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COVID19 재난시기 버스운전노동자가 경험하는 다층적 불안정노동 (Multi-levels of Precarious Work) = COVID-19 Disaster and Multi-levels of Precarious Work Experienced by Bus Transportation Work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807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precarious work experience of bus drivers who are engaged in essential industries that must be maintained as public transportation despite the risk of infection due to face-to-face contact during COVID-19 pandemic. In addition to the precarious work that bus transportation workers experience on a daily ba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ir precarious work is revealed, especially during the COVID-19 disaster.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six bus drivers and conducted an inductive thematic analysis using a generic qualitativ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they were experiencing ‘Multi-levels of Precarious Work’ consisting of the structural dimension, the workplace dimension, and finally the personal dimension. The structural contradiction between the privately oriented operating system and essential labor with public nature appeared as a specific attributes of precarious work such as wage and employment instability, labor control, and overworked labor at the workplace level. In addition, structural and workplace instability resulted as health problems, psychological anxiety, and lack of social relationships at the individual level.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multi-level precarious work surrounding bus transport workers influence each other at each level, and instability is reinforced even in the realm of work space and personal life. This study is to reveal in detail how bus drivers experience precarious work in everyday and disaster-specific situations, and ultimately to deriv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and social protection of essential workers.
      번역하기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precarious work experience of bus drivers who are engaged in essential industries that must be maintained as public transportation despite the risk of infection due to face-to-face contact during COVID-19 pandemic. In ...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precarious work experience of bus drivers who are engaged in essential industries that must be maintained as public transportation despite the risk of infection due to face-to-face contact during COVID-19 pandemic. In addition to the precarious work that bus transportation workers experience on a daily ba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ir precarious work is revealed, especially during the COVID-19 disaster.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six bus drivers and conducted an inductive thematic analysis using a generic qualitativ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they were experiencing ‘Multi-levels of Precarious Work’ consisting of the structural dimension, the workplace dimension, and finally the personal dimension. The structural contradiction between the privately oriented operating system and essential labor with public nature appeared as a specific attributes of precarious work such as wage and employment instability, labor control, and overworked labor at the workplace level. In addition, structural and workplace instability resulted as health problems, psychological anxiety, and lack of social relationships at the individual level.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multi-level precarious work surrounding bus transport workers influence each other at each level, and instability is reinforced even in the realm of work space and personal life. This study is to reveal in detail how bus drivers experience precarious work in everyday and disaster-specific situations, and ultimately to deriv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and social protection of essential work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는, 코로나19 전염병이 확산되는 시기에 다수의 유동인구와의 대면 접촉으로 감염의 위험에도 불구하고 대중교통으로써 운행이 유지되어야 하는 필수업종에 종사하고 있는 버스운전노동자의 불안정노동 경험에 주목한다. 즉, 버스운전노동자가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불안정노동에 더하여 특히 코로나19 재난시기에는 이들의 불안정노동이 어떠한 양상으로 드러나지는 분석하여, 이들의 일상적・재난 특수적 시기의 불안정노동 경험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연구에 적합한 의도적 표집을 통해 선별된 버스운전노동자 6명에 대한 심층면접(in-depth interview)를 진행하고, 일반적 질적연구방법(generic qualitative analysis)을 활용한 귀납적 주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구조적 차원, 일터에서의 차원, 그리고 마지막으로 개인적 차원으로 구성된 ‘다층적 불안정노동(Muli-levels of Precarious Work)’을 경험하고 있었다. 민영중심의 운영체제와 공공성이 있는 필수노동 간의 구조적 모순은, 일터 차원에서 임금 및 고용불안정, 노동통제, 과로노동 등 구체적인 불안정노동의 속성들로 나타났다. 또한 구조적 차원과 일터 차원의 불안정성은 또한 개인적 차원에서 건강문제와 심리적 불안, 그리고 사회적 관계의 결핍으로 드러났다. 버스운전노동자를 둘러싼 이러한 다층적 불안정성노동의 특징들은 각 층위 간 서로 영향을 주며 노동공간과 개인의 삶의 영역에까지 불안정성이 강화되는 연쇄적 전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상적・재난 특수적 상황에서 버스운전노동자가 불안정노동을 어떻게 경험하는지 구체적으로 드러내고, 궁극적으로 버스운전노동자뿐만 아니라, 재난시기 필수노동자들의 노동환경 개선과 사회적 보호를 위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코로나19 전염병이 확산되는 시기에 다수의 유동인구와의 대면 접촉으로 감염의 위험에도 불구하고 대중교통으로써 운행이 유지되어야 하는 필수업종에 종사하고 있는 버스운전...

