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공공병원 간호사의 심리적 자본, 간호업무환경이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666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apital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n Job Embeddedness of Public Hospital Nurses by Hwang Sun Mi Department of Health Service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 & Civic Engagement Kyung Hee Univers...

      <ABSTRACT>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apital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n Job Embeddedness of Public Hospital Nurses

      by Hwang Sun Mi
      Department of Health Service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 & Civic Engagement
      Kyung Hee University
      Advised by Professor Jang Mi Heui PhD, RN

      This study is descriptive survey study of nurses working in six public hospitals in Gyeonggi Province to ascertain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apitl and nursing working environment on job embeddeness.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5th to 31st, 2022 using questionnaires on psychological capital,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job embeddeness of 200 nurses working at public hospital in Gyeonggi P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4.0 program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s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d tested with the Scheffé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psychological capital of nurses in public hospitals was 3.32 points, the average of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was 2.43 points, and the average of the job embeddeness was 3.14 points.

      2. Psychological capital differed according to the subject's age(t=2.95, p=.304), marital status(F=4.29, p=.015), work experience in public hospitals(F=2.72, p=.031), and position(F=3.14, p=.046). The post-mortem examination showed that nurses over 50 years old had higher psychological capital than nurses under 30 years old and 30~39 years old,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marital status, work experience in public hospitals, and position.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differs according to the age of the subject, and the post-mortem test showed that nurses over the age of 50 years old have a more positive perception of their nursing work environment than nurses aged 30~39 years old. Job embeddeness varies according to the age (t=10.39, p<.001), marital status(F=5.24, p=.006), public hospital work experience (F=4.26, p=.003), and position(F=7.98, p<.001) of the subject, and post-test results showed that chief nurses has higher job embeddeness than aged 50 years old or older nurses, nurses with more than 20 years of work experience in public hospitals and staff nurses.

      3. After checking the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with job embeddeness, it was found that all four sub-factors of psychological capital, self-efficacy (r=.56, p<.001), optimism (r=.63, p<.001), hope (r=.68, p<.001), and resilience (r=.62,p<.001), which ar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capital,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embeddeness,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job embeddeness, all five sub-factors of nurses' participation in hospital policies (r = .60, p<.001), adequacy of personnel and resources (r=.63, p<.001), foundation for quality nursing (r=.68, p<.001), nursing managers' competence, leadership and support (r=.58, p<.001), and nurse-physician partnerships (r=.49, p<.001)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embeddeness.

      4.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n the subject's job embeddenes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which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are age, marital status, public hospital experience, position and psychological capital, and all five nursing work environment sub-factors are put into in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gression analysis model of job embeddeness is less than 30 years old (β=-.28, p=.028) and 30~39 years old (β=-2.26, p=.025), adequacy of personnel and resources (β=.21, p=.005), the foundation for quality care (β=.18, p=.048), and hope (β=.30, p<.001), which could explain job satisfaction as 64.0%. The regression equ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 = 18.70, p<.001)

      As a result of the above study,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improve the job embeddeness of nurses in public hospitals is hope, a sub-factor of psychological capital, and active program development is needed to enable nurses to have hope within the organization and increase self-elasticit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quality nursing, a sub-factor of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to properly provide manpower and resources to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nurses in public hospitals can remain in the organization.






      Key words
      public Hospital nurses, job embeddedness, psychological capital,
      nursing work environ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6개 공공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심리적자본, 간호업무환경이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2년 10월 25일부터 31일...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6개 공공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심리적자본, 간호업무환경이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2년 10월 25일부터 31일까지 경기도 소재 공공병원 근무하는 간호사 200명을 대상으로 심리적 자본, 간호업무환경, 직무착근도에 대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피어슨 상관관계수(Pearson's correlations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고,
      Scheffé test로 검정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공병원 간호사의 심리적 자본은 평균 3.32점, 간호업무환경 평균 2.43점, 직무착근도 평균 3.14점으로 나타났다.

