic didactics,” an integrated curriculum, as an alternative religious educational model. Symbolic didactics are educational methods that teach the discovery and interpretation of religious symbols or religion used in media content. This practice of religious education enables adolescents to critically accept media messages, make ethical judgments, and exercise the ability to make the autonomous choice to create media.

      • 모바일 게임을 통한 중년 남성들의 심리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40대 남성을 중심으로

        홍정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mobile gaming among middle-aged men. This study assumes that mobile gaming can be regarded as a form of play equipment and that people’s psychological experiences can be confirmed through such games. This research targeted six men in their 40s who were born in the 1970s and play Ingress mobile games.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qualitatively. As for the study’s theoretical framework, it is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psychoanalytic theory regarding play. It was analyzed based on Colaizzi’s and Giorgi’s analytical framework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kinds of psychological experiences do men in their 40s obtain through games, and how do they perceive them? Second, how do they handle psychological and social conflicts arising from the game? The research outcomes are as follows. First, they experienced social relationships, self-realization, and unconscious desires through the game. Second, when they were exposed to negative emotions, they employed an emotion avoidance strategy; however, their capabilities to gain connectedness and recognition in their social relationships improved. In addition, they actively made efforts to properly mediate between work-family conflicts and their play. Based on the results, Browning’s five levels of practical moral reasoning was used as an interpretive framework to understand and provide insights on middle-aged male game users. First, a metaphor for accountability acts as a worldview from the metaphorical and visual perspective. Second, maturity is a necessary virtue at the obligational level. Third, the desire for friendship, achievement, and enjoyment is expressed at the tendency-need level. Fourth, they have diverse social viewpoints and different approaches at the contextual-predictive level. Fifth, the four referenced levels provide a foundation for communication from the rule-role perspective. This research regarded the game as a means of playing without any prejudice, and exploring one’s psychological experience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on game experiences were conducted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argeting adolescents or people in their early 20s. This research is meaningful as it is a qualitative research targeting middle-aged men. However, the results cannot be generalized to all middle-aged men owing to the small sample size. Moreover, the characteristics of game users varies according to the types of games played. 