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최정호 한글꼴의 형태적 특징과 계보 연구 = (A) study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lineage of Choi Jeong-ho’s Hangeul typefa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67147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홍익대학교 대학원 : 디자인ㆍ공예학과 시각디자인전공 2012.2

      • 발행연도

        2012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45.619951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203 p. (접지 1매) : 일부채색삽도,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홍익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안상수
        참고문헌(p. 194-198) 수록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문정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tives for Research This study was motivated by supervisor Professor Ahn Sang‐soo’s comment that research is necessary on Choi Jeong‐ho who laid the base of typography education at Hongik University, and had the object of answer...

      Motives for Research
      This study was motivated by supervisor Professor Ahn Sang‐soo’s comment that research is necessary on Choi
      Jeong‐ho who laid the base of typography education at Hongik University, and had the object of answering questions that the researcher as a Hangeul designer came to have on the realities of the Hangeul typeface designed by Choi Jeong‐ho.
      Background and Problem Definition
      Since Hangeul was born in Year 25 of King Sejong (1443) in the Chosun Dynasty, printing technology has achieved dazzling development from type through photographic typesetting to today’s digital font, and Hangeul typefaces have been refined through many literati and artisans. Choi Jeong‐ho, who was a Hangeul designer during the period of original drawing type (1950‐1990) before the emergence of digital font, draw around 40 kinds of original drawings from the type font of ‘Donga Publishing, Samhwa Printing’ to the photographic type fonts of Shaken and Morisawa. There are various font makers for serif style (Myeongjo) and sans‐serif (Gothic), which are most commonly used for texts, but their fonts take structure of the same context and similar forms. The reason for the similarity is known to be that they were all based on Choi Jeongho’s original drawings, but the details have not been known. Therefore, in order to find the root of today’s Hangeul fonts, we need to conduct research to answer questions such as what the tens of kinds of Hangeul typefaces created by Choi Jeong‐ho are, what characteristics they have, and how similar they are to digital fonts.
      Objectives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directions. First, this study traces the process of Choi Jeong‐ho’s Hangeul typeface development and his original drawings, analyzes the forms,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Second, this study compares Choi Jeong‐ho’s Hangeul typefaces with digital fonts and determines their morphological relation. Third, this study draws up the lineage of Choi Jeong‐ho’s Hangeul typeface based on morphological flow. In a wor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oot of today’s digital fonts and clarify their lineage by tracing the realities of Choi Jeong‐ho’s Hangeul typefaces.
      Contents
      Chapter I ‘Introduction’ explained the background and objectives of research, presented the methods and contents, and defined related terms. Chapter II reviewed Choi Jeong‐ho’s life, focusing on major activities by period, presented the formative theory of Choi Jeong‐ho’s Hangeul typefaces, and presented the researcher’s Hangeul typeface analysis methodology. Chapter III trac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original drawings designed by Choi Jeong‐ho including type typefaces such as the Donga Publishing font, Samhwa Printing font, Donga Ilbo title font, photographic type fonts such as Shaken and Morisawa, and lately developed fonts such as Choi Jeong‐ho-che, Choteuktae style(extra black), and old letter style, and explained the kinds of fonts and their characteristics. Chapter IV examined the influence of Choi Jeong‐ho’s Hangeul typefaces on digital fonts, dividing them into serif style and sans‐serif style, and Chapter V drew up the lineage of Choi Jeong‐ho’s Hangeul typefaces. Chapter IV ‘Conclusion’ summari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explained the meanings of this study, and suggested tasks for futur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hoi Jeong‐ho’s Hangeul typefaces showed the pattern of structural and
      morphological evolution through multiple stages. First, the serif style showed evolution through four stages. The first‐stage evolution ‘Donga Publishing font’ enhanced the completeness of vertical writing font and, at the same time, laid the base for transition to horizontal writing font through changing the position and size of consonants. The second‐stage evolution Shaken photographic type font suggested the basic balance of horizontal writing and completed a letter family of four thicknesses, which are Se(light)–Jung(regular)– Tae(bold)– Gyeonchul(extra bold). The third‐stage evolution Morisawa photographic type font increased the inner space of font so that letters of the same size looked bigger. The fourth‐stage and last evolution Choi Jeong‐ho typeface reduced the width of letters and increased the size of the initial consonant. These structural
      and morphological evolutions of Choi Jeong‐ho’s Hangeul typefaces show the development process of fonts in
      response to the transition from vertical writing to horizontal writing. Next, with regard to change in the sans‐serif style, the Shaken photographic type font was designed by reflecting the marginal zone phenomenon that the hickness increases gradually with approaching the end of the letter stem, and the Morisawa photographic type font was designed to look bigger with the same size as in the serif style by increasing the inner space while restricting the marginal zone phenomenon. Lastly, with regard to the influence of Choi Jeong‐ho’s Hangeul typefaces on digital fonts, serif style fonts Shaken Jung Myeongjo, Shaken Tae Myeongjo, and Shaken Gyeonchul Myeongjo influenced, respectively, SM Jung Myeongjo, SM Tae Myeongjo, and SM Gyeonchul Myeongjo structurally and morphologically.
