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러시아 한인의 일상생활과 정치운동 : 국적문제를 중심으로(1905~1917)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475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styles of naturalized Koreans in Russia after the Russo-Japanese War and those of domestic Koreans in terms of employment, housing, military service, and political activities. This paper defined th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styles of naturalized Koreans in Russia after the Russo-Japanese War and those of domestic Koreans in terms of employment, housing, military service, and political activities. This paper defined the naturalization of Koreans in Russia as compatible naturalization where Koreans maintained legal affiliation to Russia and ethnic affiliation to their homeland. Newly naturalized Koreans in Russia were interested in local politics that improved the living conditions of migrants in Russia and homeland politics that resisted the colonization of Korea.
      After the Russo-Japanese War, some Koreans moved to Russia from the Korean peninsula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colonization of their homeland. They tried to establish stable employment and housing conditions through naturalization in Russia. Naturalization in Russia was a prerequisite for stable local settlement for Koreans living in Russia. At that time, Korean naturalization in Russia increased because of changes in Russia's policy toward Korea.
      As the crackdown on residence permits became stricter, and the deportation of non-naturalized people expanded, Koreans had to naturalize to secure employment. At that time, Governor General Unterberger banned non-naturalized people from renting Russian state-owned land and working in mines. Gondatti, a successor of Unterberger, seemed to ease the restrictions on employment by encouraging Koreans to naturalize in Russia. Still, naturalization was a prerequisite for employment because only naturalized and prospective naturalized people were legally employable.
      Koreans were granted rights as Russian citizens through naturalization and tried to establish conditions for stable residence. Koreans struggled to secure land to live in both urban and rural areas. Several tried to lease the site of Shinhanch'on for an extended period after the demolition of Kaech'ŏngni in Vladivostok and to pioneer farmland in the Laulyu area in an attempt to secure a residence through naturalization.
      Naturalization was accompanied by an obligation. When World War I broke out, Koreans naturalized in Russia were subject to conscription. At this time, Koreans were agitated and showed two modes of behavior: rejection and acceptance. Those who refused to enlist left the Russian territory and sought new activities in a different country. Those who accepted saw discrimination and solidarity on the battlefield. Those who remained in the rear area of battlefields preserved their organizational power by enduring structural contradictions in the war to maintain their daily lives. Those who performed military service and participated in the war secured the possibility of raising their voices on the rights of migrants in the future.
      Koreans became more politically active in Russia through naturalization. To obtain the right to enjoy being Russian citizens, local political Korean organizations were created inside the Korean community. Through these actions, Koreans negotiated with the Russian authorities to expand their rights to enjoy education and land. After the February Revolution, Koreans entered the center of politics in Russia and sought to expand their political influence.
      In addition, Koreans tried to participate in political issues in Korea regarding colonial liberation based on the legal protection obtained through naturalization in Russia. Raising arms and pens by spreading anti-Japanese sentiment among the public through homeland politics strained Japan outside the border and caused discussions on deportation as Russian authorities cracked down on Koreans in the interests of bilateral diplomacy between Russia and Japan. At the same time, however, Russian authorities' implied favor led to the inner immigration of Koreans in Russia. Furthermore, following the expansion of political rights after the February Revolution, Koreans were outspoken about the liberation of Korea and secured political territory by balancing local and homeland politic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러일전쟁 후 한인의 러시아 귀화가 취업·주거·병역·정치활동 등 현지에서의 생활방식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 탐구하는 것이다. 본고는 당시 한인의 러시아 귀화를 법률적 ...

      이 글의 목적은 러일전쟁 후 한인의 러시아 귀화가 취업·주거·병역·정치활동 등 현지에서의 생활방식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 탐구하는 것이다. 본고는 당시 한인의 러시아 귀화를 법률적 차원에서 거주국의 국민으로서 소속을 갖고 있지만, 고국의 민족적 정체성도 여전히 강하게 유지하는 양립형 귀화로 규정했다. 당시 러시아에 귀화한 한인인 신귀화자는 거주국에서 이주민의 생활조건을 개선하는 현지정치와 고국의 식민화에 저항하는 고국정치 양쪽 모두에 관심을 가진 존재였다.
      러일전쟁 후 고국의 식민지화라는 배경 속에서 한인 가운데 일부가 러시아에 이주했다. 이들은 러시아 귀화를 통해 안정적인 취업·주거 조건을 마련하고자 했다. 이러한 일반적인 결론의 이면에서 발견되는 것은 러시아 거주 한인에게 안정된 현지 정착을 위해 러시아 귀화이 필수조건이 되었다는 점이다. 당시 한인의 러시아 귀화 증가는 러시아의 대(對)한인정책의 변화 속에서 빚어졌다는 역사적 특수성이 있었다.
      거주허가증 단속이 엄격해지고 비귀화자에 대한 추방이 확대되며 이 시기 한인들에게는 취업을 위해 귀화해야 했다. 당시 운테르베르게르 총독은 비귀화자가 러시아 국유지를 임대하고 광산에서 일하는 것을 금지했다. 곤다티 총독은 한인의 러시아 귀화를 장려하여 취업제한의 기조가 완화되는 듯하였으나, 결과적으로 귀화자와 귀화예정자에게만 취업을 허가했다는 점에서 귀화는 취업에 필수조건이었다.
      한인은 귀화를 통해 러시아 국민으로서 권리를 부여받아 현지에서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하고자 했다. 한인은 도시와 농촌 모두에서 거주할 땅을 확보하기 위해 분투했다.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개척리가 철거된 후 신한촌 부지를 장기간 임대하기 위해 청원활동을 벌였던 것, 라울류 지역의 농지를 개척하고자 했던 것은 귀화를 통한 주거지 확보 시도의 사례였다.
