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금속과 옻칠을 혼용(混用)한 장신구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3323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장신구는 착용자의 치장 욕구 해소와 작품을 제작하는 작가의 표현 욕구를 모두 충족시키고자 한다. 기존의 일반적인 장신구 재료인 금속과 함께 개성을 살릴 수 있는 다양한 재료의 혼용으로 새로운 장신구가 속속 나타나고 있듯 장신구는 사회의 흐름에 따라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볼 때 옻칠은 기존과 차별화된 장신구를 제작하기 적합한 재료라 할 수 있다. 옻칠의 풍부한 색감과 장식기법과 함께 금태칠(金胎漆)기법, 여러 형태로 가공한 금속 재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금속과의 결합을 시도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해 시행착오를 겪었던 옻칠 개체와 금속 개체를 접합하는 방법을 해결함으로 새로운 조형성을 얻을 수 있었다. 그 결과 곡선미의 형태를 중심으로 총 7점의 작품을 브로치(Broach), 펜던트(Pendant), 반지(Ring) 세 가지 품목으로 전개하였다.

      본 연구는 장신구 개념의 변화에 따라 장신구 제작에 있어, 일반적인 재료인 금속과 다른 공예재료의 결합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효과를 창출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장신구에 있어 재료의 혼용에서 오는 장점을 알고, 금속에 옻칠을 다양한 방법으로 혼용하여 나타나는 조형적 표현의 가능성을 제시, 기존과 차별화된 현대적이고 세련된 장신구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옻칠을 장신구의 재료로 사용하여 나타나는 장점을 통해 보다 대중적이고 친근한 장신구 재료로 옻칠의 사용 범위를 넓히는데 목적이 있다.
      금속과 옻칠이 결합된 장신구 개발이 현대인들이 추구하는 자신의 개성을 표출하는 장신구로의 발전을 기대하며, 장신구의 재료로 옻칠을 사용하여 옻칠의 사용범위를 확장하고 시장 활성화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현대 장신구는 착용자의 치장 욕구 해소와 작품을 제작하는 작가의 표현 욕구를 모두 충족시키고자 한다. 기존의 일반적인 장신구 재료인 금속과 함께 개성을 살릴 수 있는 다양한 재료의 ...

      현대 장신구는 착용자의 치장 욕구 해소와 작품을 제작하는 작가의 표현 욕구를 모두 충족시키고자 한다. 기존의 일반적인 장신구 재료인 금속과 함께 개성을 살릴 수 있는 다양한 재료의 혼용으로 새로운 장신구가 속속 나타나고 있듯 장신구는 사회의 흐름에 따라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볼 때 옻칠은 기존과 차별화된 장신구를 제작하기 적합한 재료라 할 수 있다. 옻칠의 풍부한 색감과 장식기법과 함께 금태칠(金胎漆)기법, 여러 형태로 가공한 금속 재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금속과의 결합을 시도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해 시행착오를 겪었던 옻칠 개체와 금속 개체를 접합하는 방법을 해결함으로 새로운 조형성을 얻을 수 있었다. 그 결과 곡선미의 형태를 중심으로 총 7점의 작품을 브로치(Broach), 펜던트(Pendant), 반지(Ring) 세 가지 품목으로 전개하였다.

      본 연구는 장신구 개념의 변화에 따라 장신구 제작에 있어, 일반적인 재료인 금속과 다른 공예재료의 결합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효과를 창출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장신구에 있어 재료의 혼용에서 오는 장점을 알고, 금속에 옻칠을 다양한 방법으로 혼용하여 나타나는 조형적 표현의 가능성을 제시, 기존과 차별화된 현대적이고 세련된 장신구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옻칠을 장신구의 재료로 사용하여 나타나는 장점을 통해 보다 대중적이고 친근한 장신구 재료로 옻칠의 사용 범위를 넓히는데 목적이 있다.
      금속과 옻칠이 결합된 장신구 개발이 현대인들이 추구하는 자신의 개성을 표출하는 장신구로의 발전을 기대하며, 장신구의 재료로 옻칠을 사용하여 옻칠의 사용범위를 확장하고 시장 활성화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dern ornaments try to meet both the desire dissolution of a wearer's adornment and a creator's desires to express him[her]self.
      Like new assortments of ornaments are appearing one after another with the mix of diverse materials that can make the most of personality together with the existing ornamental material-metal, ornaments are demanding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stream. Viewed as such phenomena, Ottchil is a kind of material suited for making ornaments distinct from the previous ones. This researcher attempted at the combination with metal using a technique of varnishing metal with Ottchil and processed metallic materials in diverse forms, Together with the impression of a color and decorative technique of Ottchil. In addition, this researcher could get a new design characteristic by finding a solution to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individual for Ottchil with the metallic individual, which made the precedent research works undergo trial and error. As a result, centering on curvaceous forms, this research developed the three items-a broach, pendant and ring.

