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유아의 과제 재도전 반응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유아 과제 재도전 반응에 미치는 어머니 불안과 심리적 통제 양육 및 성취관심, 유아 효능감의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유아의 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068271
서울 :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 2016. 2
2016
한국어
649 판사항(22)
서울
The effects of mother' anxiety psychological control parenting and attention to achievement on children's responses to a task rechallenge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vii, 118 p. : 삽화 ; 26 cm
참고문헌 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유아의 과제 재도전 반응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유아 과제 재도전 반응에 미치는 어머니 불안과 심리적 통제 양육 및 성취관심, 유아 효능감의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유아의 과...
이 연구는 유아의 과제 재도전 반응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유아 과제 재도전 반응에 미치는 어머니 불안과 심리적 통제 양육 및 성취관심, 유아 효능감의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유아의 과제 재도전 반응은 유아의 현재 발달 수준이나 성취보다는 미래의 수행 가능성과 수행 과정에 초점을 둔 변수로 유아의 동기와 관련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이들 변수의 양상과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및 경로를 분석하였다.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인 불안과 자녀에 대한 심리적 통제 양육 및 성취관심이 유아의 과제수행 효능감을 매개로 과제 재도전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소재한 유치원 4곳에서 만 5세 유아 213명과 유아의 어머니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어머니 질문지는 최종적으로 201부가 회수되었다. 유아를 대상으로 퍼즐실험 과제를 이용하여 과제 재도전 반응을 측정하였고, 손인형 인터뷰의 방법으로 과제수행 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어머니 질문지를 통해 어머니 불안과 심리적 통제 양육 및 성취관심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프로그램과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방법으로는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상관관계 분석, 독립표본 t 검정, 경로분석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의 대상 유아들은 중앙값보다 높은 수준의 도전 지향적 과제 재도전 반응을 나타냈으며, 어머니들은 자신의 불안과 심리적 통제 양육을 중앙값 이하로 지각하여 자신의 양육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함께 실패 후 재도전 상황에서 도전 회피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은 유아의 낮은 퍼즐 완성 능력과 관련이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양육 중 자율성 억압 양육은 유아의 부정적 과제수행 효능감 및 도전 회피적인 과제 재도전 반응과,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양육 중 애정 통제 양육은 유아의 도전 회피적인 과제 재도전 반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성취관심은 심리적 통제 양육 중 애정 통제와 같은 부정적 양육과 정적인 상관을 나타냄과 동시에, 자녀의 긍정적 발달을 예측하는 과제수행 효능감과도 정적인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불안은 심리적 통제 양육인 자율성 억압과 애정 통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어머니가 자녀의 자율성을 억압하는 경우에는 자녀의 과제수행 효능감이 낮았고, 애정을 통제하는 어머니의 양육은 유아의 과제 재도전 반응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더불어 효과분해 결과, 어머니의 불안은 유아의 과제 재도전 반응에 부정적인 간접효과를 가지고 있었으며 어머니 불안이 유아의 과제 재도전 반응에 갖는 간접효과는 자율성 억압 양육 및 성취관심이 갖는 간접효과보다 더 큰 효과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어머니의 불안은 성취관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어머니의 성취관심은 유아의 과제수행 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과제 재도전 반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유아기 자녀에게 미치는 심리적 통제 양육의 부정적 효과를 확인하고 성취관심 요인의 독특한 특성을 파악하였다. 부모는 자녀가 스스로 선택하고 방향을 설정할 기회를 제공하여 자녀의 관점을 수용하며, 압박적인 평가나 목표, 요구를 최소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더불어 자녀의 성취나 학업에 대한 어머니의 관심이 긍정과 부정의 양면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과도하지 않은 적절한 수준의 성취관심을 지향할 필요가 있다.
