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VAR모형을 이용하여 미국의 통화정책이 국내 거시경제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미국 통화긴축정책은 우리나라의 산업생산지수를 하락시키며 소비자물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539944
서울 : 성균관대학교, 2014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경제학과 , 2014. 8
2014
한국어
330 판사항(22)
서울
(The) effect of the U.S. monetary policy on domestic macroeconomy : before an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55 p. : 삽화 ; 30 cm
지도교수: 이근영
참고문헌: p. 53-5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VAR모형을 이용하여 미국의 통화정책이 국내 거시경제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미국 통화긴축정책은 우리나라의 산업생산지수를 하락시키며 소비자물가...
본 연구에서는 VAR모형을 이용하여 미국의 통화정책이 국내 거시경제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미국 통화긴축정책은 우리나라의 산업생산지수를 하락시키며 소비자물가지수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지만 소폭 하락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미국 긴축 통화정책은 콜금리를 상승시킨다. 마지막으로 미국 원/달러 환율을 하락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기를 기준으로 전 후 기간을 나누어 봤을 때 미국 변수가 국내 변수에 미치는 영향이 금융위기 전 기간 보다 후 기간에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국 연방기금금리가 미국 비차입지급준비금 비율보다 국내 변수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