      This research, in the making of ornament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concept of ornaments, took a look at a variety of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combination of crafts materials different from general metallic materials. In such wise, being aware of the merit from the mix of materials in ornaments, and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design representation appearing by mixing the Ottchil with metal in diverse ways, this researcher is going to create modern and refined ornament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ones. Furthermore, this research is aimed at widening the using scope of Ottchil as a more popular and intimate ornamental material through the merits appearing with the use of the Ottchil as a material of ornaments.

      This researcher is going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the revitalization of Ottchil market by expanding the applications of Ottchil by using Ottchil as a material for ornaments while hoping the development of ornaments combined with metal and Ottchil will be an impetus to the progress in the ornaments that express one's own personality which modern people tend to pursue.
      번역하기

      Modern ornaments try to meet both the desire dissolution of a wearer's adornment and a creator's desires to express him[her]self. Like new assortments of ornaments are appearing one after another with the mix of diverse materials that can make the mo...

      Modern ornaments try to meet both the desire dissolution of a wearer's adornment and a creator's desires to express him[her]self.
      Like new assortments of ornaments are appearing one after another with the mix of diverse materials that can make the most of personality together with the existing ornamental material-metal, ornaments are demanding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stream. Viewed as such phenomena, Ottchil is a kind of material suited for making ornaments distinct from the previous ones. This researcher attempted at the combination with metal using a technique of varnishing metal with Ottchil and processed metallic materials in diverse forms, Together with the impression of a color and decorative technique of Ottchil. In addition, this researcher could get a new design characteristic by finding a solution to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individual for Ottchil with the metallic individual, which made the precedent research works undergo trial and error. As a result, centering on curvaceous forms, this research developed the three items-a broach, pendant and ring.

      This research, in the making of ornament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concept of ornaments, took a look at a variety of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combination of crafts materials different from general metallic materials. In such wise, being aware of the merit from the mix of materials in ornaments, and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design representation appearing by mixing the Ottchil with metal in diverse ways, this researcher is going to create modern and refined ornament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ones. Furthermore, this research is aimed at widening the using scope of Ottchil as a more popular and intimate ornamental material through the merits appearing with the use of the Ottchil as a material of ornaments.

      This researcher is going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the revitalization of Ottchil market by expanding the applications of Ottchil by using Ottchil as a material for ornaments while hoping the development of ornaments combined with metal and Ottchil will be an impetus to the progress in the ornaments that express one's own personality which modern people tend to pursu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가. 연구 목적 1
      • 나. 연구 방법 및 범위 2
      • Ⅱ. 장신구와 재료 혼용(混用) 4
      • 가. 장신구에 대한 고찰 4
      • Ⅰ. 서 론 1
      • 가. 연구 목적 1
      • 나. 연구 방법 및 범위 2
      • Ⅱ. 장신구와 재료 혼용(混用) 4
      • 가. 장신구에 대한 고찰 4
      • 1. 장신구의 개념 4
      • 2. 장신구의 재료 5
      • 나. 금속장신구 재료의 혼용 6
      • 1. 재료의 혼용현상 6
      • 2. 금속장신구 재료 혼용의 사례 7
      • Ⅲ. 금속과 옻칠의 혼용 10
      • 가. 옻칠에 대한 고찰 10
      • 나. 금속과 옻칠의 혼용 방법 11
      • 1. 금태칠기(金胎漆器) 11
      • 2. 금속을 이용한 시문 13
      • 3. 개체적(個體的) 금속과 옻칠의 결합 19
      • 다. 금속과 옻칠의 혼용과 표현 20
      • Ⅳ. 금속과 옻칠을 혼용한 장신구 23
      • 가. 선행연구 23
      • 나. 제작의도 및 전개 24
      • 1. 재료적 측면 24
      • 2. 형태적 측면 30
      • 다. 작품사진 및 설명 32
      • Ⅴ. 결 론 52
      • 참고문헌 54
      • 국문초록 56
      • ABSTRACT 5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