      2. 심리적 자본은 대상자의 연령(t=2.95, p=.034), 결혼상태(F=4.29, p=.015), 공 공병원 근무경력(F=2.72, p=.031), 직급(F=3.14, p=.046)에 따라 차이가 나타 났다. 사후검정 결과 30세 미만, 30~39세의 간호사보다 50세 이상의 간호사 들이 심리적 자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결혼상태, 공공병원 근무경력, 직급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업무환경은 대상자의 연령 (t=6.22, p<.001)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 검정 결과, 50세 이상의 간호사들이 30~39세의 간호사들보다 자신의 간호업무환경을 긍정적으로 인 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착근도는 대상자의 연령(t=10.39, p<.001), 결혼상태(F=5.24, p=.006), 공공병원 근무경력(F=4.26, p=.003), 직급(F=7.98, p<.001)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후검정 결과 50세 이상 의 간호사, 공공병원 근무경력 20년 이상인 간호사, 일반간호사보다 수간호 사에서 직무착근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심리적 자본, 간호업무환경과 직무착근도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대상 자의 심리적 자본은 직무착근도와의 관계에서 심리적 자본의 하부요인인 자 기효능감(r=.56, p<.001), 낙관성(r=.63, p<.001), 희망(r=.68, p<.001), 탄력성 (r=.62, p<.001)의 4가지 하부요인이 모두 직무착근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업무환경과 직무착근도의 관계에서 간호업무환경 의 하부요인인 간호사의 병원정책참여(r=.60, p<.001), 인력과 자원의 적절성 (r=.63, p<.001),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r=.68, p<.001), 간호관리자의 능 력, 리더쉽과 지지(r=.58, p<.001),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r=.49, p<.001) 의 5가지 하부요인 모두가 직무착근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4. 대상자의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직무착근도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난 일반적 특성인 연령과 결혼상태, 공공병원 경력, 직급과 심리적 자본 하위요인 4가지와 간호업무환경 하위요인 5가지를 모두 독립변수로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착근도의 회귀분석 모형은 30세 미만(β=-.28, p=.028)과 30~39세(β=-2.26, p=.025), 인력과 자원의 적절성(β=.21, p=.005),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β=.18, p=.048), 희망(β=.30, p<.001)로 나타났으며, 이 모형은 직무만족도를 64.0%로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방정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F=18.70, p<.001)

      이상의 연구 결과 공공병원 간호사의 직무착근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인은 심리적 자본의 하위요인인 희망이며, 간호사가 조직 내에서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자아 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적극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간호업무환경의 하부요인인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인력과 자원의
      적절한 공급을 통해 간호의 질을 높여 공공병원 간호사가 조직 내 잔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5
      • 3. 용어의 정의 6
      • 1)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5
      • 3. 용어의 정의 6
      • 1)
      • 심리적 자본 6
      • 2) 간호업무환경 6
      • 3) 직무착근도 7
      • Ⅱ. 문헌고찰 8
      • 1. 간호사의 직무착근도 8
      • 2. 간호사의
      • 심리적 자본과 직무착근도 11
      • 3. 간호사의 간호업무환경과 직무착근도 13
      • Ⅲ. 연구의 개념적 기틀 15
      • 1. 연구의 개념적 기틀 15
      • Ⅳ. 연구 방법 17
      • 1. 연구 설계 17
      • 2. 연구 대상 17
      • 3. 연구 도구 18
      • 4. 자료수집과 윤리적 고려 21
      • 5. 자료 분석 22
      • Ⅴ. 연구결과 23
      • 1. 공공병원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23
      • 2. 공공병원 간호사의 심리적 자본, 간호업무환경, 직무착근도의 정도 25
      • 3. 공공병원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심리적 자본, 간호업무환경,
      • 직무착근도의 차이 27
      • 4. 공공병원 간호사의 심리적 자본, 간호업무환경, 직무착근도의 상관관계 30
      • 5. 공공병원 간호사의 직무착근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2
      • Ⅵ. 논의 34
      • Ⅶ. 결론 및 제언 41
      • 참고문헌 44
      • <부 록> 53
      • ABSTRACT 60
      • < 표 목 차 >
      •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4
      • <표 2> 대상자의 심리적 자본, 간호업무환경, 직무착근도의 정도 26
      • <표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심리적 자본, 간호업무환경,
      • 직무착근도의 차이 28
      • <표 4> 대상자의 심리적 자본, 간호업무환경, 직무착근도의 상관관계 31
      • <표 5> 대상자의 직무착근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