유아의 도전 지향적인 과제 재도전 반응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를 기반으로 하여 유아의 과제수행 효능감을 높이는 방법이 가장 긍정적인 것으로 예측된다. 자녀의 자율성을 지지하는 어머니 양육으로 인한 유아의 높은 과제수행 효능감은 실패의 경험 이후에도 유아가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를 갖고, 자신을 신뢰하며, 새로운 과제에 도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 연구는 어머니의 불안 수준을 낮출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및 심리적 통제 양육을 지양하고 자율성 지지적 양육을 실제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신기명, "학습무기력", 서울:배영사, 1992
2 임양화, 오경자, "우울한 아동의 귀인유형",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임상, 8(1),69-76, 1989
3 봉미미, 이명진, "청소년기의 학습된 무기력", 한국교육학회, 교육학 연구,51(1). 78-105, 2013
4 김아영, "학업동기: 이론, 연구와 적용", 서울:학지사, 2010
5 이강이, 장유진, "부모 양육의 주요 이론과 쟁점", 한국유아교육학 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기획주제 11,부모양육 1.415-430., 2014
6 금명자, "한국 학업중단청소년에 대한 이해",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문제,12(1),299-317, 2008
7 성태재, "SPSS/AMOS를 이용한 알기 쉬운 통계분석", 서울:학지사, 2007
8 鄭秀子, "가정변인과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11(3),225-243, 1997
9 김경근,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아동의 학업성취",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구, 10(1),21-40, 2000
10 송지준,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경기도: 21세기사, 2009
1 신기명, "학습무기력", 서울:배영사, 1992
2 임양화, 오경자, "우울한 아동의 귀인유형",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임상, 8(1),69-76, 1989
3 봉미미, 이명진, "청소년기의 학습된 무기력", 한국교육학회, 교육학 연구,51(1). 78-105, 2013
4 김아영, "학업동기: 이론, 연구와 적용", 서울:학지사, 2010
5 이강이, 장유진, "부모 양육의 주요 이론과 쟁점", 한국유아교육학 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기획주제 11,부모양육 1.415-430., 2014
6 금명자, "한국 학업중단청소년에 대한 이해",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문제,12(1),299-317, 2008
7 성태재, "SPSS/AMOS를 이용한 알기 쉬운 통계분석", 서울:학지사, 2007
8 鄭秀子, "가정변인과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11(3),225-243, 1997
9 김경근, "가족 내 사회적 자본과 아동의 학업성취",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구, 10(1),21-40, 2000
10 송지준,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경기도: 21세기사, 2009
11 이현응, "국내외 HRD 연구의 매개효과 분석 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인력개발학회, HRD 연구,16(3),225-249, 2014
12 조한익, 권혜연, "청소년의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와 학업성취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17(11),47-68, 2010
13 소연희 ( Yeon Hee So ), 김성일 ( Sung Il Kim ), 윤미선 ( Mi Sun Yoon ), "한국 학생의 학업에 대한 흥미: 실태, 진단 및 처방",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14(1),187-221, 2008
14 박귀화, 정재우, 안도희, "자율성 지지, 기본적 욕구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15(5),315-338, 2008
15 정윤경, "목표 지향성이 실패 후 아동의 성취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한 국심리학회지:발달,20(2),185-203, 2007
16 임경희, "가정, 학교 및 개인변인과 중학생의 학습된 무기력과의 관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연구,15(2),473-507, 2004
17 서은희, 김은경, "자기결정성 동기 프로파일에 따른 자기조절학습전략의 차이",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27(2),395-407, 2013
18 김영미, "이웃환경과 청소년의 가족환경스트레스, 학습된 무력감의 관계",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정신보건과 사회사업,36,232-262, 2010
19 이종민, 최영희, "아동이 지각한 가족기능,귀인 양식과 아동의 성 취동기와의 관계", 한국인간발달학회, 인간발달연구,15(4),37-50, 2008
20 권순녀, 권순희, "부모의 양육태도,학습된 무기력이 컴퓨터 게임중 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13(4),59-69, 2008
21 전인옥, "교사의 교육신념과 자아효능감이 유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논문집,22,483-528, 1996
22 장유진, "목동 엄마들의 분재(盆栽)만들기 :유아 사교육의 상황적 구조와 한계", 교육인류학연구,17(1),159-195, 2014
23 김현수, 신혜린, "어머니 불안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어머니 양육효능감을 매개로",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7(1),93-114, 2012
24 이혜주 ( Hye Joo Lee ), "아동의 자기조절 학습전략과 관련이 있는 자기결정성 동기 유형 분석",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29(3),273-288, 2008
25 선혜연, 황매향, 정애경, "부모의 관여가 중학생의 학업적 자아효능감과 내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아시아교육연구,12(1),21-43, 2011
26 박영신, "한국학생이 지각한 학업에 대한 성패귀인과 학습동기화 과정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1989
