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책을 펴내며 = 7
- 제1부 젠더와 공간의 만남을 위한 이론적 탐색
- 제1장 젠더와 공간의 만남을 위한 시론 : 젠더 평등의 관점에서
- 1. 머리말 = 17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M15627419
파주 : 한울아카데미 : 한울엠플러스, 2020
2020
한국어
337.1 판사항(5)
305.4 판사항(23)
9788946072374 93330 : ₩25000
단행본(다권본)
경기도
젠더, 공간, 권력 / 안숙영 지음
Gender, space, and power
251 p. ; 21 cm
한울아카데미 ; 2237 한울아카데미 ; 2237
이 도서는 대한민국학술원에서 선정한 2021년도 우수학술도서임
참고문헌 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온라인 서점 구매
책소개
자료제공 :
젠더, 공간, 권력
젠더의 렌즈로 공간과 권력을 분석하다 남녀 모두에게 ‘평평한’ 공간을 위하여 최근까지도 젠더 간의 권력관계로 인해 여성과 남성이 공간을 서로 다르게 경험한다는 사실은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했다. 공간이 주로 ‘물리적 공간’으로 이해되는 가운데 젠더, 계급 및 인종과 같은 사회적 카테고리와 무관하게 배치되고 작동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간은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성격을 띠는 물리적 공간이라기보다는 젠더에 기초한 불평등한 사회적 권력관계가 물질적으로 응축되어 나타나는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특징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젠더의 렌즈로 공간을 분석하는 작업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오늘날 여성의 일과 남성의 일이라는 구분이 약화되고 있기는 하지만, 그 사람이 여성인가 남성인가에 따른 공간적 이동의 경로는 여전히 제약을 받고 있다. 이 책은 권력관계로서의 젠더관계에 기초한 젠더 불평등이나 젠더 억압을 변화시키고자 한다면, 무엇보다 ‘젠더’, ‘공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