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릿대 산죽 (Sasa borealis (Hack.) Makino)은 함경남도 이남에서 자생하는 벼과 (Gramineae)의 다년생 식물로서 약 550 속으로 나누어 10,000 여종이 알려져 있으며, 민간에서는 화상, 폐결핵성의 기침, ...
조릿대 산죽 (Sasa borealis (Hack.) Makino)은 함경남도 이남에서 자생하는 벼과 (Gramineae)의 다년생 식물로서 약 550 속으로 나누어 10,000 여종이 알려져 있으며, 민간에서는 화상, 폐결핵성의 기침, 자궁염, 생리불순, 및 요독증 등의 질환에 효능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Sasa의 여러 종으로부터 triterpenes, flavonoids, 및 flavonolignans 등이 분리 보고된 바 있으나 조릿대 산죽에 대한 연구 결과 보고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조릿대 산죽의 MeOH 추출물로부터 n-hexane, EtOAc, 및 n-BuOH 용매 분획 후 EtOAc 분획에서 알려진 1종의 flavone (1), 4종의 flavonolignans (2-5), 3종의 lignan (6-8), 2종의 aromatic compound (9-10), 및 1종의 ionone (11)을 분리하였고 n-hexane 분획에서 알려진 3종의 triterpene (12-14)을 분리하여 이화학적 성상 및 기기분석적 방법을 이용하여 구조를 확인 하였다. S. borealis의 n-hexane과 EtOAc 분획 추출물은 P-gp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multidrug resistence를 저해하는 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활성에 따른 분획을 실시하여, 총 14개의 물질을 분리하였다. 물질의 분리를 위해서 open colum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reverse column (YMC GEL ODS-A) chromatography, TLC 등을 이용하였고, spectroscopic data (1H-, 13C-, HSQC, HMBC, NOESY and COSY NMR)와 문헌 조사를 통해 분리된 물질의 구조를 분석, 결정하였다.
그 결과, 2가지 주요 활성 물질, tricin (1) (IC50 = 24.1 μM)과 (-)-syringaresinol (7) (IC50 = 17.8 μM)을 분리하였다. 추가적으로 분리된, 12개의 물질, tricin 4′-O-(erythro-β-guaiacylglyceryl) ether (2), tricin 4′-O-(threo-β-guaiacylglyceryl) ether (3), tricin 4′-O-[erythro-β-guaiacyl-(9″-O-acetyl)-glyceryl] ether (4), tricin 4′-O-[threo-β-guaiacyl-(9″-O-acetyl)-glyceryl] ether (5), (-)-pinoresinol (6), (+)-5,5'-dimethoxylariciresinol (8), p-hydroxybenzealdehyde (9), vanillin (10), (3S,5R,6S,7E)-5,6-epoxy-3-hydroxy-7-megastigmen-9-one (11), friedeline (12), 3-hydroxyglutinol (13), 및 squalene (14)은 모두 이 식물에서 처음 보고되는 물질들이며 특히 화합물 8과 11은 벼과 식물에서는 처음 분리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