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어머니 및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84559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아동학과 , 2012. 8. 졸업

      • 발행연도

        2012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600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x, 83 p. : 삽화.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도현심
        참고문헌: p. [60]-69

      • 소장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와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독립적 및 상호적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및 경기도 소재 유치원 및 어린이집 13곳의 230명의 만 5, 6세 남녀 유아들과 그들의 부모로서,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모의 양육행동은 이선희(2012)가 개발한 저학년 부모의 양육행동 척도를 유아기에 적절하게 수정한 척도를,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도현심(1994)이 개발한 유치원생용 사회적 능력 척도를 번안한 서유진(2005)의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산출하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독립적 영향과 관련하여, 어머니의 강압과 방임이 높을수록 유아의 대인적응성이 낮았고 논리적 설명을 많이 할수록 유아의 인기도/지도력 및 사회적 참여는 높았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아의 경우 어머니가 방임을 많이 할수록 대인적응성이 낮았고, 논리적 설명을 많이 할수록 사회적 참여가 높았다. 여아의 경우 어머니가 강압적일수록 또는 방임적일수록 대인적응성이 낮았고 논리적 설명을 많이 할수록 인기도/지도력이 높았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독립적 영향의 경우, 아버지의 강압이 높을수록 유아의 대인적응성이 낮았다. 그러나 이를 제외한 아버지의 양육행동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아의 경우 아버지가 강압적인 양육을 적게 할수록 대인적응성과 사회적 참여가 높았고, 여아의 경우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여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과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행동과 상호작용할 때, 유아의 전반적인 사회적 능력이 가장 높았으며,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행동과 아버지의 부정적 양육행동이 상호작용할 때, 유아의 전반적인 사회적 능력이 가장 낮았다. 또한 어머니와 아버지 중 한 부모라도 긍정적 양육을 하는 경우, 또 다른 부모의 부정적 양육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하는 효과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에서 모-자녀관계와 부-자녀관계를 모두 고려함으로써 어머니와 아버지가 각각 아들과 딸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독립적 영향 및 상호적 영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무엇보다도, 부모의 양육행동의 일치 여부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서의 차이에만 초점을 두고 살펴본 선행 연구들과는 달리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버지의 양육행동의 하위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와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독립적 및 상호적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및 경기도 소재 유치원 및 어린이집 13곳의 230...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와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독립적 및 상호적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및 경기도 소재 유치원 및 어린이집 13곳의 230명의 만 5, 6세 남녀 유아들과 그들의 부모로서,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모의 양육행동은 이선희(2012)가 개발한 저학년 부모의 양육행동 척도를 유아기에 적절하게 수정한 척도를,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도현심(1994)이 개발한 유치원생용 사회적 능력 척도를 번안한 서유진(2005)의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산출하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독립적 영향과 관련하여, 어머니의 강압과 방임이 높을수록 유아의 대인적응성이 낮았고 논리적 설명을 많이 할수록 유아의 인기도/지도력 및 사회적 참여는 높았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아의 경우 어머니가 방임을 많이 할수록 대인적응성이 낮았고, 논리적 설명을 많이 할수록 사회적 참여가 높았다. 여아의 경우 어머니가 강압적일수록 또는 방임적일수록 대인적응성이 낮았고 논리적 설명을 많이 할수록 인기도/지도력이 높았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독립적 영향의 경우, 아버지의 강압이 높을수록 유아의 대인적응성이 낮았다. 그러나 이를 제외한 아버지의 양육행동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아의 경우 아버지가 강압적인 양육을 적게 할수록 대인적응성과 사회적 참여가 높았고, 여아의 경우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여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과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행동과 상호작용할 때, 유아의 전반적인 사회적 능력이 가장 높았으며,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행동과 아버지의 부정적 양육행동이 상호작용할 때, 유아의 전반적인 사회적 능력이 가장 낮았다. 또한 어머니와 아버지 중 한 부모라도 긍정적 양육을 하는 경우, 또 다른 부모의 부정적 양육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하는 효과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에서 모-자녀관계와 부-자녀관계를 모두 고려함으로써 어머니와 아버지가 각각 아들과 딸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독립적 영향 및 상호적 영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무엇보다도, 부모의 양육행동의 일치 여부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서의 차이에만 초점을 두고 살펴본 선행 연구들과는 달리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버지의 양육행동의 하위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dependent and interac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230 preschoolers and their parents(120 boys and 110 girls) living in Seoul and Gyoung-gi Do.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wo kinds of questionnaires regarding parent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Both parents rated their own parenting behavior questionnaire and child's social competence questionnaire was rated by his/her mother.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imple/multiple regress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the level of maternal coercion and abusement/neglect were higher, preschoolers showed lower interpersonal adjustment. Also, as the level of maternal reasoning was higher, the preschoolers showed higher popularity/leadership and social participation.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social ability. For boys, as the level of maternal abuse/neglect was higher, they showed lower interpersonal adjustment.
