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소쉬르의 기호학에 근거하여 우리나라 여성지 표지 모델의 패션과 메이크업․헤어스타일을 중심으로 여성이미지 변화과정을 연구하는 것이었다. 본 논문은 이를 위하여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887898
서울 :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2012
한국어
741.6 판사항(22)
서울
Changing images of korean women as represented on women's magazine covers : focusing on makeup, hair styles, and fashion
x, 198 p. : 삽도 ; 26 cm
지도교수: 오창섭
부록: '설문지' 외 수록
참고문헌: p.181-187
서지적, 설명적각주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소쉬르의 기호학에 근거하여 우리나라 여성지 표지 모델의 패션과 메이크업․헤어스타일을 중심으로 여성이미지 변화과정을 연구하는 것이었다. 본 논문은 이를 위하여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쉬르의 기호학에 근거하여 우리나라 여성지 표지 모델의 패션과 메이크업․헤어스타일을 중심으로 여성이미지 변화과정을 연구하는 것이었다. 본 논문은 이를 위하여 첫째, 1970년부터 2000년대까지 사회적 배경을 분석하고, 둘째, 1970년부터 2000년대까지 여성지에 나타난 여성의 이미지를 분석하며, 셋째, 기호학에 근거하여 사회적 배경에 따른 여성이미지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요컨대 다음과 같다.
첫째, 1970년대 초반까지는 일반인이 모델의 주류를 이루었지만, 1970년대 중반 이후에는 유명 연예인이 모델로 등장하게 되면서 여성의 이미지가 가정적인 것에서 진보적인 방향으로 변해갔다. 1980년대 후반부터는 더 이상 여성의 이미지는 육아와 가사일 만을 하는 현모양처 이미지가 아닌, 저마다의 삶의 방식을 갖는 개성 있는 존재로 부각되는 변화가 일어난다. 1990년대 모델들에게는 웃는 표정이 많이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변화와 개성, 다양성을 수용한 이미지가 구현되기 시작했다. 1970년대 여성의 가정적 이미지가 여전히 남아있던 1980년대와는 달리 1990년대에는 사회에 진출한 지적이고 귀여운 이미지가 강조됐다. 2000년대에는 ‘한·일 월드컵’과 ‘G20정상회의’의 개최,‘웰빙(well being)’과 ‘몸짱1)’열풍 등으로 자연스럽고 관능적인 이미지가 사회적으로 선호됐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여성지 표지모델이 나타내는 이미지를 당대 여성의 이미지로 간주했다. 먼저 ‘의미분별척도법’으로 이미지 형용사를 추출하였고 다시 ‘기호학’에 근거해 각 표지들에서 사회․문화적인 기표를 찾았다. 이를 바탕으로 떠오르는 기의들을 활동적인 이미지, 관능적인 이미지, 자연스러운 이미지, 귀여운 이미지, 고급스러운 이미지, 지적인 이미지, 가정적인 이미지 등 7가지로 분류하였다.
셋째,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각 이미지에 대해서 연도별로 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1970년대 초반에는 가정적인 이미지가 매우 강하게 나타났으며, 중반이후 가정적이며 고급스러운 이미지가 혼재되어 나타났다. 1980년대 초반에는 활동적인 이미지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중반이후 활동적이며 지적인 이미지가 드러났다. 1990년대 초반에는 귀여운 이미지가 매우 강하게 나타났다. 지적인 이미지는 1990년대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었고, 관능적인 이미지는 1990년대 후반에 새롭게 나타나고 있었다. 2000년대 전반에 걸쳐 관능적인 이미지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그 외에는 자연스러운 이미지도 빈도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본 논문은 여성 이미지의 변화가 단순한 개인적 취향이 변화하면서 만들어진 산물이 아니라 그 시대의 특정한 시대상을 폭넓게 반영하고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1970년대의 수동적이고 가정적인 이미지에서부터 2000년대의 관능적․자연스러운 이미지로까지 여성들의 이미지 변화는 끊임없이 일어났다. 이는 단순한 미적 취향의 산물이 아니라 사회적인 맥락에서 받아들여야 할 사회 미학적 성격의 변모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