27 이은희, 조은주,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우울및 불안: 비합리적 신념 의 매개역할",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연구,24(1),35-70, 2013
28 이강이, 장유진, "영아의 정서성 기질과 어머니의 부정 정서 간의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검증",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34(3),67-84, 2014
29 구유미, 이정현, 여광웅, 김선미, "귀인 훈련이 경도 정신지체아동 의 무력감과 학업성취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특수교육저널:이론 과 실천,2(1),87-109, 2001
30 문은식, 배정희, "학습사 및 사회적 동기적 변인과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남고생과 여고생의 비교",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24(1),183-205, 2010
31 안명희, "모의 심리적 괴롭힘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무기력감과 자 기 부적절감의 매개효과",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인간이해,32(2),145-164, 2011
32 오인수(Oh, Insoo), 김신아(Kim, Shinah), "부모와 교사의 지원 및 성취압력이 학업성취집단별 자기결정성 동기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교육과학연구,45(1),29-52, 2014
33 정윤경, "아동의 목표 지향성에 따른 능력 칭찬과 노력 칭찬이 성 취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발달학회, 인간발달연구,19(4),81-98, 2012
34 우수경, 최기영, "유아의 내외통제 신념과 자아개념 및 성공적 수 행에 대한 자기-귀인간의 관계 연구",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14(1),141-151, 1993
35 김유진, 김종운, "아동,청소년상담: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초등 학생의 학구적 실패내성 간의 관계",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10(1),455-468, 2009
36 도현심, 소언주, "어머니의 분리불안:어머니의 특성,아동의 초기 기질 및 과보호적 양육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 39(11), 209-222, 2001
37 임지현, 류지헌,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요인이 인지전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인과관계의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교과교육학연구, 12(1), 219-238, 2008
38 김희수, "고등학생의 행동억제/활성화체계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의 차이분석",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미래교육연구,19(2),1-23, 2006
39 이정윤, 김남희, "지각된 부모자녀관계가 중학생의 학습몰입에 미치는영향: 자기결정성 동기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청소년상담연구,21(1), 211-232, 2013
40 박영신 ( Young Shin Park ), 정갑순 ( Kab Soon Chung ), 김의철 ( Ui Chol Kim ), "한국 청소년의 부모자녀 관계와 성취에 대한 종단연구: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 지:사회문제,10(3),37-59, 2004
41 배정희, 강승호, "고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인간관계, 학습사 및 동기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교육평가연구, 21(1),99-125, 2008
42 김영희, "저소득층 청소년이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어머니의 자녀교육 참여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3(1),1-14, 2002
43 이다솜, 탁하얀, 임인혜, 송윤아, 김아영, 차정은,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초등학 생의 자기조절학습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 동기의 매개효과", 한국교육,35(4),3-24, 2008
44 Reeve,J., "Understanding motivation and emotion,5thEdition. 정봉교,윤병수,김아영,도승이,장형심 역(2011).동기와 정서의 이해", 서울:박학사, 2008
45 임지현, "지각된 자율성지지 정도와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자기조절 동기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이화교육논총,15, 285-299, 2005
46 김충일 ( Chung Il Kim ), 이강이 ( Kang Yi Lee ), 장유진 ( Yu Jin Jang ), "유아기 부모를 위한 심리적 통제 양육 척도 (Psychological Controlled Parenting Scale for Childhood parent: PCPSC) 개발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24(2),23-38, 2015
47 박영신, 우미경, "초등학교 아동들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통제와 자아 존중감의 관계:부적응적 자기지향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한국심리 학회지:학교,9(2),157-174, 2012
48 Bandura,A., "Self-efficacy:Theexerciseofcontrol.김의철,박영 신,양계민 역(1999).자기효능감과 인간행동:이론적 기초와 발달 적 분석", 서울:교육과학사, 1997
49 김영미,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학습된 무력감이 심리적 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가족응집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청소년복지연구,14(3),47-73, 2012
50 김도연, 서우경, "어머니의 불안, 양육태도 및 심리적 안녕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일반아동과 장애아동 어머니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23(2),387-403,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