      Shaken Se Myeongjo is structurally similar to SM Se Myeongjo, but there are some disagreements in the
      detailed form of consonants ㅇ, ㅎ and ㅈ. In addition, Morisawa Jung Myeongjo became the structural and morphological base of SM Sinsin Myeongjo and is structurally similar to SM Sin Myeongjo, but the detailed form of consonants ㅇ and ㅎ was different. Among sans‐serif style fonts, Shaken Se Gothic, Shaken Jung Gothic, and Shaken Gyeonchul Gothic influenced, respectively, SM Se Gothic, SM Jung Gothic, and SM Gyeonchul Gothic structurally and morphologically. Besides, Shaken Sin Myeongjo (Chinese Myeongjo style), Naru and Gungseo became the base of SM Sun yeongjo, SSM Se Naru, and SM Gungseo, respectively.
      Meanings
      As presented above, the researcher traced the original drawings of Choi Jeong‐ho’s Hangeul typefaces, and
      explained their characteristics and the pattern of morphological changes and drew up the lineage. Based
      on these results, moreover, the realities of Choi Jeong‐ho’s Hangeul typefaces and their influence on today’s
      digital fonts were clarified. These efforts to find the root of Hangeul typefaces are expected to solidify the base of Hangeul design research and to be helpful to establish morphological standards for many designers to
      develop Hangeul typefaces with a high degree of completion.
      Key Words
      Choi Jeong‐ho, Hangeul design, Hangeul typeface,
      sans‐serif style, serif style, Myeongjo, Gothic, Hangeul typeface linea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홍익대학교 타이포그래피 교육의 바탕이 된 최정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지도교수의 권유와 연구자가 한글 디자이너로서 활동하며 가지게 된 ‘최정호 한글꼴의 실체’ 에 ...

      이 연구는 홍익대학교 타이포그래피 교육의 바탕이 된 최정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지도교수의 권유와 연구자가 한글 디자이너로서 활동하며 가지게 된 ‘최정호 한글꼴의 실체’ 에 대한 의문을 풀기 위해 진행하게 되었다.<연구동기>
