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찰 불교대학의 신도교육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264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measures of Laypeople Education in Buddhist Temples It has not been long since the Buddhist temples started to provide modern education programs to their laypeople. Traditional religious practice involve...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measures of Laypeople Education in Buddhist Temples It has not been long since the Buddhist temples started to provide
      modern education programs to their laypeople. Traditional religious practice involved praying on the fast day. As the lifestyles of their laypeople changed, praying was not enough to run the temples.
      Especially, after the arrival of highly industrialized society, the true colors of religious circles emerged and faith began to decline. Such phenomenon was not an exception to the world of Buddhism.
      Laypeople education is essential for temples to be properly run and to actively propagate to the next generation. Such knowledge is well-known among the monks and temple goers. As many urban temples recognized and adapted for the need for laypeople education, remaining temples learned of the importance of it as well.
      In this study, the conditions of Buddhist universities operated by temples were analyzed to study the perception of temple goers on the new laypeople education. 21 Buddhist universities were examined including Jogyesa, Hanmaeumseonwon, Neunginseonwon, Bulgwangsa and others who each had launched a successful laypeople education program. The items examined included management method, content of education, education schedule and times, lecturers, location of education facilities and learning conditions and number of students.
      To determine the craving of those who wanted laypeople educa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articipants. This perception survey was conducted on 403 temple goers who currently, or in the past, have studied in a Buddhist university in Seoul or Gyeonggi-do in 2017. The questionnaire included motive for studying, route of participation, evaluation on textbooks, evaluation on education duration and schedule,
      and change in pride, sense of affiliation, level of participation and perception of Buddhism in order to measure the efficacy of the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analysis on the result of actual condition and perception survey on laypeople education, a number of improvement measures could be conceived. First, there is a need for strengthened expertise of the teachers. To achieve this, we require a longitudinal support including training and R&D. Second, to expand the exactness of the content of education, improvements must be made including development of modern education contents and education programs more associated with religious activities. Heightening the efficacy of the education programs will require development of audio-visual textbooks and new education methods. To vitalize Buddhism education, there must be development of contents related to various cultures and healing meditation, small-scale team training, mentoring, coaching, andself-directed learning method. A conclusion was drawn that training of the teachers is important for diversification, specialization and phasing of laypeople education progra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불교의 각 사찰에서 현대적인 신도교육을 실시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사찰의 전통적인 신행방법은 재일에 기도를 봉행하는 것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그렇지만 신도들의 삶의 양...

      불교의 각 사찰에서 현대적인 신도교육을 실시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사찰의 전통적인 신행방법은 재일에 기도를 봉행하는 것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그렇지만 신도들의 삶의 양태가 달라지면서 기도 봉행만으로는 사찰을 운영하기
      어려워졌다. 특히 고도 산업사회가 도래하면서 잘 알려지지 않았던 종교계의 본
      모습이 드러나면서 신앙심이 쇠퇴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불교계에서도 예외가 아닌 상황이 되었다.
      사찰이 온전하게 운영되고 불교가 다음세대를 위한 적극적인 포교활동을 전개
      하기 이해서는 신도교육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은 스님이나 신도들 사
      이에서 공감대를 이루고 있다. 신도교육의 필요성을 미리 인식하고 잘 대응한 도
      심사찰들이 등장하면서 많은 사찰에서 신도교육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찰에서 운영하는 불교대학의 운영실태를 분석하고 신도교육에
      대한 불자들의 의식 조사를 시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신도교육의 방향
      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신도교육은 실태 분석은 조계사, 한마음선원, 능인선원,
      불광사 등과 같이 성공적인 사찰 사례와 더불어 전국에 21개 사찰불교대학을 조
      사하였다. 조사항목은 관리방법, 주요 교육내용, 교육일정 및 시간, 강사진, 교육
      시설의 위치 및 환경, 입학자 수의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신도교육에 대한 수요자의 욕구를 파악하기 위해서 참여자를 대상으로 의식조
      사를 실시하였다. 의식조사는 2017년도에 서울과 경기권 소재 불교대학에 입학한
      경험이 있는 불자 4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내용은 입학동기, 참여경로,
      교재에 대한 평가, 교육기간 및 일정에 대한 평가, 교육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
      한 자긍심, 소속감, 참여도, 불교에 대한 인식변화 등의 항목들을 포함하고 있다.
      신도교육의 실태 및 의식조사 결과의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개선방
      안을 찾을 수 있었다. 첫째, 신도교육 담당자의 전문성 강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
      해서는 교육교역자의 자질 강화를 위한 훈련과 연수, 연구개발 등에 대한 종단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내용의 적실성 확대를 위해서 현대적인 교육내용 및
      콘텐츠 개발, 신행활동과 연계시키는 교육 등의 개선점이 요구된다. 교육방법의
      효과성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시청각 교재 개발, 새로운 교육방법 모색 등이 필
      요하다. 도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문화와 치유 명상 관련 콘텐츠 개발,
      소규모 팀교육, 멘토교육, 코칭교육, 자기주도 학습방법 등의 도입이 필요하다.
