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여성지 표지 모델을 통해 본 한국 여성 이미지 변화 과정에 관한 연구 : 메이크업·헤어스타일·패션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887898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건국대학교 대학원 , 디자인학과 , 2012.8

      • 발행연도

        2012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741.6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Changing images of korean women as represented on women's magazine covers : focusing on makeup, hair styles, and fashion

      • 형태사항

        x, 198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오창섭
        부록: '설문지' 외 수록
        참고문헌: p.181-187
        서지적, 설명적각주수록

      • 소장기관
        • 건국대학교 상허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소쉬르의 기호학에 근거하여 우리나라 여성지 표지 모델의 패션과 메이크업․헤어스타일을 중심으로 여성이미지 변화과정을 연구하는 것이었다. 본 논문은 이를 위하여 첫째, 1970년부터 2000년대까지 사회적 배경을 분석하고, 둘째, 1970년부터 2000년대까지 여성지에 나타난 여성의 이미지를 분석하며, 셋째, 기호학에 근거하여 사회적 배경에 따른 여성이미지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요컨대 다음과 같다.
      첫째, 1970년대 초반까지는 일반인이 모델의 주류를 이루었지만, 1970년대 중반 이후에는 유명 연예인이 모델로 등장하게 되면서 여성의 이미지가 가정적인 것에서 진보적인 방향으로 변해갔다. 1980년대 후반부터는 더 이상 여성의 이미지는 육아와 가사일 만을 하는 현모양처 이미지가 아닌, 저마다의 삶의 방식을 갖는 개성 있는 존재로 부각되는 변화가 일어난다. 1990년대 모델들에게는 웃는 표정이 많이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변화와 개성, 다양성을 수용한 이미지가 구현되기 시작했다. 1970년대 여성의 가정적 이미지가 여전히 남아있던 1980년대와는 달리 1990년대에는 사회에 진출한 지적이고 귀여운 이미지가 강조됐다. 2000년대에는 ‘한·일 월드컵’과 ‘G20정상회의’의 개최,‘웰빙(well being)’과 ‘몸짱1)’열풍 등으로 자연스럽고 관능적인 이미지가 사회적으로 선호됐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여성지 표지모델이 나타내는 이미지를 당대 여성의 이미지로 간주했다. 먼저 ‘의미분별척도법’으로 이미지 형용사를 추출하였고 다시 ‘기호학’에 근거해 각 표지들에서 사회․문화적인 기표를 찾았다. 이를 바탕으로 떠오르는 기의들을 활동적인 이미지, 관능적인 이미지, 자연스러운 이미지, 귀여운 이미지, 고급스러운 이미지, 지적인 이미지, 가정적인 이미지 등 7가지로 분류하였다.
      셋째,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각 이미지에 대해서 연도별로 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1970년대 초반에는 가정적인 이미지가 매우 강하게 나타났으며, 중반이후 가정적이며 고급스러운 이미지가 혼재되어 나타났다. 1980년대 초반에는 활동적인 이미지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중반이후 활동적이며 지적인 이미지가 드러났다. 1990년대 초반에는 귀여운 이미지가 매우 강하게 나타났다. 지적인 이미지는 1990년대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었고, 관능적인 이미지는 1990년대 후반에 새롭게 나타나고 있었다. 2000년대 전반에 걸쳐 관능적인 이미지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그 외에는 자연스러운 이미지도 빈도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본 논문은 여성 이미지의 변화가 단순한 개인적 취향이 변화하면서 만들어진 산물이 아니라 그 시대의 특정한 시대상을 폭넓게 반영하고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1970년대의 수동적이고 가정적인 이미지에서부터 2000년대의 관능적․자연스러운 이미지로까지 여성들의 이미지 변화는 끊임없이 일어났다. 이는 단순한 미적 취향의 산물이 아니라 사회적인 맥락에서 받아들여야 할 사회 미학적 성격의 변모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소쉬르의 기호학에 근거하여 우리나라 여성지 표지 모델의 패션과 메이크업․헤어스타일을 중심으로 여성이미지 변화과정을 연구하는 것이었다. 본 논문은 이를 위하여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쉬르의 기호학에 근거하여 우리나라 여성지 표지 모델의 패션과 메이크업․헤어스타일을 중심으로 여성이미지 변화과정을 연구하는 것이었다. 본 논문은 이를 위하여 첫째, 1970년부터 2000년대까지 사회적 배경을 분석하고, 둘째, 1970년부터 2000년대까지 여성지에 나타난 여성의 이미지를 분석하며, 셋째, 기호학에 근거하여 사회적 배경에 따른 여성이미지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요컨대 다음과 같다.
