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응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와 자아탄력성을 매개변수로 = The effect of social adjustment factors on the life satisfaction for married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ego resil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202853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 칼빈대학교, 201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38 판사항(6)

      • DDC

        361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viii, 132장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최태수
        권말부록: 설문지
        참고문헌: 장 108-120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칼빈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응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사회적지지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만족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 경기도 일부지역 및 충청도 일부지역에서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이메일과 팩스, 또는 직접면접을 통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18년 9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 60일 동안 실시하였다. 이에 총 489부의 설문이 수거되었고, 결측값이 있는 19부를 제외하고 총 470부에 대하여 본 연구를 위한 표본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인 PASW(SPSS) Ver. (22.0)와 AMOS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t-test와 ANOVA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 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 Sobel Test 등을 실시하여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
      첫째. 인구사회학적 통계 기본정보를 알아보면, 30대가 가장 많았으며, 베트남에서 태어난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종교는 기독교와 불교가 상이하게 차이가 있으며, 자녀는 2명을 둔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남편+본인+자녀가 함께 살고 있으며, 중졸의 학력이 가장 많았고, 결혼기간도5-10년 미만의 응답자가 많았다. 둘째. 사회적응에 대해 살펴보면, 경제적응도는 공장근로자가 가장 많았고, 본인의 월수입은 100만-200만원이 가장 높았다. 가족의 월수입은 300만원-4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고, 기회가 있으면 경제활동을 하겠다고 응답했다. 법규・제도에서는 결혼기간이 5년-10년 미만의 응답자가 많아 국적을 취득했고, 일반적인 법규지식은 보통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한국어교육 및 한국문화교육(언어, 풍습, 음식 등)의 교육서비스를 받은 적이 있고, 결혼이민자지원센터의 시설을 활용했으며, 추후 재이용할 의사도 있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남편이나 가족 및 이웃의 사회적지지는 보통으로 응답하여 적극적인 지지자가 되어주지 못하고 있었다. 넷째, 자아탄력성에서는 호기심과 활력성, 행동 및 감정통제 순서로 자신을 표현하고 있고, 삶의 만족도는 약간 현재의 삶과 자신의 삶에 기쁨이 있고 행복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다섯째,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는 20대는 경제적응도에서 정(+)적인 매개효과를 가져왔으나, 법규・제도와 사회・문화적응도에서에서는 매개효과가 없어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30대도 경제적응도에서만 정(+)적인 매개효과를 나타냈고, 40대 이상에서는 경제적응도와 사회・문화적응도에서 정(+)적인 매개효과의 영향을 주었다. 여섯째,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20대에서는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30대에서는 경제적응도에서만 정(+)적인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40대 이상에서는 경제적응도와 사회・문화적응도에서 정(+)적인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응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는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부분매개 영향을 나타냈으나, 자아탄력성은 20대에서는 매개효과가 없었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응 정도와 매개효과에 따라서 삶의 만족도를 결정하는 변인들이 달라진다는 중요한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다문화정책의 추진 시에 맞춤형 정책 보완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함의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검증된 분석결과에 대한 제안을 하면,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들이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사회적응을 위한 다문화지원기관의 사회통합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적 보완 등이 시급하게 요구된다. 더불어, 향후 한국사회의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문제는 관련 부처가 다문화가정 맞춤형 지원모델 개발과 초기 사회적응 문제 등에 대해 우선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고, 전담부서를 지정하여 유기적으로 협력할 한국형 다문화 복지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끝으로,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들의 사회적응 장애요인에 대한 연구가 사전 조사로 이루어진다면 실천적인 대책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추후 발전적 연구의 과제로 제언하고, 서울시와 경기도 및 충청도 일부지역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이기에 전체를 대변할 수 있는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응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사회적지지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만족도...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응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사회적지지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만족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 경기도 일부지역 및 충청도 일부지역에서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이메일과 팩스, 또는 직접면접을 통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18년 9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 60일 동안 실시하였다. 이에 총 489부의 설문이 수거되었고, 결측값이 있는 19부를 제외하고 총 470부에 대하여 본 연구를 위한 표본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인 PASW(SPSS) Ver. (22.0)와 AMOS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t-test와 ANOVA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 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 Sobel Test 등을 실시하여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
      첫째. 인구사회학적 통계 기본정보를 알아보면, 30대가 가장 많았으며, 베트남에서 태어난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종교는 기독교와 불교가 상이하게 차이가 있으며, 자녀는 2명을 둔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남편+본인+자녀가 함께 살고 있으며, 중졸의 학력이 가장 많았고, 결혼기간도5-10년 미만의 응답자가 많았다. 둘째. 사회적응에 대해 살펴보면, 경제적응도는 공장근로자가 가장 많았고, 본인의 월수입은 100만-200만원이 가장 높았다. 가족의 월수입은 300만원-4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고, 기회가 있으면 경제활동을 하겠다고 응답했다. 법규・제도에서는 결혼기간이 5년-10년 미만의 응답자가 많아 국적을 취득했고, 일반적인 법규지식은 보통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한국어교육 및 한국문화교육(언어, 풍습, 음식 등)의 교육서비스를 받은 적이 있고, 결혼이민자지원센터의 시설을 활용했으며, 추후 재이용할 의사도 있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남편이나 가족 및 이웃의 사회적지지는 보통으로 응답하여 적극적인 지지자가 되어주지 못하고 있었다. 넷째, 자아탄력성에서는 호기심과 활력성, 행동 및 감정통제 순서로 자신을 표현하고 있고, 삶의 만족도는 약간 현재의 삶과 자신의 삶에 기쁨이 있고 행복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다섯째,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는 20대는 경제적응도에서 정(+)적인 매개효과를 가져왔으나, 법규・제도와 사회・문화적응도에서에서는 매개효과가 없어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30대도 경제적응도에서만 정(+)적인 매개효과를 나타냈고, 40대 이상에서는 경제적응도와 사회・문화적응도에서 정(+)적인 매개효과의 영향을 주었다. 