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내 광역지방자치단체 유튜브 콘텐츠 특성 및 활용방안 연구 =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Youtube contents of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in Sou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24565

      • 저자
      • 발행사항

        대전 :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202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2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659.2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대전

      • 형태사항

        92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한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강한나
        참고문헌: p. 59-69

      • UCI식별코드

        I804:25013-200000578073

      • 소장기관
        • 한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유튜브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지만, 광역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의 유튜브 채널과 콘텐츠를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광역지자체 유튜브 채널의 주요 콘텐츠의 특성을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공공기관 유튜브 운영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 제작 방향에 대해 실무적인 제언을 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국내 광역지자체 유튜브 채널 운영 현황과 각 유튜브 채널을 통해 제작된 인기 동영상 135건의 형식적·내용적 특성을 분석하고, 조회수와 좋아요 수, 싫어요 수, 댓글 수 등 시청자 반응을 조사했다. 분석 결과, 광역지자체 유튜브 인기 동영상의 주제 유형은 정책홍보가 가장 많았고 음악/엔터테인먼트, 도시브랜드 홍보, 여행/이벤트 순이었다. 동영상 길이를 분석한 결과, 광역지자체 유튜브 인기 동영상의 63%가 5분 미만의 짧은 영상이었다. 하지만, 동영상 길이별 시청자 반응의 차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아울러 광역지자체 유튜브 인기 동영상의 내용적 특성은 정보성/유용성(89.63%) 특성과 오락성(55.56%)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개 이상 의 내용적 특성이 혼합되어 나타나기도 했는데, 정보성/유용성과 오락성이 동시에 나타난 영상이 30.37%로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시청자들이 정보성/유용성과 오락성이 있는 내용의 콘텐츠를 선호한다는 걸 추측케 한다. 한편 오락성은 정보성/유용성, 패러디 B급 감성 특성과 혼합되어 나타날 때 시너지 효과를 내며 시청자로부터 가장 좋은 반응을 얻었다. 이는 광역지자체 유튜브 콘텐츠 제작시 시청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전달하고 패러디, B급 감성 등 재미 요소가 있는 콘텐츠 제작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는 걸 시사한다. 본 연구는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유튜브 담당자들에게 형식적·내용적 특성과 주제 유형, 등장인물 특성 등 다양한 요소가 어우러진 인기 동영상을 제작하는데 필요한 콘텐츠 전략을 제시했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 유튜브 콘텐츠의 조회수를 높이고 시청자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는 효과적인 방법이 무엇인지 실무적인 제언을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최근 유튜브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지만, 광역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의 유튜브 채널과 콘텐츠를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광역지자체 유튜브 채널의 주요 콘텐츠...

      최근 유튜브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지만, 광역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의 유튜브 채널과 콘텐츠를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광역지자체 유튜브 채널의 주요 콘텐츠의 특성을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공공기관 유튜브 운영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 제작 방향에 대해 실무적인 제언을 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국내 광역지자체 유튜브 채널 운영 현황과 각 유튜브 채널을 통해 제작된 인기 동영상 135건의 형식적·내용적 특성을 분석하고, 조회수와 좋아요 수, 싫어요 수, 댓글 수 등 시청자 반응을 조사했다. 분석 결과, 광역지자체 유튜브 인기 동영상의 주제 유형은 정책홍보가 가장 많았고 음악/엔터테인먼트, 도시브랜드 홍보, 여행/이벤트 순이었다. 동영상 길이를 분석한 결과, 광역지자체 유튜브 인기 동영상의 63%가 5분 미만의 짧은 영상이었다. 하지만, 동영상 길이별 시청자 반응의 차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아울러 광역지자체 유튜브 인기 동영상의 내용적 특성은 정보성/유용성(89.63%) 특성과 오락성(55.56%)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개 이상 의 내용적 특성이 혼합되어 나타나기도 했는데, 정보성/유용성과 오락성이 동시에 나타난 영상이 30.37%로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시청자들이 정보성/유용성과 오락성이 있는 내용의 콘텐츠를 선호한다는 걸 추측케 한다. 한편 오락성은 정보성/유용성, 패러디 B급 감성 특성과 혼합되어 나타날 때 시너지 효과를 내며 시청자로부터 가장 좋은 반응을 얻었다. 이는 광역지자체 유튜브 콘텐츠 제작시 시청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전달하고 패러디, B급 감성 등 재미 요소가 있는 콘텐츠 제작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는 걸 시사한다. 본 연구는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유튜브 담당자들에게 형식적·내용적 특성과 주제 유형, 등장인물 특성 등 다양한 요소가 어우러진 인기 동영상을 제작하는데 필요한 콘텐츠 전략을 제시했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 유튜브 콘텐츠의 조회수를 높이고 시청자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는 효과적인 방법이 무엇인지 실무적인 제언을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YouTube, but few studies have analyzed YouTube channels and contents of public institutions such as metropolitan and local government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make practical suggestions on the direction of content production to revitalize YouTube in public institution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major contents of YouTube channels of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We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Youtube channels of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in South Korea and the contents of 135 popular videos produced by each Youtube Channel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number of views, likes, dislikes and comm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olicy promotion was the most common type of popular YouTube videos in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followed by music/entertainment, city brand promotion, and travel/eve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ngth of the video, 63% of popular YouTube videos of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were short videos of less than 5 minutes.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the difference in viewer responses by video length.
      In addition,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popular YouTube videos in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were found to be information/utility (89.63%) and entertainment (55.56%). Two or more content characteristics were mixed, and 30.37% of the videos showed information/utility and entertainment at the same time. These results suggest that viewers prefer content with informational/utility and entertainment.
      Meanwhile, entertainment received the best response from viewers by creating a synergy effect when it was mixed with informational/utility, parody, and B-class emotional characteristics. This suggests that when producing YouTube content in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it is necessary to deliver useful information to viewers and try to produce content with fun elements such as parody and B-class sensibility. This study presented content strategies necessary for producing popular videos that combine various factors such as formal and content characteristics, topic types, and characters characteristic to YouTube managers in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practical suggestions on effective ways to increase the number of views of public institution's YouTube content and to get a good response from viewers.
      번역하기

