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령자를 위한 인터넷용 한글 점폰트 개발 = (A) bitmap font for senier internet us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874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ime has come to buy and sell the fonts for internet to express one's own sensitivity. 21st century is the era of information as well as the aging society. The tendency has been progressing rapidly especially in Korea. As a result of this, the problems of the aged are social problems as well as household and individual problems. Among them, the gap of information has risen.
      Not like the previous senior generation, the present seniors at the time of retirement participate in social meetings and pastime activities. They are also related to the administrative services for the real estate and investment. These kinds of life style are closely related to the practical use of internet. However, a lot of web sites are oriented for the young, so when the seniors have to check web sites, they should wear glasses or full their faces.
      Due to the increase of the average life span, the age of the internet users also has increased. Therefore, this thesis reconfigured the concepts of senio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bodies and noticed that the seniors have to full their faces when they watch the letters on internet. This thesis also tried to help them when they use internet by considering the universal aspect when designig font for internet use. Therefore, I analysed Dodumchae which seniors prefer and suggested the developed and comfortable Korean font for internet which can help narrow the generation gap which is cause by the estrangement from the information in the era of information.
      번역하기

      The time has come to buy and sell the fonts for internet to express one's own sensitivity. 21st century is the era of information as well as the aging society. The tendency has been progressing rapidly especially in Korea. As a result of this, the pro...

      The time has come to buy and sell the fonts for internet to express one's own sensitivity. 21st century is the era of information as well as the aging society. The tendency has been progressing rapidly especially in Korea. As a result of this, the problems of the aged are social problems as well as household and individual problems. Among them, the gap of information has risen.
      Not like the previous senior generation, the present seniors at the time of retirement participate in social meetings and pastime activities. They are also related to the administrative services for the real estate and investment. These kinds of life style are closely related to the practical use of internet. However, a lot of web sites are oriented for the young, so when the seniors have to check web sites, they should wear glasses or full their faces.
      Due to the increase of the average life span, the age of the internet users also has increased. Therefore, this thesis reconfigured the concepts of senio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bodies and noticed that the seniors have to full their faces when they watch the letters on internet. This thesis also tried to help them when they use internet by considering the universal aspect when designig font for internet use. Therefore, I analysed Dodumchae which seniors prefer and suggested the developed and comfortable Korean font for internet which can help narrow the generation gap which is cause by the estrangement from the information in the era of inform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시대는 바야흐로 인터넷상에서 자신의 감성을 표현하기 위해서 인터넷용 글꼴을 사고파는 시대가 되었다. 21세기는 정보화사회이기도 하지만 고령화사회이며 대한민국은 예상보다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우리사회가 점차 고령화 사회로 접어듦에 따라 현대사회에서의 노인문제는 가족이나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문제이며, 그 중에서도 정보화 격차 문제가 큰 무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전의 고령자들과는 다르게 요즘의 사회적으로 은퇴 전후의 시기에 있는 고령자층은 그동안 이루어 온 사회적 기반과 경제적 안정으로 친목모임이나 취미활동이 매우 활발하며 각종 재테크에 따른 부동산, 투자정보 등의 처리를 위한 행정서비스와도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그들의 라이프스타일은 인터넷의 활용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있다. 그러나 많은 웹페이지들이 주로 젊은이들 위주로 계획되고 제작되어 고령자가 웹페이지를 보려면 돋보기를 쓰거나 찡그린 채 봐야한다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국민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네티즌도 고령화가 이루어졌다. 그에따라 노인의 개념과 신체적 특징을 재조명 해 보고 그들이 글자를 볼 때 한참을 찡그려야 볼 수 있게되는 점에 착안하여 이 논문에서는 인터넷용 한글폰트를 디자인함에 있어서 한번 더 생각해 보아야 할 유니버설의 측면을 검토해 봄으로써 고령자들이 인터넷을 이용하는데에 있어서 좀 더 편리한 이용을 유도하고자 한다. 그래서 고령자들이 선호하는 돋움체를 집중적으로 분석해 보았으며 한결 보기 편한, 조금 더 발전된 방향을 가진 정보화 시대에 정보소외로 인한 세대간의 격차를 줄일 수 있는, 고령자를 위한 인터넷용 한글꼴을 제안한다.
      〈서론〉에서 연구자는 연구 배경과 목적 및 방법을 밝혔으며 연구방법은 선행된 문헌연구와 사례분석을 함께 하였다.
      〈1장〉에서 대한민국이 빠르게 진입하고 있는, 고령자들이 살고있는 고령화 사회에 대해서 알아 보았다. 또한 고령자들의 인터넷 이용 현황과 신체적 특징 중에서도 시력에 관한것을 집중적으로 알아보았다.
      〈2장〉에서는 인터넷용 한글꼴의 개념과 현재 대표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 굴림체, 돋움체, 바탕체를 대상으로 하여 각 낱자의 크기와 공간배분과 변별력에 대해 집중적으로 관찰해 보았다. 그리고 고령자의 시각으로 굴림체, 돋움체, 바탕체가 웹페이지에서 적용된 것을 보았을 때 보이게 되는 특성들을 관찰해 보았다.
      〈3장〉에서는 앞장에서 분석한 것들 중 문제점이 되는 부분을 보완하고 개선하여 고령자가 읽기에 불편함이 줄어든 이 논문의 핵심인 고령자를 위한 인터넷용 한글 점폰트의 개발을 제안한다.
      번역하기

      시대는 바야흐로 인터넷상에서 자신의 감성을 표현하기 위해서 인터넷용 글꼴을 사고파는 시대가 되었다. 21세기는 정보화사회이기도 하지만 고령화사회이며 대한민국은 예상보다 고령화...