본 연구는 40대 중년기 남성들이 게임을 통해서 경험하는 심리적 경험에 관 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게임을 놀이 도구 중의 하나로 바라보고 게임 을 통해서 중년기 남성들의 심리적 경험을 확인할 수 있다고 전제한다. 본 연구는 1970년대에 출생한 인그레스 모바일 게임을 사용하는 40대 남성 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방법으로는 인터뷰를 이용한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했 다. 이론적으로는 자기 결정이론과 놀이에 관한 정신분석적 이론을 토대로 하 였으며, 분석 방법은 Colaizzi와 Giorgi의 분석의 틀을 이용했다.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40대 남성이 게임을 통해서 얻는 심리적 경험은 무엇이고 그들은 어 떻게 인식하는가. 둘째, 40대 남성들은 게임 경험에서 얻는 심리적 및 사회적 갈등을 어떻게 다루는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0대 남성들은 게임의 경험을 통하여 사회 적 관계의 경험, 자아실현의 경험, 무의식적 욕구의 표출을 경험했다. 둘째, 40대 남성들은 부정적 감정을 제공받을 때는 정서적으로 회피전략을 사용하 지만, 사회적 관계 속에서 소속과 인정을 위해서 자신의 역량을 증진시켰다. 가정 및 직업적 갈등과 자신들의 놀이를 적절하게 조율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했다. 이를 기반으로 Browning의 다섯 가지 실천적 도덕적 차원은 중년기 남성 게임이용자들에 대한 이해와 통찰을 위한 해석적 틀로 사용할 수 있다. 첫째, 은유적 차원에서 책임성의 은유가 세계관으로 작용한다. 둘째, 의무론적 차원 에서 성숙성은 필요한 덕목이다. 셋째, 성향-욕구 차원에서 우정과 성취, 즐 거움에 대한 욕구가 표현된다. 넷째, 상황적 차원에서 이들은 다양한 사회적 시계를 가지고 있으며 각자 다른 대처방식을 사용한다. 다섯째, 규율-역할 차 원에서 앞선 네 가지 차원은 의사소통의 토대를 마련한다. 본 연구는 게임을 놀이 중 하나로 바라보아 선입견 없이 바라보아 진솔한 심리적 경험을 담고자 했다. 기존에 이루어진 게임 경험에 관한 연구들은 청 소년과 초기 청년들을 대상으로 한 양적 연구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본 연구 는 중년기 남성를을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중년기의 남성들이 같은 범주의 경험을 한다고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그 이유는 본 연구의 대상이 한정적이며, 게임의 종류 에 따라서 게임 사용자 특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 비자발적 은퇴자의 은퇴 후 적응 과정에서의 영적 경험에 대한 연구

        최용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비자발적 은퇴라는 외상적 사건을 경험한 은퇴자의 은퇴 후 적응 과정을 분석하여, 적응과 성장을 촉진한 영적 경험의 본질은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있다. 또한 이를 토대로 은퇴자를 위한 목회적 돌봄과 상담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이를 위해 연세대학교 IRB의 윤리 규정을 준수하며 비자발적 은퇴를 경험한 은퇴자 1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고 질적인 방법론으로 연구 자료를 수집한 뒤, 외상 후 성장 이론, Moltmann의 십자가 신학, Griffin의 과정신학 그리고 Kohut의 자기심리학, Larry K. Graham의 심리 체계 이론을 중심으로 연구참여자의 은퇴 후 적응 과 성장 과정, 성장을 촉진시킨 영적 경험을 분석하였다. 적응과 성장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결과 9개의 범주와 46가지의 주제 묶음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비자발적 은퇴자들은 은퇴 후 적응 과정에서 첫 번째로 경험하는 것은 ‘부정적인 감정’, ‘부정적 인식’, 그리고 ‘그 외의 부정적 경험’이었다. 은퇴 사건으로 말미암아 은퇴자들은 ‘무력감’, ‘자존감 손상’, ‘걱정과 불안’, ‘극심한 스트레스’, ‘허무함’ 등의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하였고, 이런 감정은 스스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 이어졌는데, ‘갑에서 을로 전락했음’, ‘과거와 현재의 나 사이의 괴리감’, ‘신체적으로 쓸모 없어진 나’, 그리고 ‘위축된 나’라는 자기 인식이 나타났다. 정서와 인지 영역에서의 부정적인 경험 뿐만 아니라, ‘자격지심’, ‘사고 또는 질병’, ‘경제적인 어려움’, ‘정신과 약 복용’, ‘무능한 가장’, ‘신앙적 갈등’, ‘정체성 상실’ 등을 경험하였다. 두 번째는 부정적인 감정과 인식 그리고 부정적인 경험 속에서 사용한 ‘적응을 위한 대처 전략’인데, 대처 전략으로는 ‘신앙생활 등 영적 대처’, ‘하나님과의 첫 만남 기억’, ‘사고의 전환’, ‘하나님을 의지’, ‘내가 할 수 있는 것을 찾기’, ‘사업을 통해 나의 능력 보여주기’, ‘술과 담배 등 과거의 습관에서 벗어나기’ 등을 통해 부정적 정서와 인식 등에게서 벗어나기 위한 대처 행동이 이어졌다. 세 번째는 적응과 변화의 요인으로, ‘일반적 경험’과 ‘영적 경험’이 있는데, ‘일반적 경험’으로는 ‘취미 활동 참석’, ‘상담 받기’, ‘교육 프로그램 및 사회활동 참석’, ‘삶의 규칙 만들기’ 등이 있으며, 영적 경험으로는 ‘하나님에 대한 새로운 이해’, ‘변함없는 하나님’, ‘하나님의 능력 경험’, ‘신앙을 의지’, ‘회개’, ‘교회에서의 봉사 활동’, ‘영적인 공간 마련하기’ 등이 나타났다. 