      조선 세종 25년(1443) 한글이 탄생한 이후 560여 년이 흐른 지금, ‘활자(活字)’에서 ‘사진식자(寫眞植字)’를 지나 ‘디지털 글꼴’에 이르기까지 인쇄 기술은 눈부신 발전을 이루었고 한글꼴은 많은 문인(文人)과 장인(匠人)의 손을 거쳐서 오늘날에 이르렀다. 최정호는 디지털 글꼴이 등장하기 이전인 원도활자시대(1950-1990)의 한글 디자이너로서 ‘동아출판사,삼화인쇄’의 활자체부터 ‘샤켄, 모리사와’의 사진식자체에 이르기까지 40여 종이 넘는 원도를 그렸다. 현재 본문용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부리체(명조체)와 민부리체(고딕체)는 다양한 글꼴 제작사가 존재하지만 대체로 같은 맥락의 구조와 비슷한 형태를 띠고 있는데 이는 최정호의 원도(原圖, original drawing)를 바탕으로 했기 때문이라고 알려졌으나 정확한 제작 경위는 알려진 바가 없다. 그러므로 오늘날 한글꼴의 뿌리를 찾기 위해서는 최정호가 만든 수십 종의 한글꼴이 정확히 어떤 것이 있고 그 특징이 무엇인지, 그리고 디지털 글꼴과 얼마나 닮아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연구배경 및 문제제기>
      이러한 의문을 풀기 위해 이 연구에서 다음의 세 가지를 논구하고자 한다. 첫째 ‘최정호 한글꼴’의 제작 경위와 원도를 추적하여 그 형태를 분석하고 그 특징을 정리한다. 둘째 ‘최정호한글꼴’과 디지털 글꼴을 비교해서 형태적 연관성을 살펴본다. 셋째 ‘최정호 한글꼴의 형태적 흐름에 따른 계보’를 정리한다. 즉 이 연구의 목적은 최정호 한글꼴을 실체를 추적하여 오늘날 디지털 글꼴의 뿌리를 찾고 그 계보를 밝히기 위함이다.<연구목적>
      1장 ‘머리글’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설명하고 연구 방법과 내용을 설명했으며 관련용어를 정의했다. 2장에서는 최정호의 생애를 시대별 주요 활동 중심으로 살펴보고 ‘최정호의 한글꼴 조형 이론’을 정리한 후, 연구자의 ‘한글꼴 분석 방법론’을 제시했다. 3장에서는 최정호가 개발한 ‘동아출판사체, 삼화인쇄체, 동아일보 제목체’와 같은 활자체와 ‘샤켄, 모리사와’와 같은 사진식자체, 말년에 개발한 ‘최정호체, 초특태(超特太)고딕체, 옛글자(古語)체’등의 원도 제작 경위를 추적하고 그 종류와 특징을 밝혔다. 4장에서는 최정호 한글꼴을 ‘부리계열(serif style)’과 ‘민부리계열(sans serif style)’로 나누어서 디지털 글꼴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5장에서 ‘최정호 한글꼴의 계보’를 그렸다. 6장 ‘맺음글’에서는 이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내용을 정리하고 그 의의를 밝혔으며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짚어 보았다.<연구내용>
      그 결과 최정호 한글꼴은 여러 단계에 걸친 구조적, 형태적 진화 양상을 보인 것으로 밝혀 졌다. 먼저 부리 계열은 4단계에 걸친 진화를 보였는데 첫 번째 진화로서 ‘동아출판사체’는 세로쓰기 글꼴의 완성도를 높이는 동시에 닿자의 위치와 크기 변화를 통해 가로쓰기 글꼴로 전환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두 번째 진화로서 ‘샤켄 사진식자체’는 가로쓰기의 기본 균형을 제시하는 동시에 ‘세(細)-중(中)-태(太)-견출(見出)’ 이상 4가지 굵기의 글자가족을 갖추었다. 세 번째 진화로서 ‘모리사와 사진식자체’는 글꼴의 속공간을 키워서 같은 크기로 썼을때 더욱 커 보이도록 설계했다. 마지막 네 번째 진화로서 최정호체는 가로너비를 좁히고 첫닿자의 크기를 키웠다. 이러한 최정호 한글꼴의 구조적 형태적 진화 과정은 한글꼴이 세로쓰기에서 가로쓰기에 적합한 글꼴로 변모하는 과정을 보여준 것이었다.
      다음으로 민부리 계열의 변화는 샤켄 사진식자체는 글자줄기 끝으로 갈수록 점점 두꺼워지는 마지널존 현상을 반영하여 설계했으며 모리사와 사진식자체는 이러한 마지널 존 현상을 절제하고 속공간을 키워서 부리 계열과 마찬가지로 같은 크기로 썼을 때 더 커 보이도록 설계했다.