여섯째,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20대에서는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30대에서는 경제적응도에서만 정(+)적인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40대 이상에서는 경제적응도와 사회・문화적응도에서 정(+)적인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응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는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부분매개 영향을 나타냈으나, 자아탄력성은 20대에서는 매개효과가 없었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응 정도와 매개효과에 따라서 삶의 만족도를 결정하는 변인들이 달라진다는 중요한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다문화정책의 추진 시에 맞춤형 정책 보완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함의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검증된 분석결과에 대한 제안을 하면,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들이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사회적응을 위한 다문화지원기관의 사회통합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적 보완 등이 시급하게 요구된다. 더불어, 향후 한국사회의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문제는 관련 부처가 다문화가정 맞춤형 지원모델 개발과 초기 사회적응 문제 등에 대해 우선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고, 전담부서를 지정하여 유기적으로 협력할 한국형 다문화 복지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끝으로,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들의 사회적응 장애요인에 대한 연구가 사전 조사로 이루어진다면 실천적인 대책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추후 발전적 연구의 과제로 제언하고, 서울시와 경기도 및 충청도 일부지역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이기에 전체를 대변할 수 있는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effect the social adjustment factors of married migrants women on the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ego - resilience. For the purpose of research, we conducted a survey of married migrants women living in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s for 60 days from September 1 to October 30, 2018,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70 (20 in 59, 30 in 207, and 40 in 204) except for 19 out of 489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Data were collected via e - mail, facsimile, or direct interviews by e - mail to the Multicultural Support Center and the council using internet media. 470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SPSS WIN 22.0, and the frequency, average, reliability, validity,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t-test, ANOVA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difference test were analyzed in parall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we look at demographic basic information, there were 207 respondents in their 30s, the most respondents were born in Vietnam, the religion was different from Christianity and Buddhism, the most were 2 respondents, + The person + their children live together, the middle school graduates have the most education, and the marriage period is more than 5-10 years
      Second. In terms of social adaptation factors, the economic adjustment was the highest in factory workers, and the monthly income of the person was the highest of 1 million to 20 million won. The monthly income of the family (husband + person) was the highest of 3 million to less than 4 million won, The intention of economic activity is economic activity if there is opportunity. Political adaptation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majority of respondents who have a marriage period of less than 5 years - 10 years have acquired nationality and understand general legal knowledge about legal knowledge. There is a lot of response that is usually possible. The use of social welfare services has received education service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culture education (language, customs, food, etc.), and the facilities of the marriage immigrant support center have been utilized and there is a willingness to reuse.
      In the social and cultural adaptation, most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are usually familiar with Korean culture and most difficult to understand laws and regulations, and that the degree of effort to adapt to Korean culture is common. The respondents who responded accurately to the 470 questionnaires were 59 in 20s, 207 in 30s, and 204 in 40s in Seoul and Chungcheong provinces.
      Third. The support of husbands, parents, relatives, and neighbors of social supportive area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life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was usually able to read areas that were not a big supporter.
      Fourth, ego-resilience expresses herself in curiosity, vitality and behavior and emotion control, and the satisfaction of life is a little bit happiness and happiness in life and life.
      Fifth,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was positive mediating effect only in economic adaptation but negative in law-system and socio-cultural adaptation. so, it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age of 30s, economic adaptation had a positive effect, but it did not affect socio - cultural , laws and systems. In the age group of 40 and over,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economic and socio- cultural adaptation.
      Sixth, the mediating effect of ego - resilience on the satisfaction of life was not influenced by the mediating effect of ego - resilience in the 20s. In the 30s,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economic adaptation only, In the age group of 40 and over, there was positive effect on economic and socio-cultural adap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the marriage immigrants on the social support and the ego - resilience mediating effect are the economic, law-system, socio-cultural adaptation