네 번째는 결과적으로 나타나게 된 변화로, ‘개인적 변화’, ‘타인과의 관계의 변화’, ‘인생철학의 변화’ 등이 있다. 먼저 ‘개인적 변화’에는 ‘자신의 강점 발견’, ‘자아의 성찰 및 발견’, ‘자신의 가치 발견’이 있으며, ‘관계의 변화’에는 ‘관계가 깊어짐’, ‘타인에 대한 헌신’, ‘소중함의 재발견’이 있으며, ‘인생철학의 변화’에는 ‘삶의 목표’, ‘삶 중심의 변화’, ‘죽음 앞에서의 삶’, ‘감사의 삶’, ‘인생 목표의 발견’ 등이 나타났다. 분석된 자료를 외상 후 성장 이론(posttraumatic growth theory), jürgen Moltmann의 십자가 신학, David R. Griffin의 과정신학, Heinz Kohut의 자기 심리학 그리고 Larry K. Graham의 심리 체계 이론을 통해 고찰한 결과 은퇴자의 성장 과정과 영적 경험 속에 담긴 신학적, 심리학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은퇴 경험의 본질은 ‘관계적 사건의 연속적 과정’이다. 은퇴자의 경험 구조는 일회적이고 개인 내적인 경험이 아니라, 연속적이며 동시에 관계적인 경험이다. 은퇴 사건은 시간의 흐름 속에서 연속적으로 경험되는 일련의 과정이며, 관계의 망 속에서 다양한 경험이 축적되는 과정이다. 즉 은퇴의 시작부터 여러 관계(자신과의 관계, 가족, 직장 동료, 하나님)가 중첩되어 있으며, 이런 중첩된 경험은 다음 사건에 영향을 미치는 연속적인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은퇴 경험은 ‘불안’을 통해 창조의 과정으로 부르는 하나님을 경험하는 사건이다. 외상적 사건으로서의 은퇴 경험은 직장을 통해 형성해온 정체성의 균열을 경험하게 되고, 이로 인해 ‘존재론적 불안’과 그로 인해 파생된 여러 가지 부정적 경험을 개인 내면으로부터 시작해 다양한 관계 속에서 연쇄적으로 경험하게 된다. 개인적 차원에서는 정체성의 혼란과 심리적 불안, 가족의 경제적 문제, 직장 동료와의 분리 경험과 사회적 고립감, 하나님과의 관계 변화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셋째, 은퇴 경험은 ‘부정적 대처를 수용’하고 ‘창조적 삶으로 설득’하는 하나님을 경험하는 것이다. 은퇴라는 사회적 배제 경험, 그에 따른 정체성의 파편화, 그리고 부정적인 대처, 그에 따른 ‘죄책감’의 연속적인 흐름은 은퇴 경험의 시간적 구조이다. 이런 부정적 경험의 연쇄적 흐름은 순환되는데, 순환의 고리는 두 가지 경험적 계기로 끊어진다. 첫째는 ‘수용적인’ 하나님의 경험이다. 자신의 부정적인 (기독교적 표현으로는 죄를 짓는) 행동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수용적으로 사랑하는 하나님 경험이다. 둘째는 연구 참여자들을 둘러싼 사회-관계적 환경 속에서 새로운 존재로의 변형을 설득하는 하나님 경험이다. 은퇴자는 이 두 가지 경험적 계기를 통해 부정적 경험의 연쇄적 고리가 끊어짐을 경험한다. 넷째, 은퇴자의 성장을 촉진하는 영적 경험은 ‘작은 신학자’가 되어 ‘나의 신학하기’로 하나님을 새롭게 경험하는 것이다. ‘수용적인 하나님 경험’(Moltmann의 십자가 이해)과 ‘새로운 창조로 초청하는 하나님 경험’(Griffin의 과정신학적 하나님 이해)을 통해 은퇴자는 하나님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얻게 된다. 연구자는 은퇴자의 이런 경험을 ‘나의 신학하기’로 명명했다. ‘나의 신학하기’ 과정을 통해 수용적이고 공감하는 하나님을 자기대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하나님을 닮은 삶으로 은퇴자는 성장한다. 다섯째, 은퇴자의 성장은 하나님을 따라 ‘창조적’, ‘공감적’, ‘모험적’인 삶으로 현실화한다. 은퇴자는 ‘나의 신학하기’ 과정에서 수용적이고 공감적인 하나님을 만남으로 은퇴 초기 파편화된 정체성이 통합 과정을 거쳐 하나님을 닮은 삶으로 성장한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자신의 가치를 새롭게 발견하며(수용적), 둘째, 타인에 대한 헌신이 증가하고(공감적), 셋째, 자신이 처한 환경에서 창조적인 삶을(창조적) 살게 된다. 여섯째, 은퇴자를 위한 ‘수용적’, ‘창조적’, ‘공감적’ 상담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은퇴자의 성장을 구성하는 영적 경험의 본질은 은퇴자의 ‘나의 신학하기’이다. ‘나의 신학하기’ 정도와 은퇴자의 성장 정도는 정적인 관계를 유지한다. 은퇴자가 ‘나의 신학하기’라는 영적 경험(수용적-공감적 하나님, 창조적-공감적 하나님)을 통해 성장하였기 때문에, 연구자는 은퇴자를 위한 상담 모형을 수용적, 창조적, 공감적 상담으로 제안한다. 연구자가 제안하는 ‘은퇴자를 위한 상담 모형’은 은퇴로 인한 사회적 배제, 정체성 상실, 파편화된 경험 그리고 이해되지 못하고 해석되지 못하기에 더 고통스러운 경험에 대한 상담자의 ‘공감적 수용’과 해석과 이해가 불가능했던 파편화된 경험-정서를 은퇴자와 함께 재구성하여 의미를 발견해 이야기될 수 있도록 ‘공동 창조하는 창조성’으로 구성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post-retirement adaptation process of retirees who experienced a traumatic incident after involuntary retirement, to define the nature of the spiritual experience that promoted adaptation and growth, to provide a pastoral counseling programs for retirees. The researcher conducted interviews with 10 retirees who experienced involuntary retirement to gather the qualitative data under the policy of Yonsei University IRB, and analyzed the data in post-traumatic growth theory, Moltmann's