      Recently,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YouTube, but few studies have analyzed YouTube channels and contents of public institutions such as metropolitan and local government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make practical suggestions on the d...

      Recently,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YouTube, but few studies have analyzed YouTube channels and contents of public institutions such as metropolitan and local government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make practical suggestions on the direction of content production to revitalize YouTube in public institution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major contents of YouTube channels of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We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Youtube channels of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in South Korea and the contents of 135 popular videos produced by each Youtube Channel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number of views, likes, dislikes and comm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olicy promotion was the most common type of popular YouTube videos in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followed by music/entertainment, city brand promotion, and travel/eve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ngth of the video, 63% of popular YouTube videos of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were short videos of less than 5 minutes.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the difference in viewer responses by video length.
      In addition,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popular YouTube videos in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were found to be information/utility (89.63%) and entertainment (55.56%). Two or more content characteristics were mixed, and 30.37% of the videos showed information/utility and entertainment at the same time. These results suggest that viewers prefer content with informational/utility and entertainment.
      Meanwhile, entertainment received the best response from viewers by creating a synergy effect when it was mixed with informational/utility, parody, and B-class emotional characteristics. This suggests that when producing YouTube content in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it is necessary to deliver useful information to viewers and try to produce content with fun elements such as parody and B-class sensibility. This study presented content strategies necessary for producing popular videos that combine various factors such as formal and content characteristics, topic types, and characters characteristic to YouTube managers in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practical suggestions on effective ways to increase the number of views of public institution's YouTube content and to get a good response from view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2장 이론적 배경 5
      • 제1절 유튜브 최신 경향과 주제 특성 5
      • 제2절 유튜브 이용 요인과 이용과 충족 이론 11
      • 제3절 지방자치단체 유튜브 운영 특징과 현황 18
      • 제1장 서론 1
      • 제2장 이론적 배경 5
      • 제1절 유튜브 최신 경향과 주제 특성 5
      • 제2절 유튜브 이용 요인과 이용과 충족 이론 11
      • 제3절 지방자치단체 유튜브 운영 특징과 현황 18
      • 제4절 유튜브 콘텐츠 내용 분석 선행 연구 23
      • 제3장 연구문제 및 방법 26
      • 제1절 연구문제 26
      • 제2절 연구방법 26
      • 1. 분석대상 및 수집 26
      • 2. 분석 유목 및 방법 29
      • 3. 코더 간 신뢰도 34
      • 제4장 연구결과 35
      • 제1절 광역지자체 유튜브 채널 특성 35
      • 제2절 광역지자체 유튜브 콘텐츠의 형식적 특성 38
      • 제3절 광역지자체 유튜브 콘텐츠의 내용적 특성 41
      • 제4절 광역지자체 유튜브 콘텐츠의 시청자 반응 45
      • 제5장 결론 및 논의 53
      • 제1절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53
      • 제2절 논문의 의의와 한계 56
      • 참고문헌 59
      • 부록 70
      • Abstract 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