      본 연구는, 코로나19 전염병이 확산되는 시기에 다수의 유동인구와의 대면 접촉으로 감염의 위험에도 불구하고 대중교통으로써 운행이 유지되어야 하는 필수업종에 종사하고 있는 버스운전노동자의 불안정노동 경험에 주목한다. 즉, 버스운전노동자가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불안정노동에 더하여 특히 코로나19 재난시기에는 이들의 불안정노동이 어떠한 양상으로 드러나지는 분석하여, 이들의 일상적・재난 특수적 시기의 불안정노동 경험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연구에 적합한 의도적 표집을 통해 선별된 버스운전노동자 6명에 대한 심층면접(in-depth interview)를 진행하고, 일반적 질적연구방법(generic qualitative analysis)을 활용한 귀납적 주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구조적 차원, 일터에서의 차원, 그리고 마지막으로 개인적 차원으로 구성된 ‘다층적 불안정노동(Muli-levels of Precarious Work)’을 경험하고 있었다. 민영중심의 운영체제와 공공성이 있는 필수노동 간의 구조적 모순은, 일터 차원에서 임금 및 고용불안정, 노동통제, 과로노동 등 구체적인 불안정노동의 속성들로 나타났다. 또한 구조적 차원과 일터 차원의 불안정성은 또한 개인적 차원에서 건강문제와 심리적 불안, 그리고 사회적 관계의 결핍으로 드러났다. 버스운전노동자를 둘러싼 이러한 다층적 불안정성노동의 특징들은 각 층위 간 서로 영향을 주며 노동공간과 개인의 삶의 영역에까지 불안정성이 강화되는 연쇄적 전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상적・재난 특수적 상황에서 버스운전노동자가 불안정노동을 어떻게 경험하는지 구체적으로 드러내고, 궁극적으로 버스운전노동자뿐만 아니라, 재난시기 필수노동자들의 노동환경 개선과 사회적 보호를 위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윤, "한국의불안정노동자" 후마니타스 2017

      2 최인이,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의 조직과 운동전략 비교 - 양대 노총의 제도적 매개역할(1997~2005)을 중심으로"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4) : 79-128, 2011

      3 백승호 ; 안주영 ; 이승윤, "한국과 일본의 불안정노동시장 비교연구: 불안정노동의 젠더적・직업계층적 분절" 한국사회정책학회 24 (24): 1-29, 2017

      4 박고은 ; 김규혜, "필수노동자의 일터 위험은 재난 시기에 어떻게 확대 (재)생산되는가: 코로나19와 성동구 돌봄노동자 사례를 중심으로"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71) : 83-124, 2021

      5 국가법령정보센터, "파견근로자보호등에 관한 법률, 법률 제 17605호"

      6 이승렬, "통계로 본 야간노동: 밤근무, 생활 그리고 건강" 2020 (2020): 21-34, 2020

      7 홍성훈, "코로나19의 영향과 미국 노동조합의 대응" 18 (18): 47-56, 2020

      8 한종학, "준공영제 시행 인천시내버스 운영비용 구조 및 특성분석" 2011

      9 한종학, "준공영제 시행 인천 시내버스업체 생산성 변화 연구" 2011

      10 허정철 ; 이철기 ; 전준택, "운수종사자시스템을 활용한 사업용 고령운전자의 위험성 분석" 한국ITS학회 16 (16): 16-28, 2017

      1 이승윤, "한국의불안정노동자" 후마니타스 2017

      2 최인이,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의 조직과 운동전략 비교 - 양대 노총의 제도적 매개역할(1997~2005)을 중심으로"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4) : 79-128, 2011

      3 백승호 ; 안주영 ; 이승윤, "한국과 일본의 불안정노동시장 비교연구: 불안정노동의 젠더적・직업계층적 분절" 한국사회정책학회 24 (24): 1-29, 2017

      4 박고은 ; 김규혜, "필수노동자의 일터 위험은 재난 시기에 어떻게 확대 (재)생산되는가: 코로나19와 성동구 돌봄노동자 사례를 중심으로"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71) : 83-124, 2021

      5 국가법령정보센터, "파견근로자보호등에 관한 법률, 법률 제 17605호"

      6 이승렬, "통계로 본 야간노동: 밤근무, 생활 그리고 건강" 2020 (2020): 21-34, 2020

      7 홍성훈, "코로나19의 영향과 미국 노동조합의 대응" 18 (18): 47-56, 2020

      8 한종학, "준공영제 시행 인천시내버스 운영비용 구조 및 특성분석" 2011

      9 한종학, "준공영제 시행 인천 시내버스업체 생산성 변화 연구" 2011

      10 허정철 ; 이철기 ; 전준택, "운수종사자시스템을 활용한 사업용 고령운전자의 위험성 분석" 한국ITS학회 16 (16): 16-28, 2017

      11 박고은, "여성 재가 요양보호사의 산재안전망 경험에 대한 연구: 산업안전보건 및 산재보험 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27 (27): 131-163, 2020

      12 권용재 ; 이재민, "시내버스 운송업의 기술적 효율성 분석 : 버스준공영제 시행 이전과 이후 비교" 한국교통연구원 26 (26): 83-99, 2019