      This is because if the marriage immigrants have a smooth policy supplement and program development for the social integration, the marriage immigrants and their families will become a driving force to enhance the satisfaction of life more stable and happy. Based on this research, A lot of effort is needed to develop program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immigrants and policy measures to support multicultural famil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effect the social adjustment factors of married migrants women on the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ego - resilience. For the purpose of research, we c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effect the social adjustment factors of married migrants women on the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ego - resilience. For the purpose of research, we conducted a survey of married migrants women living in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s for 60 days from September 1 to October 30, 2018,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70 (20 in 59, 30 in 207, and 40 in 204) except for 19 out of 489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Data were collected via e - mail, facsimile, or direct interviews by e - mail to the Multicultural Support Center and the council using internet media. 470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SPSS WIN 22.0, and the frequency, average, reliability, validity,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t-test, ANOVA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difference test were analyzed in parall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we look at demographic basic information, there were 207 respondents in their 30s, the most respondents were born in Vietnam, the religion was different from Christianity and Buddhism, the most were 2 respondents, + The person + their children live together, the middle school graduates have the most education, and the marriage period is more than 5-10 years
      Second. In terms of social adaptation factors, the economic adjustment was the highest in factory workers, and the monthly income of the person was the highest of 1 million to 20 million won. The monthly income of the family (husband + person) was the highest of 3 million to less than 4 million won, The intention of economic activity is economic activity if there is opportunity. Political adaptation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majority of respondents who have a marriage period of less than 5 years - 10 years have acquired nationality and understand general legal knowledge about legal knowledge. There is a lot of response that is usually possible. The use of social welfare services has received education service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culture education (language, customs, food, etc.), and the facilities of the marriage immigrant support center have been utilized and there is a willingness to reuse.
      In the social and cultural adaptation, most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are usually familiar with Korean culture and most difficult to understand laws and regulations, and that the degree of effort to adapt to Korean culture is common. The respondents who responded accurately to the 470 questionnaires were 59 in 20s, 207 in 30s, and 204 in 40s in Seoul and Chungcheong provinces.
      Third. The support of husbands, parents, relatives, and neighbors of social supportive area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life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was usually able to read areas that were not a big supporter.
      Fourth, ego-resilience expresses herself in curiosity, vitality and behavior and emotion control, and the satisfaction of life is a little bit happiness and happiness in life and life.
      Fifth,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was positive mediating effect only in economic adaptation but negative in law-system and socio-cultural adaptation. so, it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age of 30s, economic adaptation had a positive effect, but it did not affect socio - cultural , laws and systems. In the age group of 40 and over,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economic and socio- cultural adaptation.
      Sixth, the mediating effect of ego - resilience on the satisfaction of life was not influenced by the mediating effect of ego - resilience in the 20s. In the 30s,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economic adaptation only, In the age group of 40 and over, there was positive effect on economic and socio-cultural adap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the marriage immigrants on the social support and the ego - resilience mediating effect are the economic, law-system, socio-cultural adaptation
      This is because if the marriage immigrants have a smooth policy supplement and program development for the social integration, the marriage immigrants and their families will become a driving force to enhance the satisfaction of life more stable and happy. Based on this research, A lot of effort is needed to develop program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immigrants and policy measures to support multicultural famil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연구의 방법 및 범위 4
      • 4. 연구의 구성 5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연구의 방법 및 범위 4
      • 4. 연구의 구성 5
      • Ⅱ 이론적 배경 6
      • 1.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 6
      • 2. 사회적응 11
      • 3. 삶의 만족도 21
      • 4. 사회적지지 25
      • 5. 자아탄력성 30
      • 6. 선행연구 고찰 35
      • Ⅲ. 연구방법 40
      • 1. 연구 모형 및 가설 40
      •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42
      • 3.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47
      • 4. 자료 분석 47
      • Ⅳ. 연구 결과 49
      • 1.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50
      • 2. 조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58
      • 3. 상관관계 분석 및 기술통계 분석 64
      • 4.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연구변인 차이검정 67
      • 5. 측정도구의 요인분석 74
      • 6. 연구모형의 검증 78
      • 7. 연구가설 검증 82
      • 8. 논의 99
      • Ⅴ. 결론 및 제언 104
      • 1. 요약 및 결론 104
      • 2. 후속연구 및 제언 106
      • 참고문헌 108
      • 영문초록 121
      • 부록〈설문지〉 125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박용치, "『조사방법론』", 서울: 대영문화사, 2009

