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리영희, "대화", 서울: 한길사, 2005
2 정경모, "시대의 불침번", 서울: 한겨레출판사, 2010
3 송혜원, "미군 통역들의 문학사", 동방학지, 192, 25-48, 2020
4 유기웅,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 박영사, 2012
5 van Dijk, T. A, "Ideology and discourse analysis", 11(2), 115-140, 2006
6 Baker, M., "Reframing Conflict in Translation", 17(2), 151– 169, 2007
7 곽차섭, "다시, 미시사란 무엇인가", 서울: 푸른역사, 2017
8 van Dijk, T. A, "What is political discourse analysis", 11(1), 11-52, 1997
9 van Dijk, T. A, "Principles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4(2), 249-283, 1993
10 van Dijk, T. A, "Political discourse and political cognition", 203, 203-237, 2002
1 리영희, "대화", 서울: 한길사, 2005
2 정경모, "시대의 불침번", 서울: 한겨레출판사, 2010
3 송혜원, "미군 통역들의 문학사", 동방학지, 192, 25-48, 2020
4 유기웅,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 박영사, 2012
5 van Dijk, T. A, "Ideology and discourse analysis", 11(2), 115-140, 2006
6 Baker, M., "Reframing Conflict in Translation", 17(2), 151– 169, 2007
7 곽차섭, "다시, 미시사란 무엇인가", 서울: 푸른역사, 2017
8 van Dijk, T. A, "What is political discourse analysis", 11(1), 11-52, 1997
9 van Dijk, T. A, "Principles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4(2), 249-283, 1993
10 van Dijk, T. A, "Political discourse and political cognition", 203, 203-237, 2002
11 Baker, M.,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in the War Zone", 16 (2), 197-222, 2010
12 Ainsworth, S., & Hardy, C.,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nd identity: Why bother?", 1(2), 225-259, 2004
13 박소영, "미군정기 통역정치 : 이묘묵을 중심으로", 통번역학연구, 23(2), 93-116, 2019
14 조준형, "번역연구에서 코퍼스의 본질:정량과 정성", 번역학연구, 16(2), 293- 316, 2015
15 Blom, J. P., & Gumperz, J.J, "Social meaningin linguistic structure: Codeswitchingin Norway", 111-136, 1972
16 Moira Inghilleri, "The ethical task of the translator in the geo-political arena", 1(2), 212-223, 2008
17 곽중철, 마승혜, "한국의 군사 통역 현황과 장래 교육 방향 연구", 통번역학연구, 19(1), 1-19, 2015
18 문제안, "8.15의 기억-해방 공간의 평경, 40인의 역사 체험", 서울: 한길사, 2005
19 김보영, "전쟁과 휴전: 휴전회담 기록으로 읽는 한국전쟁", 서울: 한양대학교 출판부, 2016
20 Footitt, H., "Incorporating languages into histories of war: a research journey", 5 (2), 217-231, 2012
21 Zhang, M. & Munday, J, "Innovation in discourse analytic approaches to translation studies", 26(2), 159-165, 2018
22 Wolf, M., "Translation ‘going social’? Challenges to the (Ivory) Tower of Babel", 2, 29–46, 2010
23 고선정, "한국전쟁기 휴전 회담에서 통역사의 역할에 대한 일고찰", 한국근현대사연구, 94, 173-197, 2020
24 이원표, "친박 연대의 혼성적 정치 정체성에 대한 비평적 담화분석", 담화와 인지, 17(3). 163-200, 2010
25 이행선, "해방공간 미국 대리자의 출현, 조선의 미국화와 책임정치", 한국문학연 구, 45, 269-304, 2013
26 윤혜준, "하므렡의 번역자 설정식과 연희 전문 문과의 영어영문학 교육.", 동방학지, (168), 215-240, 2014
27 Garsten, C., & Grey, C., "How to Become Oneself: Discourses of Subjectivity in Post-bureaucratic Organizations", 4(2), 211–228, 1997
28 박헌일, "한국의 군사 통역 품질 평가에 대한 고찰 : 통역 장교의 평가 결과물 보고", 통 번역학연구, 19(2), 159-181, 2015
29 이창수, "노무현 전 대통령의 연설문에 나타난 정체성 연구-비평담화분석 관점에서-", 담화와인지, 15(2), 143-161, 2008
30 임세화, "불통 (不通) 의 언어, 번역된 정치-해방기 통역정치와 문학의 언어를 중심 으로", 사이間 SAI, (26), 55-95, 2019
31 이혜승, "노한 칼럼 번역에 대한 비평적 담화분석 접근 - 우크라이나 사태 칼럼을 중 심으로", 통역과 번역, 17(1), 125-150, 2015
32 조은애, "통역/번역되는 냉전의 언어와 영문학자의 위치-1945~ 1953 년, 설 정식의 경우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 45, 7-51, 2013
33 최효은, "한국 전쟁 정전협상 통역은 누가 했을까 : 초기 개신교 선교사 언더 우드의 손자 형제를 중심으로", 통번역학연구, 23(1), 169-199, 2019
34 송연석, "제도적 번역으로서의 외신편역에 대한 비판적 연구-정부와 언론사 간 권력 관계와 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박사학위 논문",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2013
35 Kim, E. G., "English educational policies of the U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from 1945 to 1948 and their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English language teachingin Korea", 10 (3), 193-220, 2011
36 이상빈, "해외에서 활동하는 한국의 스포츠 선수들은 어떻게 번역되는가? 국내 멀티 미디어 스포츠 신문기사에 관한 비평적 담화분석", 통역과 번역, 20(3), 49-74, 2018
37 박소영, "다국어 미디어 텍스트 생산의 새로운 층위로서의 번역에 대한 CDA적 접근 : 미국 이민법 시위와 관련한 VOA 뉴스의 영어, 스페인어, 한국어 텍스트를 중심으로", 통번역학연구, 11(1), 31-52,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