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chweizer, E., "『성령』", 새가정사, 김균진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2
2 김균진, "『종말론』", 민음사, 서울: 민음사, 1998
3 강창희, "고린도후서", 솔로몬, 서울: 횃불, 2007
4 김세윤, "칭의와 성화", 서울: 두란노서원, 2013
5 정홍열, "『사도신경』",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5
6 Schweizer, E., "『성경신학』", 기독교문서선교회, 이승구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85
7 이종성, "『삼위일체론』", 대한기독교출판사,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91
8 Gaffin Jr, Richard B., "『성령은사론』", 기독교문서선교회, 권성수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 회, 1983
9 최윤배, "『성령론 입문』", 서울: 장로신학대학교출판부, 2010
10 이신건, "『신학과 교회』", 천안: 한국신학연구소, 1998
1 Schweizer, E., "『성령』", 새가정사, 김균진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2
2 김균진, "『종말론』", 민음사, 서울: 민음사, 1998
3 강창희, "고린도후서", 솔로몬, 서울: 횃불, 2007
4 김세윤, "칭의와 성화", 서울: 두란노서원, 2013
5 정홍열, "『사도신경』",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5
6 Schweizer, E., "『성경신학』", 기독교문서선교회, 이승구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85
7 이종성, "『삼위일체론』", 대한기독교출판사,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91
8 Gaffin Jr, Richard B., "『성령은사론』", 기독교문서선교회, 권성수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 회, 1983
9 최윤배, "『성령론 입문』", 서울: 장로신학대학교출판부, 2010
10 이신건, "『신학과 교회』", 천안: 한국신학연구소, 1998
11 목창균, "『종말론 논쟁』", 두란노, 서울: 두란노, 1998
12 김희보, "『구약요엘주해』", 서울: 총신대학출판부, 1985
13 최윤배, "『칼뱅신학 입문』",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12
14 박일민, "「개혁교회의 신조」", 서울: 성광문화사, 2002
15 Kung, Hans, "『교회란 무엇인가』", 분도출판사, 이홍근 역. 서울: 분도출판사, 1978
16 차준희, "『구약예언서 이해』",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99
17 Zizioulas, J. D., "『친교로서의 존재』", 삼원서원, 이세형 외1역. 춘천 : 삼원서원, 2012
18 김균진, "『기독교조직신학 I』",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1984
19 황승룡, "“기독교신학과 성령”", 『성령과 기독교신학』. 서울: 대한기독교 서회, 2010
20 김명용, "“몰트만의 영성신학”", 『장신논단』, (18), , 249-275, 2002
21 박형렬, "『통전적 치유 목회학』", 치유, 서울: 치유출판사, 1994
22 김석환, "『삼위일체론과 성령론』", 한국학술정보, 경기: 한국학술정보사, 2007
23 현요한, "『성령, 그 다양한 얼굴』",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1998
24 박만, "『현대 삼위일체론 연구』", 대한기독교서회,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3
25 Kaiser Jr, Walter C., "『마지막 때에 관한 설교』", 김혜경 역. 서울: 기독 교문서선교회, 2014
26 신옥수, "『몰트만신학 새롭게 읽기』", 새물결플러스,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5
27 김추성, "『하나님과 어린양의 보좌』", 고양: 이레서원, 2015
28 이한영, "『구약, 어떻게 읽을 것인가』", 서울: 한국성서유니온, 2004
29 유광웅, "『블룸하르트의 투쟁과 소망』", 한국장로교,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4
30 박경수, "“칼뱅의교회일치사상과실천”", 『칼뱅의구원론과교회론』. 서울: SFC 출판부, 2011
31 지원용, "신앙고백서: 루터교 신앙고백집", 서울: 컨콜디아사, 1988
32 자콥, "에드몽. 『구약신학』. 박명곤 역", 경기: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9
33 후크마, "A. 『개혁주의 종말론』. 류호준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86
34 정홍열, "“요아킴의 성령론적 종말론 연구”", 한국조직신학회, 「한국기독교신학논총」43, , 179-218, 2015
35 유해무, "『개혁 교의학:송영으로서의 신학』", 크리스챤다이제스트,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7
36 이한수, "『신약은 성령을 어떻게 말하는가』", 서울: 이레서원, 2002
37 최윤배, "『잊혀진 종교개혁자 마르틴 부처』",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2012
38 유승원, "『크고 넓은 교회, 높고 깊은 신학』", 서울: 한국성서학, 2001
39 양용의, "하나님의 나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서울: 한국성서유니온 선교회, 2005
40 요시오, 이노우에, "『블룸하르트 父子:기다리며 서두르며』", 전호윤 역. 서울: 雪友社, 1991
41 정홍열, "“기독교 종말론을 위한 해석학적 원리”", 「한국기독교신학논총」 17, (1), , 157-190, 2000
42 전성용, "『성령은 누구신가: 삼위일체론적 성령론』", 서울: 세복, 2007
43 김이곤, "“구약에 나타난 야웨의 날 전승과 그 해석,”",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신학연구」(17), , 7-38, 1976
44 현요한, "“깔뱅의 교회론: 성령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장로회신학대학 대학원, 신학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대학원, 1986
45 라쿠나, "캐서린 모리. 『우리를 위한 하나님』. 이세형 역", 서울: 대한기 독교서회, 2010
46 차준희, "“요엘 2장 28-32절 내 신을 만민에게 부어주리니”", 「기독교사 상」43(3), , 159-168, 1999
47 황승룡, "“기독교신학과 성령: 성령, 신학의 새 패러다임”", 『성령과 기독 교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0
48 하우크, "리차드. 『블룸하르트의 생애와 사상』. 김윤규 역", 서울: 한들출 판사, 2002
49 차학순, "“구약에 나타난 하나님 나라의 정체성과 점진성”", 한국개혁신학회, 「한국개혁신 학 논문집」2(1), , 393-431, 1997
50 이문균, "“생명의 영성: 성령과 생명: 생태학적 성령 이해”",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 학논총」(11), , 99-126, 2004
51 비네마, "P. 코르넬리스. 『개혁주의 종말론 탐구』. 박승민 역", 서울: 부 흥과개혁사, 2014
52 유광웅, "“요한 크리스토프 블룸하르트의 새로운 성령강림 대망”", 「성경 과 신학」. 한국복음주의신학협회 (15), , 234-268, 1994
53 김균진, "『죽음과 부활의 신학: 죽음 너머 영원한 생명을 희망하며』", Holy Waveplus, 서 울: 새물결플러스, 2015
54 정홍열, "“종말론 새롭게 읽기: ‘하나님 봄'(visio Dei)으로 종말론 읽기”", 『종말론』. 한국조직신학회 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2
55 김수창, "“Veni Creator Spiritus 분석을 통한 G.P.da Palestrina의 찬미가 (Hymn) 연구”", 종교음악석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56 임도건, "『후기 종교개혁 사상 연구: P. 멜란히톤, M. 부처, H. 불링거, T. 베자를 중심으로』", 신학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대학원,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