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내면화된 수치심이 전위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41038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2014.2

      • 발행연도

        2014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Internalized shame and displaced aggression : the mediating effect of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 형태사항

        ⅵ, 72 p. : 삽화, 표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수록

      • 소장기관
        • 서강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이 전위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전위 공격성을 유발하는 심리 내적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는 서울 S대학교의 학부 및 대학원 재학생과 졸업생 32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내면화된 수치심,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분노 억제, 분노 표출), 전위 공격성을 측정하기 위해 자기보고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내면화된 수치심과 전위 공격성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으로 알려진 분노 억제와 분노 표출을 매개변인으로 갖는 구조모형을 설정하였다. 완전 매개 모형인 모형 1, 부분 매개 모형인 모형 2와 이중 매개 모형인 모형 3, 4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과 AMOS 20.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내면화된 수치심이 전위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가운데 분노 억제와 분노 표출이 이중매개효과를 갖는 구조 모형(모형 3)이 가장 우수한 모형으로써 최종모형으로 채택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 표출의 관계에서 분노 억제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으며, 내면화된 수치심과 전위 공격성의 관계에서는 분노 억제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또한 분노 억제와 전위 공격성 사이에서 분노 표출의 부분매개효과 역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더불어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을수록 분노 억제를 많이 하고, 분노 표출이 증가하여 전위 공격성이 높게 나타나는 이중매개효과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기존에 많이 연구되지 않았던 전위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 내적인 특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전위 공격성이 높은 개인에게 문제시되는 정서와 정서 처리 방식을 확인하고, 이들에게 적합한 치료의 접근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이 전위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전위 공격성을 유발하는 심리 내적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 목...

      본 연구는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이 전위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전위 공격성을 유발하는 심리 내적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는 서울 S대학교의 학부 및 대학원 재학생과 졸업생 32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내면화된 수치심,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분노 억제, 분노 표출), 전위 공격성을 측정하기 위해 자기보고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내면화된 수치심과 전위 공격성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으로 알려진 분노 억제와 분노 표출을 매개변인으로 갖는 구조모형을 설정하였다. 완전 매개 모형인 모형 1, 부분 매개 모형인 모형 2와 이중 매개 모형인 모형 3, 4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과 AMOS 20.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내면화된 수치심이 전위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가운데 분노 억제와 분노 표출이 이중매개효과를 갖는 구조 모형(모형 3)이 가장 우수한 모형으로써 최종모형으로 채택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 표출의 관계에서 분노 억제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으며, 내면화된 수치심과 전위 공격성의 관계에서는 분노 억제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또한 분노 억제와 전위 공격성 사이에서 분노 표출의 부분매개효과 역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더불어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을수록 분노 억제를 많이 하고, 분노 표출이 증가하여 전위 공격성이 높게 나타나는 이중매개효과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기존에 많이 연구되지 않았던 전위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 내적인 특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전위 공격성이 높은 개인에게 문제시되는 정서와 정서 처리 방식을 확인하고, 이들에게 적합한 치료의 접근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displaced aggression. A total of 327 students attending S University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ssess participants’ internalized shame,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ger-in, anger-out), and displaced aggress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test the model that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displaced aggression. Model 1 testing a full mediation, model 2 testing a partial mediation, and model 3, 4 testing dual mediation were compared. The SPSS 19.0 and the AMOS 20.0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proposed model 3 with internalized shame significantly influencing the level of anger-in, which, in turn, significantly increased anger-out, and subsequently increased the level of displaced aggression, had better fit indices than other models. Specifically, anger-i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anger-out, and anger-i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and displaced aggression. Anger-in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level of anger-out, and subsequently increased the level of displaced aggression. Also, finding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displaced aggression was mediated by anger-in and anger-out.
      Current findings enhanced our understanding of psychological inner-trait of displaced aggression. Findings are going to be useful for clinicians to assist clients who have problems of displaced aggression with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번역하기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displaced aggression. A total of 327 students attending S University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displaced aggression. A total of 327 students attending S University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ssess participants’ internalized shame,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ger-in, anger-out), and displaced aggress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test the model that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displaced aggression. Model 1 testing a full mediation, model 2 testing a partial mediation, and model 3, 4 testing dual mediation were compared. The SPSS 19.0 and the AMOS 20.0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proposed model 3 with internalized shame significantly influencing the level of anger-in, which, in turn, significantly increased anger-out, and subsequently increased the level of displaced aggression, had better fit indices than other models. Specifically, anger-i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anger-out, and anger-i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and displaced aggression. Anger-in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level of anger-out, and subsequently increased the level of displaced aggression. Also, finding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displaced aggression was mediated by anger-in and anger-out.
      Current findings enhanced our understanding of psychological inner-trait of displaced aggression. Findings are going to be useful for clinicians to assist clients who have problems of displaced aggression with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