theology of the cross, Griffins’s process theology, and Kohut's self psychology, Larry Graham’s psycho-systematic approach. As a result of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adaptation and growth experience, 9 categories and 46 themes were derived. The first experiences of involuntary retirees in the process of adapting to retirement were 'negative emotions', 'negative perceptions' and 'other negative experiences'. Retirement has led to negative feelings such as 'forcelessness', 'self-esteem damage', 'worry and anxiety', 'extreme stress' and 'false' which have led to a negative perception of themselves, 'the gap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old-fashioned'. In addition to negative experiences in emotional and cognitive areas, they have experienced 'inferiority complex', 'accident or disease', 'economic difficulties', 'taking psychiatric medication', 'treating as an incompetent’, 'faithful conflict' and 'loss of identity'. The second is the "response strategy for adaptation" used in negative emotions, perceptions, and negative experiences, which led to "spiritual responses such as religious life," "recalling the first love for God", "changing the way of thinking" "believing in God", "showing my true colors by investment" "renouncing the smoking and drinking" Third, factors of adaptation and change include 'general experience' and 'spiritual experience', 'taking the hobbies', 'consultation', 'attendance to education programs and social activities', 'a new understanding of God', 'experience of God's Ability', 'turning to faith', 'repentance' 'volunteer at the church’, ‘prepare a spiritual space’. The fourth is the resulting changes, such as "personal change," "change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change in philosophy of life." First, the 'personal change' includes 'discovery of one's strengths', 'reflection and discovery of one's own values' and the 'change of the relationship' includes 'deepening relationships', 'dedication to others', and 'rediscovering preciousness', and the 'change of the life philosophy' includes ‘change the goal of life’, ‘change in life center’, ‘the life in front of death’, ‘the life of gratitude’, and ‘the discovery of life goals’. First, the essence of the retirement experience is 'The continuous process of relational events'. The experience structure of a retiree is not a one-time and personal experience, but a continuous and simultaneously relational experience. Retirement events are a series of processes that are experienced continuously in the course of time, and a process in which various experiences are accumulated in the network of relationships. In other words, from the beginning of retirement, several relationships (relationship with oneself, family, co-worker, God) are overlapped, and this overlapping experience consists of a series of processes that affect the next event. Second, the retirement experience is the experience of God, which is called the process of creation through 'anxiety'. Retirement experience as a traumatic event experiences a crack in the identity that has been formed