      그리고 신도교육의 다양화, 전문화, 단계화에 따른 교육교역자의 육성이 중요하다
      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제1장 서 론 5
      • 제1절 연구 목적 5
      •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0
      • 목 차
      • 제1장 서 론 5
      • 제1절 연구 목적 5
      •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0
      • 제3절 선행연구 분석 11
      • 제2장 신도교육의 이론적 배경 15
      • 제1절 신도교육의 개념 정의 15
      • 1. 신도교육의 개념과 사회교육적 의미 15
      • 2. 신도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 19
      • 제2절 신도교육의 이념과 목표 23
      • 제3절 신도교육의 체계와 유형 26
      • 1. 신도교육의 체계 26
      • 2. 신도교육의 유형 27
      • 제3장 불교계 신도교육의 실태 분석 34
      • 제1절 주요 종단의 신도교육 실태와 평가 34
      • 1. 대한불교조계종의 신도교육 34
      • 2. 대한불교천태종의 신도교육 38
      • 3. 한국불교태고종의 신도교육 39
      • 제2절 단위사찰 신도교육의 주요 사례와 특징 42
      • 1. 성공적인 도심포교 사찰의 신도교육 사례 42
      • 2. 신도교육의 주요 특징과 과제 52
      • 제3절 불교대학 관리 운영실태 분석 54
      • 1. 불교대학 관리자수 54
      • 2. 불교대학·대학원 주요 교육내용 56
      • 3. 불교대학·대학원 교육 요일과 시간 57
      • 4. 교육편재 및 주요강사진 59
      • 5. 교육 환경과 입학자 수 61
      • 6. 불교대학·대학원 환경 및 장·단점 64
      • 제4장 신도교육 실태 및 의식조사 분석 68
      • 제1절 응답자 특성 분석 68
      • 1. 성별, 연령별 분포 68
      • 2. 성별, 학력별 분포 69
      • 3. 신행활동 이력 71
      • 4. 응답자의 거주지역별, 직업별 분포 73
      • 5. 신도증 발급과 품계 인지여부 75
      • 제2절 불교대학 실태 파악 79
      • 1. 불교대학 입학 동기 79
      • 2. 불교대학 참여 경로 81
      • 3. 교재 난이도와 보완 분야 83
      • 4. 불교대학 교육 실태 84
      • 5. 확실하게 배우고 싶은 교과목 87
      • 제3절 불교대학 교육의 효과성 평가 88
      • 1. 인식의 변화 88
      • 2. 신도증 발급에 대한 인식도 94
      • 3. 불교대학 졸업 후의 활동 변화 96
      • 4. 불교대학 이후의 공부 욕구와 개선점 102
      • 제5장 신도교육 발전을 위한 대안 모색 105
      • 제1절 신도교육의 문제점과 과제 105
      • 제2절 신도교육 활성화를 위한 대안 모색 113
      • 제6장 결론 119
      • 참고문헌 120
      • 도표 목차
      • <표3-1> 조계종 신도교육의 체계 35
      • <표3-2> 조계사 신도교육의 내용 38
      • <표3-3> 태고종 불교대학 교육내용 40
      • <표3-4> 능인선원의 신도교육 43
      • <표3-5> 한국불교대학 대관음사(BUD)의 신도교육 45
      • <표3-6> 관법수행 과정 47
      • <표3-7> 불광사의 신도교육 49
      • <표3-8> 금강정사의 신도교육 51
      • <표3-9> 불교대학 관리자수 55
      • <표3-10> 불교대학 및 대학원 주요 교육내용 57
      • <표3-11> 불교대학 교육 요일 및 시간 58
      • <표3-12> 불교대학·대학원 교육기간 및 주요강사진 61
      • <표3-13> 불교대학·대학원 환경과 입학자수 63
      • <표3-14> 불교대학·대학원 환경 65
      • <표3-15> 불교대학·대학원의 장·단점 66
      • 〈표4-1〉 불교대학 재학생의 성별, 연령별 분포 68
      • 〈표4-2〉 불교대학 재학생의 성별, 학력별 분포 70
      • 〈표4-3〉 불교대학 재학생의 응답자 특성별 신행활동기간 분포 72
      • 〈표4-4〉 불교대학 재학생의 거주지역별 분포 73
      • 〈표4-5〉 불교대학 재학생의 직업별 분포 74
      • 〈표4-6〉 신도증 발급여부 76
      • 〈표4-7〉 신도 품계 인지도 77
      • 〈표4-8〉 신도품계 인지도에 대한 변수별 평균 비교 78
      • 〈표4-9〉 불교대학 입학동기 79
      • 〈표4-10〉 신행활동기간별 불교대학 입학동기 80
      • 〈표 4-11〉 불교대학 참여 경로 81
      • 〈표 4-12〉 학력별 불교대학 참여 경로 82
      • 〈표 4-13〉 교재 난이도에 대한 평균점 83
      • 〈표 4-14〉 교재의 보완할 분야 84
      • 〈표 4-15〉 불교대학의 교육기간 85
      • 〈표 4-16〉 불교대학의 교육시간 86
      • 〈표 4-17〉 불교대학의 교육시간(과목별) 87
      • 〈표 4-18〉 불교대학 교육의 인식변화 평균점 88
      • 〈표 4-19〉 불교대학 교육생의 자긍심 변화 89
      • 〈표 4-20〉 불교대학 교육의 소속감 변화 89
      • 〈표 4-21〉 불교대학 교육의 법회참석도 변화 91
      • 〈표 4-22〉 불교대학 교육의 재의식 인식도 변화 92
      • 〈표 4-23〉 불교대학 교육의 교리 인지도 변화 93
      • 〈표 4-24〉 신도증 발급의 필요성 평균 94
      • 〈표 4-25〉 신도증 발급의 개선점 96
      • 〈표 4-26〉 신도회 활동 참여도 변화 97
      • 〈표 4-27〉 포교활동 참여도 변화 98
      • 〈표 4-28〉 포교활동 자신감 변화 99
      • 〈표 4-29〉 자원봉사활동 참여도 변화 100
      • 〈표 4-30〉 오계정신 실천 변화 101
      • 〈표 4-31〉 불교서적 독서 실천 변화 102
      • 〈표 4-32〉 불교대학의 개선점 1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