      2 박정아, "“다문화시대 언어정책”",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년): 8-23, 2012

      3 심수진, 이희길, "“사회지표 개편 방향 탐색.”",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 소, 한국사회」 11(1) : 47-77, 2010

      4 이순형, "“한국 아동의 가족명 인지.”", 「한국아동학회지」 6(1) : 23-37, 1985

      5 양옥경, "삶의 만족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한국사회복지학」 24 : 157-198, 1994

      6 윤인진, "“탈북과 사회적응의 통합적 이해.”", 「현대북한연구」3(2): 123-184, 2000

      7 설동훈, 한건수, "『이주자가 본 한국의 정책과 제도』", 서울: 한국 여성 정 책 연구원, 2007

      8 박순영, 한건수, 심경섭, 설동훈, "“년 국제결혼중개업 실태조사 연구”", (여성가족부, 2017): 237-328, 2017

      9 윤인진, "“출신국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한국사회학」42-2 : 72-103, 2008

      10 이정순, "부부간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관한 연구", ”Famil and Environment Research 29(3) : 175-190, 1991

      1 박용치, "『조사방법론』", 서울: 대영문화사, 2009

      2 박정아, "“다문화시대 언어정책”", 「새국어생활 제22권 제3호」년): 8-23, 2012

      3 심수진, 이희길, "“사회지표 개편 방향 탐색.”",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 소, 한국사회」 11(1) : 47-77, 2010

      4 이순형, "“한국 아동의 가족명 인지.”", 「한국아동학회지」 6(1) : 23-37, 1985

      5 양옥경, "삶의 만족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한국사회복지학」 24 : 157-198, 1994

      6 윤인진, "“탈북과 사회적응의 통합적 이해.”", 「현대북한연구」3(2): 123-184, 2000

      7 설동훈, 한건수, "『이주자가 본 한국의 정책과 제도』", 서울: 한국 여성 정 책 연구원, 2007

      8 박순영, 한건수, 심경섭, 설동훈, "“년 국제결혼중개업 실태조사 연구”", (여성가족부, 2017): 237-328, 2017

      9 윤인진, "“출신국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한국사회학」42-2 : 72-103, 2008

      10 이정순, "부부간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관한 연구", ”Famil and Environment Research 29(3) : 175-190, 1991

      11 김오남,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박사학위논문, 카톨릭대 학교, 2005

      12 김혜순,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의 다문화 사회 실험", 한국사회학, 42(2), : 36-71, 2008

      13 김미향, "중학생용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박사학위논문, 경북 대학교, 2011

      14 이정숙,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박사학위 논문, 원 광대학교, 2010

      15 장휘숙, "정신병리를 차단하는 요인으로서의 탄력성", 「한국심리학회지」 14(1) : 113-127, 2001

      16 이숙경,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예측모형.", 박사학위논문, 고 려대학교, 2012

      17 정경운, "이주여성의 사회문화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아시아여성연구」 46(1) : 97-139, 2007

      18 곽금주, 문은영, "“심리적 특징 및 우울과 비행간의 관계(2).”", 「한국심리 학회지 발달」 6(2), , 29-43, 1993

      19 김근식, 장윤정, "“국제결혼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 행정학보」 23(1) : 223-248, 2008

      20 최성재, "“노인의 생활만족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연구소 논집」 49 : 233-258, 1986