throughout the workplace, starting from within the individual and experiencing a series of negative experiences resulting from 'existential anxiety' and resulting in a variety of relationships. On the personal level, this includes confusion of identity and psychological anxiety, economic problems of the family, experience of separation from work colleagues, social isolation, and changes in relationships with God. Third, the retirement experience is to experience God by 'accepting the negative copies' and 'persuading him into creative life.' The continuous flow of retirement, the 'social exclusion experience', the subsequent fragmentation of identity, and the 'negative response' and 'guilt', are the temporal structures of retirement experiences of study participants with Christian backgrounds. A chain of negative experiences is circulated, but the links of these cycles are broken by two empirical opportunities. The first is the experience of an "acceptive" God. It is the experience of God, who loves himself receptively despite his negative behavior. The second is God's experience in persuading him to transform himself into a new being in a social-relationship environment surrounding research participants. Retirees experience a chain of negative experiences breaking through these two empirical instruments. Fourth, the spiritual experience of promoting the growth of retirees is to become a "little theologian" and experience God anew with "Being Theologian" Through "the infinite acceptance of God" and "calling to a creative life by God", retirees gain a new understanding of God. The researcher named this experience of retirees 'Being Theologian'. They live a life that resembles God as they experience an receptive and sympathetic God as selfobject experience by "Being Theologian" Fifth, the growth of retirees follows God into a life of 'creative', 'sympathetic' and 'venturous'. Retired people meet an receptive and sympathetic God in the process of "My New Testament," and their fragmented identity in the early stages of retirement grows into a life resembling God through an integrated process. Specifically, first, they discover their values anew (acceptable), second, their commitment to others increases (sympathetic), and third, they live a creative life (creative) in their environment. Sixth, I suggest 'acceptable', 'creative' and 'sympathetic' counseling for retirees. The essence of the spiritual experience that constitutes the growth of retirees is their 'my theology'. The degree of 'my theology' and the degree of growth of retirees maintain a static relationship. Since the retiree grew up experiencing the spiritual experience of "my new faith" (the receptive-sympathetic God, the creative-sympathetic God), the researcher proposes counseling for the retiree as receptive, creative, and sympathetic counseling. The researcher's proposed 'consultation model' consists of a 'creating' that reconstructs a counselor's 'sympathetic' 'acceptance' and interpretable fragmented experiences and emotions about retirement-induced social exclusion, identity loss, fragmented experiences and uninterpretable pain.