      첫째, 1970년대 초반까지는 일반인이 모델의 주류를 이루었지만, 1970년대 중반 이후에는 유명 연예인이 모델로 등장하게 되면서 여성의 이미지가 가정적인 것에서 진보적인 방향으로 변해갔다. 1980년대 후반부터는 더 이상 여성의 이미지는 육아와 가사일 만을 하는 현모양처 이미지가 아닌, 저마다의 삶의 방식을 갖는 개성 있는 존재로 부각되는 변화가 일어난다. 1990년대 모델들에게는 웃는 표정이 많이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변화와 개성, 다양성을 수용한 이미지가 구현되기 시작했다. 1970년대 여성의 가정적 이미지가 여전히 남아있던 1980년대와는 달리 1990년대에는 사회에 진출한 지적이고 귀여운 이미지가 강조됐다. 2000년대에는 ‘한·일 월드컵’과 ‘G20정상회의’의 개최,‘웰빙(well being)’과 ‘몸짱1)’열풍 등으로 자연스럽고 관능적인 이미지가 사회적으로 선호됐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여성지 표지모델이 나타내는 이미지를 당대 여성의 이미지로 간주했다. 먼저 ‘의미분별척도법’으로 이미지 형용사를 추출하였고 다시 ‘기호학’에 근거해 각 표지들에서 사회․문화적인 기표를 찾았다. 이를 바탕으로 떠오르는 기의들을 활동적인 이미지, 관능적인 이미지, 자연스러운 이미지, 귀여운 이미지, 고급스러운 이미지, 지적인 이미지, 가정적인 이미지 등 7가지로 분류하였다.
      셋째,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각 이미지에 대해서 연도별로 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1970년대 초반에는 가정적인 이미지가 매우 강하게 나타났으며, 중반이후 가정적이며 고급스러운 이미지가 혼재되어 나타났다. 1980년대 초반에는 활동적인 이미지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중반이후 활동적이며 지적인 이미지가 드러났다. 1990년대 초반에는 귀여운 이미지가 매우 강하게 나타났다. 지적인 이미지는 1990년대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었고, 관능적인 이미지는 1990년대 후반에 새롭게 나타나고 있었다. 2000년대 전반에 걸쳐 관능적인 이미지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그 외에는 자연스러운 이미지도 빈도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본 논문은 여성 이미지의 변화가 단순한 개인적 취향이 변화하면서 만들어진 산물이 아니라 그 시대의 특정한 시대상을 폭넓게 반영하고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1970년대의 수동적이고 가정적인 이미지에서부터 2000년대의 관능적․자연스러운 이미지로까지 여성들의 이미지 변화는 끊임없이 일어났다. 이는 단순한 미적 취향의 산물이 아니라 사회적인 맥락에서 받아들여야 할 사회 미학적 성격의 변모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2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2
      • 제2절. 연구의 목적 = 4
      • 제3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4
      • 제4절. 연구의 틀 = 5
      • 제1장. 서론 = 2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2
      • 제2절. 연구의 목적 = 4
      • 제3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4
      • 제4절. 연구의 틀 = 5
      • 1. 기호학의 개념 = 7
      • 2. 기호의 구조 = 8
      • 제5절. 용어 정의 = 15
      • 제2장. 이론적 배경 = 21
      • 제1절. 이미지(Image)와 휴먼이미지(Human image) = 21
      • 1. 이미지(Image)의 이해 = 21
      • 2. 휴먼이미지(Human image)와 구성요소 = 25
      • 제2절. 휴먼이미지 디자인(Human image design) = 28
      • 1. 비가시적 이미지 = 29
      • 2. 가시적 이미지 = 29
      • 제3장. 1970-2000년대 여성의 이미지에 대한 분석 = 37
      • 제1절. 1970년대 = 37
      • 1. 정치적 상황 = 37
      • 2. 사회ㆍ문화적 상황 = 39
      • 3. 1970년대 여성 이미지 = 43
      • 4. 메이크업․헤어스타일․패션 = 51
      • 제2절. 1980년대 = 74
      • 1. 정치적 상황 = 74
      • 2. 사회ㆍ문화적 상황 = 76
      • 3. 1980년대 여성 이미지 = 77
      • 4. 메이크업ㆍ헤어스타일․패션 = 83
      • 제3절. 1990년대 = 96
      • 1. 정치적 상황 = 96
      • 2. 사회ㆍ문화적 상황 = 98
      • 3. 1990년대 여성 이미지 = 100
      • 4. 메이크업ㆍ헤어스타일․패션 = 106
      • 제4절. 2000년대 = 118
      • 1. 정치적 상황 = 118
      • 2. 사회ㆍ문화적 상황 = 120
      • 3. 2000년대 여성 이미지 = 126
      • 4. 메이크업ㆍ헤어스타일․패션 = 129
      • 제4장 1970-2000년대 여성의 이미지 변화 과정 분석 = 147
      • 제1절 여성의 이미지 분류 = 147
      • 제2절. 여성 이미지에 대한 연도별 분석 = 153
      • 제3절. 여성의 이미지 변화과정 분석 = 158
      • 제5장. 결론 = 177
      • 참고문헌 = 183
      • 부록: 설문지 = 190
      • 부록: 연도별 시대적 배경 연표 = 192
      • Abstract = 1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