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 먹방 시청과 충동성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생태순간평가 기법을 활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30대를 대상으로 총 257명의 자료를 수집한 후, 먹방 시청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529478
경산 :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2
학위논문(석사) -- 대구대학교 대학원 , 심리학과 심리학전공 , 2022. 8
2022
한국어
경상북도
iv, 59 ; 26 cm
지도교수: 김근향
I804:47009-20000064136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 먹방 시청과 충동성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생태순간평가 기법을 활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30대를 대상으로 총 257명의 자료를 수집한 후, 먹방 시청을 ...
본 연구에서 먹방 시청과 충동성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생태순간평가 기법을 활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30대를 대상으로 총 257명의 자료를 수집한 후, 먹방 시청을 하는 집단과 하지 않는 집단에서 충동성 점수의 상, 하위 50%에 해당하는 참가자들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82명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먹방 시청의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충동성의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먹방 시청과 충동성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충동성 저 집단에서는 먹방 유 집단과 먹방 무 집단 간의 폭식행동의 차이가 없었으나, 충동성 고 집단에서는 먹방 무 집단보다는 먹방 유 집단에서 폭식행동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충동성이 높을수록 음식단서인 ‘먹방’에 노출되면 과식을 할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이는 결국 폭식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요어 : 먹방, 충동성, 폭식행동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effects of mukbang show and impulisivity on binge eating behavior was to be investigated using the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57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ere collected, and amo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effects of mukbang show and impulisivity on binge eating behavior was to be investigated using the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57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ere collected, and among the participants in the upper and lower 50% of the impulsivity scores in the group watching mukbang and the group not watching mukbang, 82 people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effect of watching mukbang was not significant. Second, the main effect of impulsivity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watching mukbang and impulsiveness was significant. In other words, in the group with low impulsivity, there was no difference in binge eating behavior between the group watching mukbang and the group not watching mukbang, but the group with high impulsivity showed binge eating behavior in the group watching mukbang rather than the group not watching mukbang.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uggest that the higher the impulsivity,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overeating when exposed to the food cues, 'mukbang', which eventually affects binge eating behavior. Finall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the discussion.
Keywords : Mukbang, Impulsivity, Binge Eating Behavior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