      21 엄한진, "“한국 이민문제의 특성과 이민논의의 모색.”", 「한국사회학회 사 회학대회 논문집」 (2007): 37-53, 2007

      22 이원숙, "『사회적 망과 사회적지지이론: 실천적 접근』", 서울: 홍익제, 1992

      23 임 혁, "결혼이주여성의 정신건강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4 : 189-221, 2010

      24 최운선,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사회문화 적응에 관한 연구", 「아시아여 성연구」 46-1 : 141-181, 2007

      25 윤인진, "“북한이주민의 사회적응 실태와 정착지원방안”", 「아세아연구」 50(20) : 106-143, 2007

      26 우영희, 하규수,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 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 ,: 8535-8549, 2015

      27 설동훈, 장지혜, "“여성 결혼이주자의 사회적 자본과 생활만족도.”", 「년 한국사회학 대회 자료집, 한국 사회학」 (2006): 85-86, 2006

      28 이경희, "부인이 지각한 갈등과 친밀감에 따른 부부관계 유형", 박사학 위논문, 서울대학교, 1998

      29 김정훈, "결혼 이주 여성의 사회자본과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광운대학교, 2010

      30 홍성희, "“가정생활만족도의 개념정립을 위한 이론적 접근.”", 「과학논집」 20 : 39-49, 1994

      31 김현숙, 오중환, 김희재,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결혼의 질의 관계”", 「가족과 문화」 22(3) : 97-127, 2010

      32 이재민, 황선영,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복지정책」 33 : 61-84, 2008

      33 박자경,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모형 구축 및 검증에 관한 연구", 박사학 위논문, 성균관대학교, 2009

      34 최혜지, "“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유형과 관련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 회복지학」 61(1) : 163-194, 2009

      35 김윤태, 이혜경, 윤홍식, 설동훈, 김현미, "「국제결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 복지 지원정책방안」", (보건복지부, ; 1-10, 2005

      36 한건수, "“농촌지역 결혼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 갈등 및 적용.”", 「한국문화 인류학」 39(1) : 195-219, 2006

      37 강정숙, "사회적지지가 저소득층 노인 부양부담 감소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2004

      38 김연수, 양옥경, "서울거주 여성결혼이민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6(1), 79-110, 2007

      39 김영란, "“한국사회에서 이주여성의 삶과 사회 문화 적응관련 정책.”", 「아시아여성연구」45-1 : 143-189, 2006

      40 김진희, 박정숙, 박옥임,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가족갈등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6) : 59-70, 2007

      41 김형태, "북한이탈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유형에 관한 통합적 비교연구",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2004

      42 이종열, "다문화시대의 언어정책 : 중국의 소수민족어문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 41-57, 2009

      43 김미령, "“탈북자의 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57(1) : 193-217, 2005

      44 이승은, "“농촌지역의 국제결혼 가정 자녀가 경험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 구", ”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 25-47, 2007

      45 허영석, "“다원화 시대의 세계시민교육. POST 세계시민교육: 과제 와 실천.”", 「제16차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연례학술대회 자료집」 (2015): 83-84, 2015

      46 김민정, 한건수, 김이선,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 갈등경험과 소통증진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여성개발원」 2, : 110~112, 2006

      47 장상희, "“대도시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부산시를 대상으 로.”", 「사회 조사 연구」 2(1) : 49-64, 1983

      48 박수미, "“미래세대의 성평등한 가족문화 및 고용문화 조성을 위한 연 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24 : 25-36, 2006

      49 문병기, "“이민자 사회통합지원 전달체계 분석 및 효과적 통합방안 연 구.”", 「한국행정학회」 (12) (2013): 2317-2336, 2013

      50 정주연, "베트남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사회복지 학생연구논 총」1 : 228-262, 2008

      51 이금순, "여성이주자의 사회적응과정 연구 : 북한이탈 주민 사례를 중심 으로", 「아시아여성연구」 45(1) : 191-234, 2006

      52 황미혜, "“결혼여성이민자의 한국사회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문화학」,11 (3), , 291-316, 2014

      53 박재덕, "농촌거주 외국인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기도 지역을 중 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2016

      54 박명숙, "“한국 이민가정의 사회적지지망과 아동학대 발생위험성에 관한 연구.”",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25 : 127-151, 2008

      55 선희라, 전귀연, "“결혼이민자의 자아탄력성과 가족탄력성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3) : 233-253, 2013

      56 양순미, "“농촌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사회참여활동 태도가 미치 는 효과.”", 「농촌사회」 20(1) : 233-263, 2010

      57 김은경, "“다문화가정 모-자녀의 긍정심리성향 증진을 위한 긍정심리프 로그램 개발.”", 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2010

