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세계 각국은 제4차 산업혁명의 일환으로 제조업을 강화하기 위한 국가적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제조는 기존의 제조업 경쟁력 향상과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520180
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 2020. 2
2020
한국어
서울
A study on the level diagnosis and recognition of smart factory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89 p. : 삽화, 표 ; 30 cm
지도교수: 박혜경
참고문헌 : p. 77-79
I804:11040-00000015779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세계 각국은 제4차 산업혁명의 일환으로 제조업을 강화하기 위한 국가적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제조는 기존의 제조업 경쟁력 향상과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
최근 세계 각국은 제4차 산업혁명의 일환으로 제조업을 강화하기 위한 국가적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제조는 기존의 제조업 경쟁력 향상과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전통 제조 산업에 ICT(Information communi- cation technology)를 결합한 제조기술이다. 이를 통해, 제품의 기획, 설계, 생산, 유통, 판매등 전 과정을 ICT 기술로 통합함으로써 최소 비용과 시간으로 고객 맞춤형 제품 생산 능력을 갖출 수 있다. 기업에서 스마트 팩토리를 구축하려는 이유는 결국 생산성 향상, 효율성 제고, 이윤창출이 목적이다. 3차 산업시대 초, 소품목 대량생산 체제에서 각 기업은 이윤창출이 가능했으나, 제약 산업의 현재는 많은 경쟁사들과 동일 주성분의 제네릭 의약품의 과열 경쟁이 치열하며, 공급자 중심이 아닌, 환자와 의사 중심으로 트렌드가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제약회사별 스마트공장 구축에 대한 인식조사 및 구축현황을 진단해보았으며, 현업 종사자들의 스마트공장에 대한 필요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제조업 강화를 위한, 정부와 기업 간의 협력방향을 모색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설문은 제약회사 현재 종사자로 한정했다. 설문은 총 95개를 배포했고, 65개 회수되었다. 그중 화장품 회사, 동일회사 다수 응답건등 22개를 제외하고, 43개(45.3%)로 분석하였다. 설문의 구성은 개인의 일반적인 사항, 회사의 일반적인 사항, 스마트공장 인식조사, 스마트공장 수준 진단으로 진행하였다.
스마트공장 인식조사에서, 현업 종사자들은 스마트팩토리가 모두 필요하다는 것에는 동의했다. 그러나 현실적인 어려움에 대해서는 대표의 의지 및 이해부족, 비용문제, 전문인력부족, 정보부족, 다품목 소량생산, GMP와 품질관리등 제약 산업 특성의 문제를 언급했다. 또한, 어떻게 구현해야 할지에 대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홍보와 교육, 전문가 육성, 컨설팅 지원, 자금 및 세제혜택등을 언급했다.
스마트공장비젼 2025에서 제시된 수준별 패키지 구성 예시의 단계별 Software와 매출규모별 구축 Software를 비교한 결과, 매출규모 약 750억 정도부터는 자동화 구축을 위한 Software들을 상당 구축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의 분석 설문 43개사중 매출규모 250억이하인 4개사를 제외한 39개사가 [그림5-1], 국내 전체 제약회사 매출규모 천억이상인 86개사의 약 45.3%에 해당함으로, 본 연구가 대표성을 가진다고 할수 있겠다. 매출규모가 클수록 스마트공장 수준도 높았으며, 생산공정에 구축된 Software 역시 많이 갖추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체 제약업계중 매출규모 100억미만(그림 5-2)이 68.6%에 해당하는 제약업계 현실은 기초단계임이 본 논문에서 확인되었다. 스마트팩토리 수준 진단 결과, 제약기업에서는 ICT 미적용 단계(Level 0)는 없었다. 기초1~2단계(Level 1~2)은 17개사(39.5%), 20개사(46.5%)로 총 37개사(86.0%)였고, 중간1~2단계(Level 3~4)은 4개사(9.3%), 2개사(4.7%)로 총 6개사(14.0%)였다.
스마트공장은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완전 새로운 개념으로 보는 경우와, 공장 자동화의 연장선에서 보는 경우가 있다. 본 논문은 공장 자동화의 연장선에서의 스마트공장에 대해 연구했다. 공장 자동화의 수준이 높다고 해도, Sensor로 연동되어, 모니터링부터 최적화까지 자율로 운영되는 완벽한 스마트 팩토리를 구축하려면, 제약산업군만의 특성(GMP, 품질관리, 다품종 소량생산)을 고려한 표준모델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