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코로나19 유행 초기 경제적 불안감 변화와 음주 빈도 변화의 관련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807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팬데믹 초기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 상황에서 경제적 불안감의 변화와 음주 빈도의 변화와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자료 수집은 2020년 5월 13일~5월 19일에 온라인 리서치 회사인 Embrain을 통해 전국의 19세 이상 70세 미만의 성인 1,117명에 대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이 중 2020년에 음주를 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820명(73.4%)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독립변수인 경제적 불안감의 변화는 고용에 대한 불안감의 변화와 소득에 대한 불안감의 변화 두 가지로 측정하였다. 종속변수인 음주 빈도의 변화는 ‘코로나 이후 음주 횟수에 변화가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늘었다,’ ‘변화 없다,’ 그리고 ‘줄었다’로 측정하였다. 통제 변수로는 인구학적 특성, 사회경제적 특성,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 정도, 그리고 음주와 관련된 건강행태 변수들을 포함하였다. 이변량 분석과 다변량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STATA 16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로 인해 고용 불안감과 소득 불안감이 증가한 비율은 각각 50.49%, 59.76%였다.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고용 불안감의 증가는 음주 빈도 증가와 관련이 있었고 소득 불안감의 증가는 음주 빈도 감소와 관련이 있었다. 요약하면 팬데믹 초기 경제적 불안감은 고용 불안 효과와 소득 불안 효과 중 어느 효과가 큰가에 따라 음주 빈도의 증가 혹은 감소로 나타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팬데믹 초기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 상황에서 경제적 불안감의 변화와 음주 빈도의 변화와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자료 수집은 2020년 5월 13일~5월 1...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팬데믹 초기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 상황에서 경제적 불안감의 변화와 음주 빈도의 변화와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자료 수집은 2020년 5월 13일~5월 19일에 온라인 리서치 회사인 Embrain을 통해 전국의 19세 이상 70세 미만의 성인 1,117명에 대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이 중 2020년에 음주를 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820명(73.4%)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독립변수인 경제적 불안감의 변화는 고용에 대한 불안감의 변화와 소득에 대한 불안감의 변화 두 가지로 측정하였다. 종속변수인 음주 빈도의 변화는 ‘코로나 이후 음주 횟수에 변화가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늘었다,’ ‘변화 없다,’ 그리고 ‘줄었다’로 측정하였다. 통제 변수로는 인구학적 특성, 사회경제적 특성,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 정도, 그리고 음주와 관련된 건강행태 변수들을 포함하였다. 이변량 분석과 다변량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STATA 16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로 인해 고용 불안감과 소득 불안감이 증가한 비율은 각각 50.49%, 59.76%였다.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고용 불안감의 증가는 음주 빈도 증가와 관련이 있었고 소득 불안감의 증가는 음주 빈도 감소와 관련이 있었다. 요약하면 팬데믹 초기 경제적 불안감은 고용 불안 효과와 소득 불안 효과 중 어느 효과가 큰가에 따라 음주 빈도의 증가 혹은 감소로 나타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acts of perceived economic instability on drinking frequency in the mist of exercising the strong social distancing in the early phase of COVID19 pandemic.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117 adults aged between 19 and 70 across the nation from May 13 to May 19 in 2020 by Embrain, an on-line research company. We used only 820(73.4%) out of 1,117 who answered that they had a drinking in 2020. Bi-variate analysis and multivariat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STATA16.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the increase of employment instability was related to the increase of drinking frequency, whereas the increase of income instability was related to the decrease of drinking frequency. In sum, the impact of perceived economic instability during the early phase of pandemic may be presented as an increase or decrease of drinking frequency depending on the effect of employment instability and income instability.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acts of perceived economic instability on drinking frequency in the mist of exercising the strong social distancing in the early phase of COVID19 pandemic.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117 adults aged betw...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acts of perceived economic instability on drinking frequency in the mist of exercising the strong social distancing in the early phase of COVID19 pandemic.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117 adults aged between 19 and 70 across the nation from May 13 to May 19 in 2020 by Embrain, an on-line research company. We used only 820(73.4%) out of 1,117 who answered that they had a drinking in 2020. Bi-variate analysis and multivariat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STATA16.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the increase of employment instability was related to the increase of drinking frequency, whereas the increase of income instability was related to the decrease of drinking frequency. In sum, the impact of perceived economic instability during the early phase of pandemic may be presented as an increase or decrease of drinking frequency depending on the effect of employment instability and income instabi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윤영 ; 문진영 ; 김미숙, "한국인의 음주요인에 대한 변화추이와 패널분석 - 2005년~2016년 한국노동패널자료를 중심으로 -" 한국보건사회학회 (48) : 29-58, 2018

