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에서 변화하는 소비자의 소비 욕구와 상품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또 이에 따른 상품 패키지디자인의 역할의 변화는 감성적 시각 이미지를 충족시키기 위한 새로운 노력을 요구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0483191
춘천 : 강원대학교, 2005
학위논문(석사) --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 산업디자인학과 , 2006. 2
2005
한국어
강원특별자치도
Study on the effects of package design color on consumer behavior: Based on preserved fish food products
72p. 26cm
지도교수:남용현
참고문헌 : p.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사회에서 변화하는 소비자의 소비 욕구와 상품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또 이에 따른 상품 패키지디자인의 역할의 변화는 감성적 시각 이미지를 충족시키기 위한 새로운 노력을 요구하...
현대사회에서 변화하는 소비자의 소비 욕구와 상품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또 이에 따른 상품 패키지디자인의 역할의 변화는 감성적 시각 이미지를 충족시키기 위한 새로운 노력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젓갈류 식품 패키지디자인에 있어서도 소비자의 구매동기와 행동양식을 연구하기 위한 부단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소비자의 요구 및 구매형태에 따라 제품의 개성적 이미지를 전달하는 소비자 구매성향과 효율적인 시각적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한 젓갈류 패키지디자인의 색채디자인에 목표를 둔다. 또한 패키지디자인의 본질을 파악하고, 이와 관련하여 패키지디자인의 색채 기능과 구매효과, 색채계획이론을 파악, 검토하여 종합적인 차원에서 분석, 평가를 실시한다. 그리고 소비자에게 패키지디자인의 색채가 소비자 구매활동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여 제시하고 젓갈류 패키지디자인 상품 개발 시 색채계획의 중요성을 나타내어 젓갈류 시장의 성장과 상품 증대를 높이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젓갈류 패키지디자인에 따른 색채계획의 필요성을 나타내고 패키지디자인 상품 개발 시 색채계획을 보다 효율적으로 연구하여 젓갈류 시장의 성장과 상품 판매 증대에 기여 할 수 있도록 패키지디자인개발에 앞서 색채에 대한 본질적인 내용을 파악하고 시장세분화에 맞추어 정확한 시장조사를 토대로 구체적인 색채계획을 하여야 한다. 따라서 브랜드별 패키지디자인의 색채분석과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하여 브랜드별 제품의 구분은 각 브랜드별 패키지디자인에서 차별화를 주고 브랜드별 제품의 종류 구분은 주색을 통일시키고 보조색이나 강조색으로 차별화를 주어 제품 종류의 구분이 용이 하도록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anges in the consumer's appetite for consumption as well as changes value system for product evaluation and resulting changes in the role of product package design in modern society demands new endeavors to satisfy the sensitive visual image. Theref...
Changes in the consumer's appetite for consumption as well as changes value system for product evaluation and resulting changes in the role of product package design in modern society demands new endeavors to satisfy the sensitive visual image. Therefore, this study will maintain sustained efforts to research the consumer's consumption motive and behavior according to the packaging for preserved fish food products. Therefore, the study will focus on the consumer's consumption tendency that delivers a product's individual image according to the consumer's demand and consumption category and the package color design for preserved fish products used to effectively deliver a visual image. Additionally, it will understand the essence of package design and in this light understand and review the functions and effectiveness of a package design's color and color planning theories to analyze and evaluate from a comprehensive level. Furthermore, it will investigate how much influence a package design's color has on consumer behavior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lor planning in the development stages of preserved fish products in order to bring growth and expansion to the preserved fish food products market. In order to contribute to market growth and increased sales, the study will illustrate the need for color planning for preserved fish product packages and find efficient methods of color planning during product development. Prior to this, it will understand the fundamentals of color and propose a detailed color planning scheme based on market research appropriate for the segmented market. Based on the per brand color analysis and survey results, differentiated brand package designs must be used for different brands and each division of products within a brand should use a common main color with supporting colors to differentiate the type of product within the brand to ensure easy classific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