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의 대중화에 따른 소셜미디어 발달은 일반인의 정보 추구의 방식뿐만 아니라 환자의 건강정보 추구 방식에도 변화를 가져왔으며, 최근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소셜미디어인 카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520238
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 2020. 2
2020
한국어
서울
The use of social media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disease characteristics
v, 112 p. : 삽화, 표 ; 30 cm
지도교수: 이상원
참고문헌 : p. 39-40
I804:11040-00000015769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스마트폰의 대중화에 따른 소셜미디어 발달은 일반인의 정보 추구의 방식뿐만 아니라 환자의 건강정보 추구 방식에도 변화를 가져왔으며, 최근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소셜미디어인 카카...
스마트폰의 대중화에 따른 소셜미디어 발달은 일반인의 정보 추구의 방식뿐만 아니라 환자의 건강정보 추구 방식에도 변화를 가져왔으며, 최근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소셜미디어인 카카오톡 오픈채팅의 경우에도 다양한 질병 관련 채팅방이 개설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질병의 특성에 따른 카카오톡 오픈채팅 참여자의 특징과 보건의료정보 이용 양상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질병의 특성에 따른 차이를 보기위해 카카오톡 오픈채팅 내 중증질환 군과 이와 대조적인 경증질환 군을 각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9월 21일 ~ 10월 16일(26일간) 동안 참여자의 질환 별 특징과 카카오톡 오픈채팅에서의 보건의료정보 이용양상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참여대상은 암질환 군에서의 보호자의 비율(51.8%)이 피부&성형 군(1.7%)에서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참여 목적에서 암질환 군은 생활ㆍ식습관정보(76.8%), 질병정보(71.4%) 순인 반면, 피부&성형 군은 병원정보(71.2%), 치료제정보(54.2%) 순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오픈채팅의 보건의료정보를 활용한 경험을 물음에서는 생활ㆍ식습관 개선이 두 군 모두 6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암질환 군은 병원선택 23.2%, 치료제선택 10.7%로 낮게 나타났고, 피부&성형 군은 병원선택 59.3%, 치료제선택 59.3%로 높게 나타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 질병과 관련된 카카오톡 오픈채팅의 참여자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질병의 특성에 따라 소셜미디어 이용 양상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