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창조'는 바울서신 중 갈라디아 6:15, 고린도후서 5:17에 두 번 등장한다. 하지만 이 용어가 바울의 신학에 있어서 가지는 중요성은 이와 비교할 수 없다. '새 창조'는 바울의 구원론과 종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670312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2
학위논문 (석사) --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 신학과 신약학 , 2012.2
2012
한국어
227.06 판사항(21)
서울
66 p.; 30 cm
참고문헌: p. 60-6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새 창조'는 바울서신 중 갈라디아 6:15, 고린도후서 5:17에 두 번 등장한다. 하지만 이 용어가 바울의 신학에 있어서 가지는 중요성은 이와 비교할 수 없다. '새 창조'는 바울의 구원론과 종말...
'새 창조'는 바울서신 중 갈라디아 6:15, 고린도후서 5:17에 두 번 등장한다. 하지만 이 용어가 바울의 신학에 있어서 가지는 중요성은 이와 비교할 수 없다. '새 창조'는 바울의 구원론과 종말론의 키워드이다.
바울의 '새 창조'는, 전승사적으로 볼 때, 구약성서 중 이사야에서 온 것이며, 초기 유대교를 거쳐 예수에게, 그리고 바울에게까지 이어진다.
바울의 '새 창조'는 그의 종말론적 구원론을 가장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용어다. 그 속에는 인간론적인 의미와 함께 우주론적인 의미가 내포되어 있으며, 그리스도 사건에서 이 둘이 하나로 통합되어 나타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