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우울 호소 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Style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Nonsuicidal Self-Injury in College Students who Complained of Depres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5295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울을 호소하는 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능동적, 지지추구적, 회피분산적 각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전체 26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그 중 우울증 선별도구(PHQ)의 절단점(5점)에 따라 선별한 우울을 호소하는 사람은 130명이었다. 전국 5개 대학의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을 통해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전체 대학생 참여자들의 연령은 평균 21.20세이었다. 우울 호소 여부에 따른 정서인식명확성과 비자살적 자해의 차이 검증을 위한 t검증 결과 우울한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정서인식명확성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낮고, 비자살적 자해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우울 호소 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과 비살작적 자해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우울 호소 대학생의 능동적 정서조절양식은 정서인식명확성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비자살적 자해와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은 정서인식명확성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비자살적 자해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우울 호소 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과 비자살적 자해 관계에서 능동적 정서조절양식과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 각각의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능동적, 회피분산적 각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하지만 우울 호소 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의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 대학생 중 우울을 호소하는 자해 취약집단의 정서인식명확성이 능동적 정서조절양식과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 각각을 통해 비자살적 자해의 심각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과정을 설명한 것에 의의가 있다.

      주요어: 비자살적 자해, 우울, 정서인식명확성, 정서조절양식
      번역하기

      본 연구는 우울을 호소하는 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능동적, 지지추구적, 회피분산적 각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전체 261명이 연구에 참여하...

      본 연구는 우울을 호소하는 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능동적, 지지추구적, 회피분산적 각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전체 26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그 중 우울증 선별도구(PHQ)의 절단점(5점)에 따라 선별한 우울을 호소하는 사람은 130명이었다. 전국 5개 대학의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을 통해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전체 대학생 참여자들의 연령은 평균 21.20세이었다. 우울 호소 여부에 따른 정서인식명확성과 비자살적 자해의 차이 검증을 위한 t검증 결과 우울한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정서인식명확성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낮고, 비자살적 자해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우울 호소 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과 비살작적 자해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우울 호소 대학생의 능동적 정서조절양식은 정서인식명확성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비자살적 자해와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은 정서인식명확성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비자살적 자해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우울 호소 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과 비자살적 자해 관계에서 능동적 정서조절양식과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 각각의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능동적, 회피분산적 각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하지만 우울 호소 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의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 대학생 중 우울을 호소하는 자해 취약집단의 정서인식명확성이 능동적 정서조절양식과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 각각을 통해 비자살적 자해의 심각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과정을 설명한 것에 의의가 있다.

      주요어: 비자살적 자해, 우울, 정서인식명확성, 정서조절양식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style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nonsuicidal self-injury(NSSI) in college students who complained of depression. A total of 261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130 of them complained of depression selected according to the cut-off (5points) of the depression screening questionnaire (PHQ). The data was collected by online surveys through online community boards of five universities in Korea, and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was 21.20. A 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NSSI in relation to a participant’s depression appeal. The result of the t-test showed that the emotional clarity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ose who were depressed, whereas the NSSI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m. Based on a correlation analysis, there i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NSSI of depressed college students. College students who complained of depression and had an active regulation style, their regulation styl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clarity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NSSI. For those who complained of depression and had an avoidant distractive regulation style, their regulation style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clarity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NSSI.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indirect effects of each of the active regulation style and the avoidant distractive regulation style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NSSI of depressed college students. Therefore, the mediating effect of each of the active regulation style and the avoidant distractive regulation style was confirmed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NSSI. However, the indirect effects of the support-seeking regulation styl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relation to emotional clarity and NSSI of the college students complaining of depres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xplaining the process the emotional clarity of vulnerable young adults in college students complaining of depression affects the severity of NSSI through an active regulation style and an avoidant distractive regulation style.

      key words : nonsuicidal self-injury, NSSI, depression, emotional clarity, emotional regulation styl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style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nonsuicidal self-injury(NSSI) in college students who complained of depression. A total of 261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style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nonsuicidal self-injury(NSSI) in college students who complained of depression. A total of 261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130 of them complained of depression selected according to the cut-off (5points) of the depression screening questionnaire (PHQ). The data was collected by online surveys through online community boards of five universities in Korea, and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was 21.20. A 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NSSI in relation to a participant’s depression appeal. The result of the t-test showed that the emotional clarity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ose who were depressed, whereas the NSSI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m. Based on a correlation analysis, there i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NSSI of depressed college students. College students who complained of depression and had an active regulation style, their regulation styl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clarity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NSSI. For those who complained of depression and had an avoidant distractive regulation style, their regulation style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clarity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NSSI.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indirect effects of each of the active regulation style and the avoidant distractive regulation style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NSSI of depressed college students. Therefore, the mediating effect of each of the active regulation style and the avoidant distractive regulation style was confirmed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NSSI. However, the indirect effects of the support-seeking regulation styl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relation to emotional clarity and NSSI of the college students complaining of depres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xplaining the process the emotional clarity of vulnerable young adults in college students complaining of depression affects the severity of NSSI through an active regulation style and an avoidant distractive regulation style.

      key words : nonsuicidal self-injury, NSSI, depression, emotional clarity, emotional regulation sty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비자살적 자해 4
      • 1) 비자살적 자해의 개념과 특징 4
      • 2) 비자살적 자해의 설명 모델 7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비자살적 자해 4
      • 1) 비자살적 자해의 개념과 특징 4
      • 2) 비자살적 자해의 설명 모델 7
      • 3. 정서인식명확성 10
      • 1) 정서인식명확성의 개념과 특징 10
      • 2) 정서인식명확성과 비자살적 자해 11
      • 4. 정서조절양식 13
      • 1) 정서조절의 정의 13
      • 2) 정서조절양식의 개념과 특징 14
      • 3)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양식 15
      • 4) 정서조절양식과 비자살적 자해 17
      • 5. 우울 18
      • 1) 우울의 개념과 특징 18
      • 2) 우울과 정서인식명확성 18
      • 3) 우울과 비자살적 자해 19
      • 6. 연구문제 및 가설 21
      • Ⅱ. 연구방법 및 절차 24
      • 1. 연구대상 24
      • 2. 측정도구 25
      • 1) 한국판 자해 기능 평가지 25
      • 2) 한국어판 우울증 선별도구 25
      • 3) 특질 상위-기분 척도 _ 정서인식명확성 26
      • 4) 정서조절양식 체크리스트 26
      • 3. 자료수집 및 연구절차 27
      • 4. 자료 분석 방법 27
      • Ⅲ. 결 과 29
      • 1. 우울 호소 여부에 따른 정서인식명확성, 비자살적 자해 차이 검증 29
      • 2. 측정변인의 신뢰도, 평균, 표준편차, 정규성 분석 30
      • 3. 측정변인의 상관분석 31
      • 4. 우울 호소 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능동적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32
      • 5. 우울 호소 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34
      • 6. 우울 호소 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36
      • 7. 기타 _ 비자살적 자해 관련 기술 통계 38
      • Ⅳ. 논 의 42
      • 참고문헌 48
      • 영문초록 62
      • 부 록 6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