      However, as the level of maternal reasoning was higher, they showed higher social participation. For girls, as the level of maternal coercion and abuse/neglect were higher, they showed lower interpersonal adjustment. However, as the level of maternal reasoning was higher, they showed higher social participation.
      Second, as the level of paternal coercion was higher, the level of preschooler's interpersonal adjustment was low.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For boys, when paternal coercion was low, their interpersonal adjustment and social participation level was high. However, paternal behavior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girl's social ability.
      Finally, when positive maternal parenting behavior interacts with positive paternal parenting behavior, preschooler's general social competence was the highest. And when negative maternal parenting behavior interacts with negative paternal parenting behavior, preschooler's general social ability was the lowest. When one parent does negative parenting, the level of social competence of preschooler depended on the style of the other parent.
      The results undersc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behavior and preschooler's social ability. Especially, this study found independent effect of mother-child relationship and father-child relationship, and interactive effect of maternal and paternal behavior on child's social ability.
      번역하기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dependent and interac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230 preschoolers and their parents(120 boys and 110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dependent and interac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230 preschoolers and their parents(120 boys and 110 girls) living in Seoul and Gyoung-gi Do.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wo kinds of questionnaires regarding parent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Both parents rated their own parenting behavior questionnaire and child's social competence questionnaire was rated by his/her mother.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imple/multiple regress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the level of maternal coercion and abusement/neglect were higher, preschoolers showed lower interpersonal adjustment. Also, as the level of maternal reasoning was higher, the preschoolers showed higher popularity/leadership and social participation.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social ability. For boys, as the level of maternal abuse/neglect was higher, they showed lower interpersonal adjustment.
      However, as the level of maternal reasoning was higher, they showed higher social participation. For girls, as the level of maternal coercion and abuse/neglect were higher, they showed lower interpersonal adjustment. However, as the level of maternal reasoning was higher, they showed higher social participation.
      Second, as the level of paternal coercion was higher, the level of preschooler's interpersonal adjustment was low.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For boys, when paternal coercion was low, their interpersonal adjustment and social participation level was high. However, paternal behavior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girl's social ability.
      Finally, when positive maternal parenting behavior interacts with positive paternal parenting behavior, preschooler's general social competence was the highest. And when negative maternal parenting behavior interacts with negative paternal parenting behavior, preschooler's general social ability was the lowest. When one parent does negative parenting, the level of social competence of preschooler depended on the style of the other parent.
      The results undersc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behavior and preschooler's social ability. Especially, this study found independent effect of mother-child relationship and father-child relationship, and interactive effect of maternal and paternal behavior on child's social abi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Ⅱ. 이론적 배경 5
      • A. 양육행동 및 사회적 능력의 개념 5
      • 1. 양육행동 5
      • 2. 사회적 능력 7
      • Ⅰ. 서론 1
      • Ⅱ. 이론적 배경 5
      • A. 양육행동 및 사회적 능력의 개념 5
      • 1. 양육행동 5
      • 2. 사회적 능력 7
      • B.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 9
      • C.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 12
      • D.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상호적 영향 14
      • Ⅲ. 연구문제 및 용어정의 17
      • A. 연구문제 17
      • B. 용어정의 18
      • Ⅳ. 연구방법 19
      • A. 연구대상 19
      • B. 조사도구 21
      • C. 조사절차 및 자료분석 24
      • Ⅴ. 연구결과 26
      • A. 예비분석 26
      • 1. 어머니의 양육행동,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서의 성차 26
      • 2. 어머니의 양육행동,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 27
      • B.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30
      • C.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32
      • D.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대한 어머니 양육행동과 아버지 양육행동의 상호작용 효과 34
      • Ⅵ. 논의 및 결론 50
      • A.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50
      • B.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52
      • C.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 54
      • 참고문헌 60
      • 부록 70
      • ABSTRACT 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