      • 자기 존중감 성취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질투 감정 극복을 통한 자기 존중감 성취에 관해서

        정이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599

        자기 존중감의 정의는 다양하지만, 대체로 긍정적인 자기의 전체적 평가와 자기를 좋아함을 의미하며, 또한 주관적이고 지속적인 현실적 자기 수용과 지속적이고 감정적인 개인 가치감이다. 자기 존중감은 기본적인 인간의 욕구이자 정신건강의 필수 요소로 생각되어 지기 때문에, 낮은 자기 존중감은 비합리적이며 부적응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자기 존중감의 형성에 있어서 부모관계, 형제자매 관계, 스트레스, 인종, 개인의 조건 등은 중요한 요소이다. 많은 요소 중에, 심리적 요인으로서 “질투감정”은 자기 존중감의 형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질투 감정은 미성숙한 자기로부터 발생하는데, 주요 정서 상태는 화, 분노, 거절, 불안, 죄책감, 투사, 슬픔 등으로 묘사된다. 이러한 질투 감정은 건강한 자기의 형성을 불가능하게 하고 적절한 자기개념의 성립을 방해한다. 그러므로 자기 존중감의 성취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질투 감정을 극복하고 자기 존중감을 성취하기 위해서 의미 있는 관계의 성립이 요구되며, 무의식의 표면화 과정, 그리고 응집력 있는 자기의 구축을 위한 적절한 자기대상이 필요하다. 목회 상담은 질투 감정을 극복하고 자기 존중감을 성취하기 위한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 많은 가능성을 제시한다. 먼저 인격적인 만남을 통해 내담자의 현존에 관심을 가지고 그 가운데서 돌봄의 치유를 하는 목회 상담의 특성은 위의 조건들에 부합된다. 목회 상담자는 질투 감정으로 인한 손상된 자기의 회복을 위해서 내담자들의 자기대상이 될 수 있으며, 그 과정 중에 의미 있는 관계가 재정립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질투 감정을 지닌 내담자는 새로운 관계를 통해서 자신의 이면을 바라보게 되고 그것을 자신의 일부로 받아들이게 된다. 자신에 대한 통찰을 통해서 자기 이해의 폭을 넓히며, 삶의 의미들을 깨닫게 되며, 타인을 사랑하고 인정하게 된다. 점차적으로 마음은 순화되고 타인을 투사적 공격의 대상으로가 아니라 하나이 인격을 지닌 존재로 인식한다. 결과적으로 개인은 자기 개념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며, 자기 존중감 역시 성취하게 된다. Although self-esteem's definition is various, generally it is an affirmative self-evaluation, a subjective, real self-acceptance and self-worth. Because self-esteem is a fundamental human need and an essential point of the psychological healthy, low self-esteem is thought irrational. In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self-esteem, parental relationship, sibling, stress, ethnic conditions, and individual conditions are so important. One of them, as a psychological reason, a feeling of jealousy has a close connection with self-esteem. A feeling of jealousy comes from an immature self and its major emotions are described as an anger, resentment, rejection, anxiety, guilt and so on. This feeling of jealousy make it impossible to develop a healthy self and a proper self-concept. Therefore, it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achievement of self-esteem. To overcome the feeling of jealousy and achieve self-esteem, it is needed a valuable relationship, coming in to the surface of the unconsciousness, and the self-object for reconstruction of the cohesive self. Pastoral counseling gives great possibilities a series of this process for the overcoming a feeling of jealousy and achieving self-esteem. First of all, through a moral meeting, the counselor can give an attention to the existence of counselee and he, in this course, can care pastorally. These peculiarities of the pastoral counseling are coincided with the above conditions. Pastoral counselor can be a self-object for counselee who has a damaged self because of a feeling of jealousy and a valuable relationship, in this process, is reconstructed. Consequently, counselee who has a feeling of jealousy can understand his inner world and allow it as a part of him. A new insight about oneself broaden self-knowledge and self-cognition. Also it make him to comprehend the meaning of the life and love, allow others as they are. Gradually mind become mild and counselee come to realize others as a human-being itself not a projective, aggressive object. As a result, self-concept is changed affirmatively and self-esteem is also achieved.