      58 이진오, "“청소년의 여가활동 참가에 따른 자아탄력성이 자살위험성에 미치 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08

      59 김난예, 이창옥, "“부모 양육태도와 하나님 이미지가 후기 아동기 회복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기독교교육논총」 34 : 93-120, 2013

      60 엄명용, "“탈북자의 사회적응 지원을 위한 종합형 사례관리의 모형의 제 시와 그 실천.”", 「한국사회복지학」 37 : 271-306, 1999

      61 문혁준, 이현주,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감과 가족건강성이 유아의 자아탄력 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183-203, 2011

      62 김오남, "“결혼이주여성의 부부갈등 및 학대에 관한 연구 : 사회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8 : 33-76, 2006

      63 이혜진,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탄력성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 그램 개발 및 효과,", 「미술치료연구」 19(4) : 837-853, 2012

      64 조원섭, "“결혼이주여성의 정신건강증진에서 레질리언스의 의의-요인과 과정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 38-59, 2016

      65 권혁호, "“청소년의 스트레스에 관한 종단적 연구: 사회적 지원과 자 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인하교육연구」 9 : 79-107, 2003

      66 유성경, 홍세희, 최보윤, "가정의 위험요소와 적응의 관계에서 자 아탄력성, 애착, 실존적 영성의 매개 효과 검증", 『교육심리연구』 18(1): 393-408, 2004

      67 윤창영, "기혼 직장 여성의 주관적 삶이 질에 대한 연구 : 직장-가정 갈 등 모형과 영역별 삶의 질.",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2001

      68 김정식,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질 결정요인 : 문화적응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부부적응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기독대학교, 2015

      69 문순영, "“현행법(안)을 통해본 국제결혼여성이주민을 위한 사회적지원 체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여성연구」 72(1) : 109-142, 2007

      70 서정원, "결혼이주여성의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 사회적 네트워크, 사회 참여, 사회적응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한성대학교, 2018

      71 김수연, "“다문화가정의 사회적응 실태분석과 정부지원정책 방안: 국제결 혼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2010

      72 박진채,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지지와 사회적 문제해결력의 관계에 서 세계시민의식의 매개효과.",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2017

      73 최경희, "“국내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사회적지지, 사회활동참여가 삶 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서울기독대학교, 2013

      74 박란희, "“결혼이주여성의 인권보호를 위한 기독교사회복지 역할 연구 : 폭력 피해이주여성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장신대학교, 2016

      75 오명자, "“은퇴한 노인의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 의사소통의 매 개효과 및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2010

      76 오성배, "“한국사회의 소수 민족(ethnic minority), '코시안'(Kosian) 아 동의 사례를 통한 다문화 교육의 방향 탐색.”", 「교육사회연구」 16(4) : 137-157, 2006

      77 이민아, "이민전후의 연결망이 결혼이주자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 는 영향: 우울도와 삶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 「보건과 사회 과학」 27 : 31-60, 2010

      78 이미경, 홍영준, "“부모자녀관계가 청소년의 불안, 대인예민성 및 우울에 미치 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1(10) : 445-474, 2014

      79 송순택,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가족기능, 문화적응 스트레 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강남대학교, 2012

      80 위종희,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스트레 스 대처행동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관계 분석",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2012

      81 김송이, 최혜영, "“자녀의 정서성과 남편의 부모역할 지지에 따른 어머니 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대한가정학회지」 45(8) : 1-11, 2007

      82 이순자,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 관계성 연구: 부부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 조절효과 검증", 박사학위논 문, 성결대학교, 2013

      83 강경화, 최규홍, 양순미, "“결혼이주여성의 농촌 사회참여활동 실태 및 이에 따른 생활만족도 변화: 농업・지역사회・취업활동 중심으로.”", 「한 국농촌지도학회지」 16(4) : 713-742, 2009

      84 이주영, 이지영,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아동의 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아 동복지연구」 10(2) : 83-101, 2012

      85 양소영, "“한국 다문화가정의 문화유형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전라남도 지역 국제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2014

      86 홍미기, "결혼이주여성이 인지한 문화적응스트레스와 부부적응에 관 한 연구 : 사회적 지지와 부부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 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09

      87 김미원,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연구-사회적 지지와 가족의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 사학위논문, 대구카톨릭대학교, 2014

      88 윤은영,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자녀관계가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 영적안녕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 문", 숙명여자 대학교,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