      2 강은정 ; 김선정 ; 손창우 ; 고광욱, "코로나19 확산 초기의 사회경제적 특성별 사회적 거리두기 준수" 한국콘텐츠학회 22 (22): 581-590, 2022

      3 김을식, "코로나19 고용 충격, 위기대응과 뉴 노멀의 모색" 422 : 1-26, 2020

      4 조혜정 ; 이은숙, "중년기 빈곤 진입 후 지속기간이 우울을 매개로 음주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지패널을 이용한 종단연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37 (37): 15-24, 2020

      5 곽은미 ; 이주영 ; 윤희장,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음주 관계 연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6 (6): 145-152, 2020

      6 김용석 ; 이석호, "소득수준, 음주수준 및 음주폐해의 관계: 음주폐해역설의 검증"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8 (48): 35-56, 2020

      7 당티홍늉 ; 김영근 ; 장혜진, "베트남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정신건강과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재활심리학회 28 (28): 103-121, 2021

      8 양정연 ; 이준협, "반복되는 고용불안 발생 패턴과 정신건강의 관계 연구" 한국보건사회학회 (58) : 151-176, 2021

      9 서경현,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와 문제성 음주 간의 관계에서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5 (25): 301-320, 2018

      10 양승희 ; 윤지원, "대학생의 우울, 불안, 금주 자기효능감이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 보건복지계열 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5 (15): 304-313, 2015

      1 김윤영 ; 문진영 ; 김미숙, "한국인의 음주요인에 대한 변화추이와 패널분석 - 2005년~2016년 한국노동패널자료를 중심으로 -" 한국보건사회학회 (48) : 29-58, 2018

      2 강은정 ; 김선정 ; 손창우 ; 고광욱, "코로나19 확산 초기의 사회경제적 특성별 사회적 거리두기 준수" 한국콘텐츠학회 22 (22): 581-590, 2022

      3 김을식, "코로나19 고용 충격, 위기대응과 뉴 노멀의 모색" 422 : 1-26, 2020

      4 조혜정 ; 이은숙, "중년기 빈곤 진입 후 지속기간이 우울을 매개로 음주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지패널을 이용한 종단연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37 (37): 15-24, 2020

      5 곽은미 ; 이주영 ; 윤희장,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음주 관계 연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6 (6): 145-152, 2020

      6 김용석 ; 이석호, "소득수준, 음주수준 및 음주폐해의 관계: 음주폐해역설의 검증"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8 (48): 35-56, 2020

      7 당티홍늉 ; 김영근 ; 장혜진, "베트남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정신건강과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재활심리학회 28 (28): 103-121, 2021

      8 양정연 ; 이준협, "반복되는 고용불안 발생 패턴과 정신건강의 관계 연구" 한국보건사회학회 (58) : 151-176, 2021

      9 서경현,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와 문제성 음주 간의 관계에서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5 (25): 301-320, 2018

      10 양승희 ; 윤지원, "대학생의 우울, 불안, 금주 자기효능감이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 보건복지계열 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5 (15): 304-313, 2015