      • 신비적 황홀경(Mystical Ecstasy)과 종교교육 : 현대 영성 지도자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유무수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신비적 황홀경(Mystical Ecstasy)과 종교교육 : 현대 영성 지도자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동서고금의 종교 안팎에서 “나는 진리가 되었다. 신과 하나가 되었다.”는 매우 독특한 선언을 하는 자들이 있었다. 그들은 신비주의자로 범주화될 수 있으며, 그들이 그 독특한 선언과 함께 이구동성으로 증언하는 것은 ‘황홀경’이다. 그 기쁨은 소유와 무관하며 존재와 관련되어 있다. 신비적 황홀경은 기쁨이 충만한 종교체험이다. 그 체험자는 삶의 의미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한다. 본 연구는 신비적 황홀경에 내재된 의미와 기쁨의 특성에 주목했고, 그 특성을 이해하고 종교교육에 적용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연구방법은 ‘①신비적 황홀경의 체험이 있었다. ②현대적인 인물이다. ③체험 후 영성지도자로서 가르침을 펼쳤다.’는 세 가지 특성을 사례의 경계로 정한 질적연구이다. 사례의 대상은, 태국의 불교 승려인 아잔 차, 한국의 기독교 교목이며 종교철학 교수였던 김흥호, 인도의 자이나교도 집안에서 출생하여 명상의 구루로 활동한 오쇼 라즈니쉬, 미국에서 범재신론의 하느님을 증언하는 진보적 기독교 신학자로 알려진 마커스 보그, 독일 태생의 무신론자이며 명상적 가르침으로 달라이라마와 틱낫한 등과 함께 언급되는 에크하르트 톨레 등 다섯 명이다. 먼저, 본 연구는 신비체험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신비적 황홀경에 대한 이해를 위한 논의를 하였다. 첫째, 5명의 사례에서 ①부정성의 경험, ②신성과의 일치, ③새로운 존재로의 변형, ④현재적 몰입, ⑤다원성 및 개방성, ⑥결실에 필요한 보임의 시간 등 여섯 가지 공통점을 추출하였다. 그 다음, 1902년에 발표되어 현대에도 유효하게 참고 되고 있는 윌리엄 제임스의 신비체험에 대한 주장을 재검토했다. 윌리엄 제임스는 신비체험의 특성을 ‘①말로 다할 수 없음, ②지성적인 특성, ③일시성, ④수동성’등 네 가지를 제안했다. 본 연구에서는 윌리엄 제임스의 제안을 수용하면서 ‘⑤지금, 여기, 내면성’과 ‘⑥ 결실을 위한 수행의 필요성’이라는 두 가지 특성을 추가하였다. 둘째, 신비적 황홀경을 ‘분석심리학의 개성화’및 ‘긍정심리학의 몰입’과 비교하면서 신비적 황홀경에 대한 다각적인 이해를 시도했다. ‘칼 융의 개성화’와 비교에서는 ①내면 지향, ②‘나는 어떤 사람이다.’하는 자아에 대한 의문을 품고 회의, ③ 집단성 탈피, ④진실을 탐구하는 열정과 자각하는 의식의 확대가 강조, ⑤자아를 초월하는 영성의 특성, 등의 유사성을 도출하였다. ‘몰입의 즐거움’과 비교에서는 ①어떤 과제에 고도로 집중하는 의식 상태가 진행되는 가운데 문제 해결의 통찰이 발생, ②과거의 지배적 작용 소멸, ③행복감을 누리면서 분화와 통합의 복합성이 상승, ④자아팽창에 의한 실족의 위험성, ⑤신비적 황홀경은 긍정심리학이 말하는‘영성과 초월성’의 강점이 탁월하게 작용하는 상태, 등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셋째, ①기존의 신비체험 여정의 도식은 절정의 종교체험 후의 단계가 명시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②라즈니쉬는 윤리적 오류를 범했으며, ③에크하르트 톨레의 명상과 존 카밧진의 MBSR은 ‘생활의 계율 제시’를 보충해야 하며, ④종교체험은 정돈된 이야기로 표현될 수 있을 때 삶에 통합될 수 있으며, ⑤널리 유통되고 있는 고전적 신비주의의 세 가지 길인 ‘정화-조명-합일’ 다음에 ‘개념화’가 추가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그 다음으로, 위와 같은 논의의 토대 위에서 ‘종교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으로 ①엔트로피에 덜 휩쓸리게 하는 생활명상 교육, ②자기인식을 확대하는 일기쓰기, ③몰입과 개성화를 촉진하는 자기주도 독서, ④긍정심리학에서 강조하는 강점과 미덕을 육성하는 수행, ⑤ 자살의 위기를 축복으로 전환시키는 연금술, ⑥‘소유×존재’의 값을 높이는 종교경전 묵상(Lectio Divina), ⑦자연을 가까이하고 존중하기 등을 제안하였다. 핵심이 되는 말: 빅터 프랭클, 신비주의자, 황홀경, 아잔 차, 김흥호, 오쇼 라즈니쉬, 마커스 보그, 에크하르트 톨레, 윌리엄 제임스, 칼 융, 개성화,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몰입, 신비체험 여정. Inside and outside of some East and West religions, there have been those who made very unique declarations such as“I’ve become a truth. I’ve become one with god.”They can be categorized as mystics who unanimously attest‘experiences of ecstasy.’ The joy has nothing to do with 'having' but is related to 'being'. Mystical ecstasy is a joyful religious experience. Those who have experienced ecstasy basically solve the problem of meaning in life. This dissertation is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aning and joy inherent in the mystical ecstasy, and seeks to understand and apply the characteristics to religious education. The method of research is a qualitative study that sets the three characteristics-- ‘①experiencing mystical ecstasy, ②being a modern person, ③playing a role of a spiritual leader’-- as the boundary of the case. The subjects of the case include Ajahn Chah, a