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가요 아카이브에서 ‘이야기’컬렉션의 의미 연구 진 현 주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대학원 기록관리전공 지도교수 임 진 희 대중가요는 오랜 시간 시대의 희노애락을 함께 하였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198202
서울 :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6
학위논문(석사) --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기록관리전공 , 2016. 8
2016
한국어
025.171 판사항(22)
서울
A Study on the Meaning of 'Story' Collection in Popular Song Archive
vii, 86 p. : 삽도, 도표 ; 30cm
명지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임진희
참고문헌 : p.83-84
설명적 각주 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대중가요 아카이브에서 ‘이야기’컬렉션의 의미 연구 진 현 주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대학원 기록관리전공 지도교수 임 진 희 대중가요는 오랜 시간 시대의 희노애락을 함께 하였다...
대중가요 아카이브에서 ‘이야기’컬렉션의 의미 연구
진 현 주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대학원 기록관리전공
지도교수 임 진 희
대중가요는 오랜 시간 시대의 희노애락을 함께 하였다. 또한 시대의 흐름을 함께하며 그 안에서 의미를 가지게 되기도 한다. 대중가요는 당대의 사회상을 반영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대중가요 아카이브에 대한 연구는 어떤 가수가 있었으며, 어떤 노래가 있었는지, 어떤 가수가 어떤 노래를 불렀는지에 대한 정보에만 관심을 가져왔다. 따라서 기존의 대중가요 아카이브에는 그 노래가 유행하던 시대의 사회상이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대중가요와 그 당대의 사회상을 함께 아카이빙 하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그러한 방법으로 ‘이야기’컬렉션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기존의 대중가요 아카이브의 운영, 수집 주체, 컬렉션 구성 중심의 사례 분석을 통하여 대중가요 아카이브에 어떤 기록물들이 아카이빙 되어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사례들의 컬렉션을 토대로 대중가요 전체를 아우르는 대중가요 아카이브의 컬렉션을 새롭게 정의하였다. 또한 대중가요와 대중의 삶의 연관관계를 살펴보고 대중가요 아카이브에서의 ‘이야기’컬렉션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앞에서 정의한 대중가요 아카이브 컬렉션에 이야기 컬렉션을 추가함으로써 대중가요 아카이브의 정보 구조를 ERD 형태로 나타내었다.
‘이야기’컬렉션 구성을 위한 이야기 수집의 절차와 방법을 제시하고 직접 ‘이야기’컬렉션을 수집해 봄으로써 그 이야기의 형태와 내용을 살펴보고 ‘이야기’컬렉션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야기’컬렉션을 수집하는 방법으로는 이미 다양한 매체들을 통해 실재하고 있는 이야기들을 라디오, TV, 개인 블로그를 대상으로 수집하였으며 앞으로 만들어질 ‘이야기’를 수집하는 방법으로 대중가요 아카이브 내에서 대중이 직접 ‘이야기’컬렉션 수집에 참여할 수 있는 이야기장을 마련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수집된 기존의 매체에 실재하는 이야기들은 크게 노래에 얽힌 이야기, 가수에 얽힌 이야기, 공연에 얽힌 이야기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이야기 안에는 음악에 대한 이야기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일상이 담겨있다. 연애, 가족, 친구 이야기가 있으며 학교생활, 직장생활 등의 이야기가 있다. 이러한 이야기는 대중의 생활을 반영하고 그 노래가 유행하던 당대의 사회의 모습을 반영한다. 그리고 그 이야기들은 대중가요사를 넘어 우리가 속해있는 사회를 더욱 입체적으로 바라보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을 기대해 볼만 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tudy on the Meaning of 'Story' Collection in Popular Song Archive Jin Hyun-joo Major of Records and Archival Information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Records, Archives & Information Science,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Yim Jin...
A Study on the Meaning of 'Story' Collection
in Popular Song Archive
Jin Hyun-joo
Major of Records and Archival Information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Records, Archives & Information Science,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Yim Jin-hee
Popular song has been our happiness for a long time. Also, popular songs go along with the flow of the generation, which is also significant in the meaning. Popular songs reflect the contemporary society. However, there has been only interest in the information on the song that was sung by a singer, the type of sings, and the type of singers for studies about popular song archive. Thus, the existing popular song archive was not able to reflect the society of the generation of when the song was popular. Therefore, this paper searches for the ways of archiving society of the period and the popular songs, and also suggests 'story' collection through the methods.
First, the types of records in the popular song archive was investigated through case study based on the operation of existing popular song archive, collection agent, and composition of collection. Through this, the popular song archive collection composing the overall popular songs was newly defined based on the collection of cases. Also, the correlations of popular songs and lives of the people were investigated to propose the necessity of 'story' collection. Also, by adding the story collection to the popular song archive collection defined above, the information structure of popular song archive was presented in ERD format.
The procedure and methods of story collection to compose 'story' collection were proposed. By collecting 'story' collection, the contents and form of the stories were investigated to propose the possibility of 'story' collection. Methods of collecting 'story' collection were performed based on radio, TV, and personal blog, and this study proposed methods to provide story field where people can participate in collecting 'story' collection within the popular song archive. The stories that exist in the existing collection media can be largely classified as stories related to the song, stories related to the singer, and stories related to the performance. However, within the story there are stories about music and also the daily lives of people. There are stories of love, family, and friends, and also stories of school life and work life. These stories reflect the lives of the people and reflect the society of the period when the song was popular. Also, these stories go beyond popular songs and make it possible to look dimensionally on the society we are affiliated in.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