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2011년 9월 APEC 약물감시 분야의 챔피온 국가로 발탁되어 2020년까지 APEC 약물감시 로드맵이 성공적으로 달성될 수 있도록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에 국가별 약물감시 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741407
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 2018. 2
2018
한국어
서울
Comparison of education demand according to current status of pharmacovigilance in APEC countries
74 p. : 삽화 ; 30 cm
지도교수: 신주영
참고문헌 : p. 52-5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은 2011년 9월 APEC 약물감시 분야의 챔피온 국가로 발탁되어 2020년까지 APEC 약물감시 로드맵이 성공적으로 달성될 수 있도록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에 국가별 약물감시 현...
한국은 2011년 9월 APEC 약물감시 분야의 챔피온 국가로 발탁되어 2020년까지 APEC 약물감시 로드맵이 성공적으로 달성될 수 있도록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에 국가별 약물감시 현황에 따른 약물감시 교육 수요도 비교 분석을 통해 기존에 개발된 교육 내용을 보완하고 회원국 간 약물감시 격차를 줄일 수 있도록 현 실정 및 수요에 부합하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APEC 기 교육 프로그램 및 타 학회 및 기관에서 제공했던 교육 자료 등을 바탕으로 교육 프로그램들을 비교 분석하여 APEC 국가 대상 약물감시 교육 개발안을 만들었고 이에 대한 수요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설문지 형식으로 변환하였다. 또한 APEC 국가들의 약물감시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WHO의 약물감시 지표를 수정 및 보완하여 약물감시 수준 파악을 위한 설문지를 만들었다.
두 가지 설문지를 바탕으로 약물감시 수준 및 약물감시 교육에 대한 수요도 조사를 하여 첫째, 개발된 교육내용의 주제별 교육 수요도의 평균을 분석하였고 둘째, 약물감시 수준에 따른 교육 수요도를 파악하였다.
조사 결과 약물역학,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위해관리, 유익성-위해성 순으로 교육수요도가 높았다. 약물감시 수준에 따른 교육 수요도를 분석 결과 약물감시 수준에 따른 교육 별 수요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다만 국가별 PV 시스템 사례, REMS/RMP/GVP, 사용과오 보고 시스템 및 피드백, 위조의약품 모니터링의 내용에서 약물감시 수준이 낮은 국가들의 교육 수요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이는 약물감시 활동 수준에 따른 교육 수요를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할 만큼의 많은 내용이 아니기 때문에 단일 프로그램으로 교육을 구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수준별 교육 수요도의 차이를 보이는 4가지 교육 중 특히 사용과오보고 시스템 및 피드백, 위조의약품 모니터링 부분에 있어서는 약물감시 수준이 낮은 국가들을 고려하여 실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동일 시간대에 수요도 평가 결과 만족도가 높았던 부분의 심화교육이 제공되어 국가별 선호에 따라 선택하여 들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수요도 평가 결과 평점이 낮았던 부분의 교육은 교육 내용에서 제외하고 평점이 높았던 부분은 강의와 실습을 병행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APEC 21개국을 대상으로 약물감시 교육 내용에 대한 수요도를 파악하고 약물감시 수준별 약물감시 교육 수요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하지만 설문지를 보낸 21개국 중 오직 14개국이 응답하였으며 이는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여주기에 설문 응답국가 수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표본 집단이 모집단을 대표하기에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기존에 개발된 교육 내용을 보완하고 회원국 간 약물감시 격차를 줄일 수 있도록 현 실정 및 교육 수요에 부합하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