      마지막으로 최정호 한글꼴이 디지털 글꼴에 준 영향을 살펴보면 부리 계열 글꼴에서는 샤켄 중명조, 샤켄 태명조, 샤켄 견출명조가 각각 SM중명조, SM태명조, SM견출명조에 구조적,형태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샤켄 세명조의 경우 SM세명조와 그 구조적으로는 비슷하나 닿자 ㅇ, ㅎ, ㅈ 등의 세부 형태는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모리사와 중명조는 SM신 신명조의 구조적, 형태적 바탕이 되었고, SM신명조와도 구조적으로 비슷하지만 닿자 ㅇ, ㅎ 등 쪽자의 형태는 다르다. 민부리 계열 글꼴에서는 샤켄의 세고딕, 샤켄 중고딕, 샤켄 견출고 딕이 각각 SM세고딕, SM중고딕, SM견출고딕에 구조적, 형태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그 밖에도 샤켄 신명조(한자 명조 계열), 나루체, 궁서체는 각각 SM순명조, SM세나루, SM궁서체의 바탕이 되었다.<연구결과>
      이처럼 연구자는 최정호 한글꼴의 원도를 찾아내어 그 특징과 형태적 변화를 양상을 밝혀내고 계보를 그렸으며 이로써 최정호 한글꼴의 실체와 오늘날 디지털 글꼴에 미친 영향을 밝혀낼 수 있었다. 이렇듯 한글꼴의 뿌리를 찾는 작업은 한글 디자인 연구의 기초를 탄탄히 하는 동시에 앞으로 많은 디자이너들이 완성도 높은 한글꼴 개발하는 데에 필요한 형태적 기준설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연구의의>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간추린 글 1
      • 얼개그림 4
      • 차례 6
      • 표차례 8
      • 그림차례 9
      • 간추린 글 1
      • 얼개그림 4
      • 차례 6
      • 표차례 8
      • 그림차례 9
      • 1. 머리글 14
      • 1.1. 연구배경 및 목적 15
      • 1.2. 연구방법 및 내용 16
      • 1.3. 용어 정의 18
      • 2. 최정호 기초 연구와 한글꼴 분석 방법론 22
      • 2.1. 최정호의 생애 24
      • 2.1.1. 시대별 주요 활동 24
      • 2.1.2. 주변 인물 28
      • 2.2. 최정호의 한글꼴 조형 이론 30
      • 2.2.1. 기초 이론 30
      • 2.2.2. 글자꼴 조형 원리 31
      • 2.2.3. 앞으로의 바람 43
      • 2.3. 한글꼴 분석 방법론 44
      • 2.3.1. 선행연구자의 방법론 44
      • 2.3.2. 연구자의 방법론 46
      • 3. 최정호 한글꼴 원도(原圖)의 종류 52
      • 3.1. 납 활자 원도 제작기 54
      • 3.1.1. 동아출판사체 54
      • 3.1.2. 삼화인쇄체 60
      • 3.1.3. 보진재체 63
      • 3.1.4. 동아일보 제목 활자체 64
      • 3.2. 사진식자 원도 제작기 66
      • 3.2.1. 샤켄 사진식자체 66
      • 3.2.2. 모리사와 사진식자체 76
      • 3.3. 말년기 89
      • 3.3.1. 초특태고딕 89
      • 3.3.2. 최정호체 90
      • 3.3.3. 마당 제목체 92
      • 3.3.4. 홍익대 교재용 레터링 93
      • 3.3.5. 옛말체 93
      • 4. 최정호 한글꼴의 비교 분석과 형태적 특징 96
      • 4.1. 최정호 부리 계열 98
      • 4.1.1. 가는 부리 계열 98
      • 4.1.2. 중간 부리 계열 114
      • 4.1.3. 굵은 부리 계열 130
      • 4.1.4. 돋보임 부리 계열 136
      • 4.1.5. 한자 명조 계열 142
      • 4.2. 최정호 민부리 계열 148
      • 4.2.1. 가는 민부리 계열 148
      • 4.2.2. 중간 민부리 계열 154
      • 4.2.3. 굵은 민부리 계열 160
      • 4.2.4. 돋보임 민부리 계열 166
      • 4.2.5. 둥근 민부리 계열 172
      • 4.3. 최정호 한글꼴의 진화 양상 178
      • 4.3.1. 최정호 부리 계열의 진화 178
      • 4.3.2. 최정호 민부리 계열의 진화 180
      • 5. 최정호 한글꼴의 계보 182
      • 5.1. 글꼴의 계열과 계보 183
      • 5.2. 최정호 한글꼴의 계보 188
      • 5.2.1. 최정호 부리 계열의 계보 188
      • 5.2.2. 최정호 민부리 계열의 계보 189
      • 6. 맺음글 190
      • 참고문헌 194
      • Abstract 1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