Buddhist monk in Thailand; Kim Heung-ho, a chaplain of Christian school and professor of religious philosophy in Korea; Osho Rajneesh, born in a Jain family in India and serving as a Guru of meditation; Marcus Borg, a progressive Christian theologian known to testify the God of panentheism in the United States; Eckhart Tolle, a German-born atheist mentioned along with the Dalai Lama and Thich Hhat Hanh for their meditative teachings. Above all, this dissertation presents three arguments to enhance understanding about mystical ecstasy through the case studies on mystical experience. Firstly, from the cases of five people, six common features were derived: ① experience of negativity, ②unity with divinity, ③transformation into a new existence, ④ present immersion, ⑤plurality and openness, and ⑥ time of practice required for fruition. Then, it reviews the claim of William James about Religious Experience, published in 1902 and validly referred to in modern times. William James suggested four characteristics of the mystical states of consciousness: "①ineffability, ②noetic quality, ③transiency, ④ passivity". In accepting William James' proposal, this dissertation added two characteristics,'⑤Now, here, internality' and '⑥Necessity of practice for fruition'. Secondly, by trying to compare the mystical ecstasy with 'Individuation of analytical psychology' and 'flow of positive psychology', I tried to understand the mystical ecstasy in multiple ways. On points of comparison with 'Jung's Individuation', I derived similarities such as ①introversion, ②skepticism with questions about the ego like 'I am such a person', ③ escaping from collectivity, ④ emphasis on passion for exploring the truth and expansion of self-awareness, and ⑤characteristics of spirituality that transcends ego. On points of comparison with 'pleasure of flow', I derived similarities such as ①problem-solving insight generated amid a state of consciousness highly focused on a task, ②the disappearance of the dominant power of the past, ③increase in combination between differentiation and integration with happiness, ④the risk of losing stability due to self-expansion, ⑤mystical ecstasy being the state in which the strength of spirituality and transcendence excels. Thirdly, I claimed ①The schema of the existing mystical experience journey has a problem that the stage after the religious experience of the climax is not specified, ②Rajneesh has committed an ethical error, ③ Eckhart Tolle's meditation and Jon Kabat-zinn's MBSR should supplement the 'presentation of the rules of life,' ④religious experiences can integrate with life when they can be expressed in orderly stories, and ⑤Conceptualization should be added to the three widely-distributed ways of the classic mysticism journey: 'purification-illumination-union.' Finally, on the basis of the above arguments, the implications that can be applied in the field of ‘religious education' are: ① life meditation education that is less entangled in entropy, ② diary writing to expand self-awareness, ③ self-directed reading that promotes flow and individuation, ④ practice that fosters strengths and virtues emphasized in positive psychology, ⑤ alchemy that transforms the crisis of suicide into blessing, ⑥Lectio Divina, which raises the value of 'having × being', ⑦ coming close to the nature and respecting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