      11 변금선 ; 이혜원, "고용불안정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고용상태 변화 유형과 우울의 인과관계 추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 (38): 129-160, 2018

      12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DA7012S&conn_path=I3"

      13 "http://ncov.mohw.go.kr/tcmBoardView.do?brdId=&brdGubun=&dataGubun=&ncvContSeq=353664&contSeq=353664&board_id=&gubun=ALL2020"

      14 "http://ncov.mohw.go.kr/tcmBoardList.do?brdId=&brdGubun=&dataGubun=&ncvContSeq=&contSeq=&board_id=140&gubun= 2022"

      15 S. Reed, "Willingness to accept trade-offs among COVID-19 cases, social distancing restrictions, and economic impact : A nationwide US study" 23 (23): 1438-1443, 2020

      16 A. R. Avery, "Stress, Anxiety, and Change in Alcohol Us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Findings Among Adult Twin Pairs" 11 : 571084-, 2020

      17 "StataCorp Stata 17 Base Reference Manual" Stata Press 2021

      18 J. Shigemura, "Public responses to the novel 2019 coronavirus(2019-nCoV)in Japan : mental health consequences and target populations" 74 : 281-282, 2020

      19 S. Gutkind, "Prospective effects of loneliness on frequency of alcohol and marijuana use" 124 : 107115-, 2022

      20 E. D. Nesoff, "Mental health and economic stressors associated with high-risk drinking and increased alcohol consumption early in the COVID-19 pandemic in the United States" 153 : 106854-, 2021

      21 H. Rodrigues, "How has COVID-19, lockdown and social distancing changed alcohol drinking patterns? A cross-cultural perspective between britons and spaniards" 95 : 104344-, 2022

      22 I. Levy, "Gender, employment, and continuous pandemic as predictors of alcohol and drug consumption during the COVID-19" 229 : 109020-, 2021

      23 M. Z. Ahmed, "Epidemic of COVID-19 in China and associated psychological problems" 51 : 102092-, 2020

      24 K. Anne, "Did the general population in Germany drink more alcohol during the COVID-19 pandemic lockdown?" 55 : 698-699, 2020

      25 R. Stanton,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during COVID-19 : Associations with Changes in Physical Activity, Sleep, Tobacco and Alcohol Use in Australian Adults" 17 (17): 4065-, 2020

      26 L. J. Bierut, "Co-occurring risk factors for alcohol dependence and habitual smoking" 24 (24): 233-241, 2000

      27 W. V. Lechner, "Changes in alcohol use as a function of psychological distress and social support following COVID-19 related University closings" 110 : 106527-, 2020

      28 K. D. Shield, "Changes in alcohol consumption in Canad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Associations with anxiety and self-perception of depression and loneliness" 57 (57): 190-197, 2021

      29 V. Mongeau-Perusse, "Changes in Alcohol Habits Among Workers During the confinement of COVID-19 : Results of a Canadian Cross-Sectional Survey" 15 : 1-5, 2021

      30 Canadian Centre on Substance Use and Addiction, "COVID-19 and Increased Alcohol Consumptions : NANOS Poll Summary Report" Canadian Centre on Substance Use and Addiction 2020

      31 A. King, "Alcohol-induced increases in smoking behavior for nicotinized and denicotinized cigarettes in men and women" 207 (207): 107-117, 2009

      32 J. Rehm, "Alcohol use in times of the COVID 19 : Implications for monitoring and policy" 39 (39): 301-304, 2020

      33 Institute of Alcohol Studies, "Alcohol Consump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the UK. Second IAS Briefing 2020"

      34 강은정 ; 이재희, "A Longitudinal Study on the Causal Association Between Smoking and Depression" 대한예방의학회 43 (43): 193-204, 2010

      35 이기쁨, "2020년 상반기 연령별 노동시장 평가" 14-32, 2020

      36 M. E. Czeisler, "2020 Mental health, substance use, and suicidal ide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United States" (6) : 1049-1057,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