      시대는 바야흐로 인터넷상에서 자신의 감성을 표현하기 위해서 인터넷용 글꼴을 사고파는 시대가 되었다. 21세기는 정보화사회이기도 하지만 고령화사회이며 대한민국은 예상보다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우리사회가 점차 고령화 사회로 접어듦에 따라 현대사회에서의 노인문제는 가족이나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문제이며, 그 중에서도 정보화 격차 문제가 큰 무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전의 고령자들과는 다르게 요즘의 사회적으로 은퇴 전후의 시기에 있는 고령자층은 그동안 이루어 온 사회적 기반과 경제적 안정으로 친목모임이나 취미활동이 매우 활발하며 각종 재테크에 따른 부동산, 투자정보 등의 처리를 위한 행정서비스와도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그들의 라이프스타일은 인터넷의 활용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있다. 그러나 많은 웹페이지들이 주로 젊은이들 위주로 계획되고 제작되어 고령자가 웹페이지를 보려면 돋보기를 쓰거나 찡그린 채 봐야한다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국민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네티즌도 고령화가 이루어졌다. 그에따라 노인의 개념과 신체적 특징을 재조명 해 보고 그들이 글자를 볼 때 한참을 찡그려야 볼 수 있게되는 점에 착안하여 이 논문에서는 인터넷용 한글폰트를 디자인함에 있어서 한번 더 생각해 보아야 할 유니버설의 측면을 검토해 봄으로써 고령자들이 인터넷을 이용하는데에 있어서 좀 더 편리한 이용을 유도하고자 한다. 그래서 고령자들이 선호하는 돋움체를 집중적으로 분석해 보았으며 한결 보기 편한, 조금 더 발전된 방향을 가진 정보화 시대에 정보소외로 인한 세대간의 격차를 줄일 수 있는, 고령자를 위한 인터넷용 한글꼴을 제안한다.
      〈서론〉에서 연구자는 연구 배경과 목적 및 방법을 밝혔으며 연구방법은 선행된 문헌연구와 사례분석을 함께 하였다.
      〈1장〉에서 대한민국이 빠르게 진입하고 있는, 고령자들이 살고있는 고령화 사회에 대해서 알아 보았다. 또한 고령자들의 인터넷 이용 현황과 신체적 특징 중에서도 시력에 관한것을 집중적으로 알아보았다.
      〈2장〉에서는 인터넷용 한글꼴의 개념과 현재 대표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 굴림체, 돋움체, 바탕체를 대상으로 하여 각 낱자의 크기와 공간배분과 변별력에 대해 집중적으로 관찰해 보았다. 그리고 고령자의 시각으로 굴림체, 돋움체, 바탕체가 웹페이지에서 적용된 것을 보았을 때 보이게 되는 특성들을 관찰해 보았다.
      〈3장〉에서는 앞장에서 분석한 것들 중 문제점이 되는 부분을 보완하고 개선하여 고령자가 읽기에 불편함이 줄어든 이 논문의 핵심인 고령자를 위한 인터넷용 한글 점폰트의 개발을 제안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i
      • 목차 = iii
      • 서론 = 1
      • 1.1. 연구배경 = 1
      • 1.2. 연구목적 및 방법 = 3
      • 국문요약 = i
      • 목차 = iii
      • 서론 = 1
      • 1.1. 연구배경 = 1
      • 1.2. 연구목적 및 방법 = 3
      • 1. 고령화 시대와 현대의 디자인 = 5
      • 1.1. 고령자의 개념과 특징 = 5
      • 1.2. 고령화 사회 = 12
      • 1.3. 고령자의 인터넷 이용 = 14
      • 1.4. 고령자를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 19
      • 2. 인터넷용 한글꼴 = 22
      • 2.1. 인터넷용 한글꼴의 개념과 특징 = 23
      • 2.2. 현행 인터넷용 한글꼴의 분석 = 27
      • 2.2.1. 굴림체 = 28
      • 2.2.2. 돋움체 = 32
      • 2.2.3. 바탕체 = 36
      • 3. 고령자를 위한 한글 점폰트 개발 제안 = 41
      • 3.1. 디자인 방향 = 42
      • 3.2. 개발꼴의 특성 = 43
      • 3.3. 적용 검토 = 47
      • 결론 = 49
      • 참고문헌 = 51
      • Abstract = 54
      • 부록. 16×16 개발꼴 = 5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