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생들의 의식변화 : 1989년에서 2009년까지, 신학춘추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36071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1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 (석사) --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 신학과 , 2011.2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207.11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107 p.; 30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107

      • 소장기관
        • 장로회신학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신학춘추는 장로회신학대학교 신문이다. 1965년에 창간된 이후로 46년을 지내오면서 장신대의 안과 밖에서 논의되는 신학적 담론과 목회 현장에서 접하는 다양한 관심들을 학생들의 시선과 이해를 바탕으로 기록하여 왔다. 또한 동시대에 일어났던 사회적 이슈들에도 성실히 응답해왔으며 거기에 머무르지 않고 신학의 틀로 재해석하고 실천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춘추의 역사를 살피는 목적은 먼저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생들의 의식의 형성과정을 살피고 그 흐름이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 밝히고자 함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신학춘추를 한국기독교 현대사의 흐름과 함께 한 중요한 언론으로서 그 역할을 감당해왔음을 알리고자 함이다.
      번역하기

      신학춘추는 장로회신학대학교 신문이다. 1965년에 창간된 이후로 46년을 지내오면서 장신대의 안과 밖에서 논의되는 신학적 담론과 목회 현장에서 접하는 다양한 관심들을 학생들의 시선과 ...

      신학춘추는 장로회신학대학교 신문이다. 1965년에 창간된 이후로 46년을 지내오면서 장신대의 안과 밖에서 논의되는 신학적 담론과 목회 현장에서 접하는 다양한 관심들을 학생들의 시선과 이해를 바탕으로 기록하여 왔다. 또한 동시대에 일어났던 사회적 이슈들에도 성실히 응답해왔으며 거기에 머무르지 않고 신학의 틀로 재해석하고 실천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춘추의 역사를 살피는 목적은 먼저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생들의 의식의 형성과정을 살피고 그 흐름이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 밝히고자 함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신학춘추를 한국기독교 현대사의 흐름과 함께 한 중요한 언론으로서 그 역할을 감당해왔음을 알리고자 함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A. 연구목적 1
      • B. 연구방법 1
      • 1. 시대구분 1
      • 2. 주제분류 2
      • Ⅰ. 서 론 1
      • A. 연구목적 1
      • B. 연구방법 1
      • 1. 시대구분 1
      • 2. 주제분류 2
      • C. 연구의 한계 2
      • D. 일러두기 3
      • Ⅱ. 제 4 기 : 1989년 1998년 4
      • A. 개괄 4
      • B. 신학적관심 5
      • 1. 토착화 신학 5
      • 2. 통일 및 민족신학 7
      • 3. 선교신학 9
      • 4. 생태신학 10
      • 5. 기독교윤리 11
      • C. 목회적관심 13
      • 1. 교회교육 13
      • 2. 도시빈민 및 산업선교 14
      • 3. 농어촌 선교 17
      • 4. 윤락여성 18
      • 5. 여교역자 문제 19
      • 6. 음악목회 21
      • 7. 이단문제 23
      • 8. 장애인선교 25
      • 9. 북한선교. 26
      • D. 학생운동 27
      • 1. 4. 19 혁명과 5.18광주 민중 항쟁의 재조명 27
      • 2. 학내 민주화 운동. 28
      • a. 총학생회 활동 29
      • b. 동아리활동 31
      • c. 학생복지문제 32
      • d. 졸업 후 진로문제 34
      • e. 등록금문제 34
      • E. 학교발전과정 35
      • 1. 학교이전 문제와 신축 35
      • 2. 교육개방 및 교육개혁. 38
      • F. 주요기타기사 39
      • 1. 문익환 목사 방북 39
      • 2. IMF 시대. 41
      • Ⅲ. 제 5 기 : 1999년 2009년 43
      • A. 개괄 43
      • B. 신학적 관심 44
      • 1. 기독교와 사회문화 44
      • 2. 통전적 신학 48
      • 3. 통일신학과 한국적 신학 50
      • 4. 에큐메니칼 신학 52
      • 5. 선교신학 53
      • 6. 영성신학 56
      • 7. 여성신학. 57
      • 8. 생태신학 58
      • 9. 종교다원주의 59
      • 10. 목회상담학 60
      • C. 목회적 관심 61
      • 1. 소외된 자들에 대한 관심 61
      • a. 외국인노동자 선교 61
      • b. 농어촌 선교 62
      • c. 장애인선교 63
      • d. 도시빈민선교 63
      • 2. 교회교육 64
      • 3. 여교역자 문제 68
      • 4. 교회개혁 70
      • 5. 이단 72
      • 6. 영성 목회 74
      • 7. 찬양사역 76
      • 8. 탈북자 및 북한 선교와 중국 조선족 선교 77
      • 9. 사회 및 정치참여 79
      • 10. 선교현장 81
      • 11. 교육전도사 83
      • D. 학생운동 84
      • 1. 학생 활동 84
      • a. 자치회 활동 84
      • b. 동아리활동 84
      • 2. 학생복지 문제 86
      • 3. 학생진로문제 89
      • E. 학교발전과정 90
      • 1. 학교발전 계획 90
      • 2. 학교 건축 현황 93
      • 3. 신학학술 대회 및 세미나 95
      • a. 100주년 기념 학술세미나 96
      • b. 이종성박사 기념 신학강좌 96
      • c. 국제 학술대회 97
      • d. 소망 신학포럼 98
      • e. 한일 신학자 학술회의 100
      • F. 주요기타기사 100
      • 1. 한국교회와 제례문제 100
      • 2. 1907년 평양 대부흥 100주년과 한국교회 102
      • Ⅳ결론 104
      • 부록 : 신학춘추 명단 106
      • 참고문헌 1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