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과 또래 유능성이 어떻게 나타나며, 유아의 기질에 따라 집단 간에 그리고 집단 내에서 기질과 성차의 특성이 또래 유능성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333614
청원군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 2011. 2
2011
한국어
372.21 판사항(22)
충청북도
vi, 91 p. ; 26 cm
한국교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단현국
참고문헌 : p.64-8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과 또래 유능성이 어떻게 나타나며, 유아의 기질에 따라 집단 간에 그리고 집단 내에서 기질과 성차의 특성이 또래 유능성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본 연구는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과 또래 유능성이 어떻게 나타나며, 유아의 기질에 따라 집단 간에 그리고 집단 내에서 기질과 성차의 특성이 또래 유능성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은 어떻게 나타나며, 이는 성차가 있는가?
2. 유아의 또래 유능성은 어떻게 나타나며, 이는 성차가 있는가?
3.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에 따라 또래 유능성은 어떻게 나타나며, 이는 성차가 있는가?
3-1.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 집단 간 또래 유능성은 어떻게 나타나며, 이는 성차가 있는가?
3-2.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 집단 내 또래 유능성은 어떻게 나타나며, 이는 성차가 있는가?
연구 대상은 대구광역시 북구에 소재하고 있는 5개의 공립유치원, 9개 학급에 재원 중인 만 5세 학급 유아 236명 중 교사용 유아 기질 평가를 실시하여, 순한 기질의 유아 46명〔남아: 21명, 여아: 25명〕과 까다로운 기질의 유아 41명〔남아: 25명, 여아: 16명〕, 총 87명〔남아: 46명, 여아: 41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 유아의 연령 분포는 5년 9개월에서 6년 11개월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6년 4개월(남아: 6년 4개월, 여아: 6년 4개월)이었다.
연구 도구는 유아의 기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Thomas, Chess와 Korn(1977)과 Gordon(1981)의 연구에서 개발된 만 3~7세 유아를 위한 「교사용 유아 기질 평가」도구를 강민정(1997)이 번안하여 수정·보완한 연구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또래 유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박주희와 이은해(2001)가 취학 전 유아용 또래 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첫째,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과 또래 유능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며, 성차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유아의 기질 점수와 또래 유능성 점수의 문항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각각 산출하고, t검증 하였다. 둘째,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 집단 간과 집단 내에서 유아의 기질에 따라 또래 유능성은 어떻게 나타나며, 성차는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에서 접근-회피성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 .01. 적응성, 기분상태, 반응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문항별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성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05. 하위 요소 중 친사회성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성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001.
셋째, 순한 기질의 남아와 까다로운 기질의 남아가 보이는 기질 집단 간 또래 유능성은 기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05. 또래 유능성의 하위 요소 중 주도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05.
순한 기질의 여아와 까다로운 기질의 여아가 보이는 기질 집단 간 또래 유능성은 기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001. 또래 유능성의 하위 요소에서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사교성: p< .01, 친사회성: p< .05, 주도성: p< .01).
순한 기질의 남아와 여아가 보이는 기질 집단 내 또래 유능성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05. 또래 유능성의 하위요소 중 친사회성에서 유의한 성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001.
까다로운 기질의 남아와 여아가 보이는 기질 집단 내 또래 유능성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 유능성의 하위 요소 중 친사회성에서 유의한 성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05.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