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斗室 沈象奎(1766~1838)의 척독집인 『斗室尺牘』을 대상으로 하여, 異本 검토 및 다른 척독집과의 비교를 통해 『두실척독』의 성격과 편찬 목적 그리고 주요한 특성 등을 밝히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斗室 沈象奎(1766~1838)의 척독집인 『斗室尺牘』을 대상으로 하여, 異本 검토 및 다른 척독집과의 비교를 통해 『두실척독』의 성격과 편찬 목적 그리고 주요한 특성 등을 밝히고 ...
본 논문은 斗室 沈象奎(1766~1838)의 척독집인 『斗室尺牘』을 대상으로 하여, 異本 검토 및 다른 척독집과의 비교를 통해 『두실척독』의 성격과 편찬 목적 그리고 주요한 특성 등을 밝히고 『두실척독』의 종합적 의의를 究明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비롯하였다.
제2장에서는 먼저 19세기 중・후반의 척독 인식과 척독집의 수요 및 편찬에 대해 조명하였다. 그리고 『두실척독』과 비슷한 시기에 편찬된 척독집들을 해당 척독 작자의 수를 기준으로, 한 인물을 대상으로 한 척독집과 여러 인물을 대상으로 한 척독집으로 분류하여 각 유형별 전개 양식과 내용 양상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두실척독』의 필사본 6종의 각 판본별 서지적 특성과 이본 간의 동이점을 검토하였다. 현전하는 6종의 필사본은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3종, 부산대학교 소장본 1종, 일본 동양문고 소장본 2종이다.
제4장에서는 『두실척독』에 수록된 척독을 대상으로 그 전개 양식과 내용 양상에 대해 알아보았다. '전형적 구성 방식과 관습적 표현', '관직생활에 대한 당부와 애민의식', '화훼와 진미에 대한 애호'의 측면에서 전개 양식과 내용 양상을 살폈고, 다른 척독집들과의 관계 속에서 『두실척독』의 특성을 밝혔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서 『두실척독』이 지니는 두 가지 의의를 찾았다. 심상규의 개인 문집이 온전하게 남아있지 않은 상황에서, 『두실척독』은 史料나 주변 인물들의 기록이 아닌 심상규 본인의 기록을 통해 그의 일상적인 모습과 교류 및 취향 등을 담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희소성에 기인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또한 『두실척독』이 외적인 형태를 보면 한 인물을 대상으로 한 척독집에 가깝지만 그 안에 실려 있는 각 척독의 전개 양식과 내용 양상을 살펴보면 오히려 여러 인물을 대상으로 한 척독집에 가까움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두실척독』의 특성은 19세기 중・후반 척독선집 편찬 경향의 변모 양상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