      13 박제성, "소비사회와 야간노동: 법적검토" 2020 (2020): 9-20, 2020

      14 이승윤, "성동구 필수노동자 실태조사 및 지원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2021

      15 윤혁렬, "서울시 버스준공영제 발전방안" 서울연구원 1-12, 2012

      16 백승호, "서비스경제와 한국사회의 계급, 그리고 불안정 노동 분석" 한국사회정책학회 21 (21): 57-90, 2014

      17 국가법령정보센터, "산업안전보건법, 법률 제18180호"

      18 김인숙, "사회복지연구에서 질적방법과 분석" 집문당 2016

      19 이승욱, "복수노조 교섭단일화 세부절차 및 노동위원회의 역할" 2006

      20 모창환, "버스준공영제의 평가와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2007

      21 이영수, "버스준공영제 운영실태와 공공성 강화" 사회공공연구원 2018

      22 이희성, "버스운수업체의 현황과 노사관계의 발전방안 -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31) : 29-62, 2009

      23 이희성, "버스운수업체의 운영제도와 개선방안" 한국비교노동법학회 16 : 213-243, 2009

      24 정혜선 ; 엄미정 ; 장인순, "버스운수업 종사자의 뇌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개별상담 효과:이차자료분석"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4 (24): 281-289, 2015

      25 최원선 ; 조성애 ; 김경연 ; 조영승 ; 구정완 ; 김형렬, "버스 운전사의 근무 중 사고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대한직업환경의학회 23 (23): 139-148, 2011

      26 임연희, "민주노총 “버스 완전공영제 도입 공론화 필요”"

      27 권영민 ; 여지호 ; 변지혜, "노선버스 운송업종별 운전자의 근로여건 및 사고 분석 : DTG 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국ITS학회 18 (18): 1-11, 2019

      28 김기우, "노선버스 여객운송업의 특례제외에 따른 대중교통 활성화 방안 – 인력과 재정확보를 중심으로" 한국노총중앙연구원 2018

      29 국가법령정보센터,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법률 제 17868호"

      30 국가법령정보센터, "기간제 및 단기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법률 제 18177호"

      31 국가법령정보센터, "근로기준법, 법률 제18176호"

      32 임삼진, "교통안전 증진을 위한 버스운수업 근로시간 개선방안" 5 (5): 105-127, 2008

      33 배규식, "교대제와 노동시간" 한국노동연구원 2013

      34 국가법령정보센터,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 고용촉진에 관한 법률, 법률 제 18425호"

      35 국가법령정보센터,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료징수 등에 관한 법률, 법률 제18422호"

      36 안기정, "‘서울시 시내버스 요금 정산체계’ 시민인식조사와 시사점" 2020

      37 Schwander, H., "Who is in and who is out? A risk-based conceptualization of insiders and outsiders" 23 (23): 248-269, 2013

      38 Lindbeck, A., "Wage setting, unemployment, and insider-outsider relations" 76 (76): 235-239, 1986

      39 "UK Statute Law Database"

      40 Demerouti E.,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of burnout" 86 : 499-512, 2001

      41 Bakker, A. B.,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state of the art" 22 (22): 309-328, 2007

      42 Husermann, S., "The Age of Dualization: The Changing Face of Inequality in Deindustrializing Societies" Oxford University Press 27-51, 2012

      43 Kalleberg, A. L., "Precarious work, insecure workers: employment relations in transition" 74 (74): 1-22, 2009

      44 Rodgers, G., "Precarious jobs in labour market regulation: The growth of atypical employment in Western Europe" International Labour Organisation 1989

      45 Vosko, L., "Precarious employment: Understanding labour market insecurity in Canada"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06

      46 ILO, "Non-standard employment around the world: understanding challenges, shaping prospects"

      47 Vosko, L., "Managing the Margins: Gender, Citizenship, and the International Regulation of Precarious Employment"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48 Kalleberg, A. L., "Job Quality and Precarious Work: Clarifications, Controversies, and Challenges" 39 (39): 427-448, 2012

      49 ILO, "Informality and non-standard forms of employment, ILO reports for the G20"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2018

      50 Betti, E., "Historicizing precarious work : Forty years of research in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63 (63): 273-319, 2018

      51 Vosko, L. F., "Gender and the contours of precarious employment" Routledge 1-25, 2009

      52 ILO, "From precarious work to decent work. Policies and regulations to combat precarious employment"

      53 ILO, "From precarious work to decent work. Policies and regulations to combat precarious employment"

      54 Bakker, A. B., "Dual processes at work in a call centre: An application of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12 (12): 393-417, 2003

      55 이승윤 ; 백승호, "COVID-19 재난과 필수노동자: 필수노동자 개념틀과 지원정책 제안" 참여연대 (40) : 53-95, 2022

      56 OECD, "COVID-19 and key workers- What role do migrants play in your region"

      57 Schaufeli, W. B., "Applying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A ‘how to’ guide to measuring and tackling work engagement and burnout" 46 : 120-132,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