      귀화는 의무를 수반했다. 1차세계대전이 발발하자 러시아에 귀화한 한인은 징병의 대상이 되었다. 이때 한인들은 동요하며, 거부와 수용 두 가지 행동 양식을 보였다. 징병을 거부한 이들은 러시아령을 이탈하여 제3의 공간에서 새로운 활동을 모색하였다. 반면 수용한 이들은 전장에서 차별과 연대를 보았다. 후방에 남아있는 이들은 일상을 유지하기 위해 전시체제의 구조적 모순을 견디며 조직력을 보전했다. 자리에 남아 병역을 수행하고 전시체제에 참여한 이들은 향후 현지에서 이주민의 권리신장에 대한 목소리를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확보했다.
      한인은 귀화를 통해 현지정치를 증대시켰다. 러시아 신민/국민으로서 누릴 수 있는 권리를 얻기 위해 한인사회 내부에서 민회·권업회·아령한인협회와 같은 현지정치 단체를 조직했다. 이러한 행위를 통해 한인들은 제정러시아 당국과 교섭하여 교육·토지 등 누릴 수 있는 권리를 확장해나갔고, 2월혁명 후에는 러시아 중앙과 지방의 정치에 진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며, 정치권의 확대를 꾀했다.
      또한 한인은 귀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러시아의 법률적 보호를 바탕으로 식민지 해방이라는 고국의 정치문제에 관여하고자 하였다. 고국정치를 통해 항일여론을 조성하여 무기와 펜을 드는 행동은 국경 바깥에서 일제를 긴장시키고, 러·일 양국 외교의 이해관계 속에서 한인에 대한 러시아 당국의 단속이 이뤄지며 추방논의를 야기했다. 그러나 동시에 러시아 당국의 묵시적 호의를 불러일으켜 추방조치가 러시아 영내추방으로 굴절되기도 했다. 나아가 한인들은 2월혁명 후 정치권의 확대 속에서, 고국의 식민해방 문제에 목소리를 높이고 현지정치와 고국정치를 양립시키며 정치적 영역을 확보해나갔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제1장 서 론 1
      • 1. 문제제기 및 연구의 목적 1
      • 2. 연구 현황 10
      • 목차
      • 제1장 서 론 1
      • 1. 문제제기 및 연구의 목적 1
      • 2. 연구 현황 10
      • 3. 자료 활용 및 논문의 구성 22
      • 제2장 러일전쟁 후 한인의 러시아 이주와 정착 27
      • 1. 한인의 러시아 입국절차와 체류전략 27
      • 1) 러시아 거주허가증 발급 27
      • 2) 공문서 매매·위조를 통해 본 귀화자와 비귀화자의 관계 42
      • 2. 귀화·취업 단속에 대한 한인의 대응 51
      • 1) 귀화자격 재심사를 통해 본 한러 민족문화의 충돌 51
      • 2) 국유지 임대 금지 후 한인의 사유지 유입 59
      • 3) 금광노동 제한에 대한 『대동공보』의 대응 71
      • 3. 의병활동을 통한 추방조치의 굴절 81
      • 1) 영내 의병활동 확산에 대한 러시아 관민의 태도 81
      • 2) 영외추방에서 영내추방으로의 귀결 89
      • 제3장 한일강제병합 후 한인의 러시아 귀화와 권익향상 105
      • 1. 극동 개발에서 ‘한인유용론’의 대두와 신귀화자의 형성 105
      • 1) 1911년 2월 극동이주위원회 결정안: 귀화·취업 장려 105
      • 2) 한인의 국적취득운동 전개 113
      • 2. 귀화의 정치적 효과와 러시아화 130
      • 1) 일본 신민화에 대한 방어 130
      • 2) 귀화와 러시아화의 관계 137
      • 3. 귀화를 통한 도시지역 주거안정 확보 시도 150
      • 1) 개척리 철거 논의의 기원과 도시위생 150
      • 2) 철거를 둘러싼 러시아의 두 입장 : 치안확보와 재정수입 163
      • 3) 신한촌 부지 장기임대 청원운동 170
      • 4. 귀화를 통한 취업과 토지획득 182
      • 1) 국책사업 참여: 철도공사장과 금광노동 182
      • 2) 포시에트 퇴거와 라울류 농지개척사업 196
      • 제4장 1차세계대전기 신귀화자의 정치적 역할 219
      • 1. ‘러일재전론’의 확산과 한인 정치세력의 재편 219
      • 1) 망명자의 결집 방식 : 정세판단 219
      • 2) 망명자와 정주유력자의 관계 232
      • 2. 망명귀화자의 간도 네트워크 활용 241
      • 1) 1차 세계대전기 일본의 정치범 인도 요구와 한계 241
      • 2) 중러 한인사회의 연대 250
      • 3. 신귀화자의 러시아 전시체제 참여 257
      • 1) 징병령을 둘러싼 두 입장 : 거부와 수용 258
      • 2) 한인의 전장 경험 : 차별과 연대 268
      • 3) 전시체제기 한인의 일상유지와 후방지원 275
      • 4. 러시아 2월혁명 후 신귀화자의 정치적 역할 291
      • 1) 2월혁명에 대한 국적별 한인의 태도 291
      • 2) 아령한인협회의 조직과 균열 301
      • 3) 신귀화자의 『한인신보』그룹화와 그 역할 316
      • 제5장 결 론 335
      • 참고문헌 34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