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형 해양보급기지(offshore supply base)의 개념적 모형과 구축전략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conceptual model and implementation for offshore supply base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6046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우리나라의 해양산업은 전반적으로 큰 위기를 맞고 있다.
      전통적인 해양산업인 해운과 조선의 침체에다가 저유가 기조로 인한 해양플랜트 산업의 타격은 글로벌 강자의 위치에 있던 국내 기업들의 퇴출로 이어지고 있고, 그 여파로 국내 항만들은 물동량 증가세 둔화로 터미널들의 기능 재배치를 고려하고 있으나 새로운 수요 창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해양보급기지(OSB)를 단순히 해상플랫폼 또는 Offshore Oil & Gas 산업을 지원하는 물류기지로만 정의한다면 인접한 해양 유전이 없는 국내에 구축하는 것이 타당성을 갖지 못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OSB가 Offshore Oil & Gas 생산기지를 지원하는 기능들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 본 바, 그 하나는 소모성 자재와 생필품 등 해상플랫폼 운용을 위한 보급기능이고, 다른 하나는 설치와 유지보수 등을 위한 기술지원 기능이다. 그리고, Offshore Oil & Gas 산업의 추세로 보아 향후 OSB의 기술지원 기능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기술지원 기능에 중점을 두고 민간기업이 운영하는 OSB인 싱가포르 Loyang OSB의 성공사례를 살펴 보았다.
      한편, 해양건설업은 Offshore Oil & Gas의 설치·유지보수 작업을 포함하여 기타 해저케이블과 해상풍력 등 해양 구조물과 관련된 모든 작업을 수행하는데, 시장 규모가 조선과 해양플랜트 제작산업을 합친 것 보다 더 크다. 글로벌 해양건설시장에서 국내 기업의 점유율은 1%도 되지 않으며, 향후 성장 전망 등에 비추어 보아도 해양건설업은 한국 경제의 새로운 활력소가 될 수 있는 산업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OSB의 지원대상 범위를 해양건설업으로 규정하고 살펴 보았는데, 이 영역은 Offshore Oil & Gas에 대한 기존 OSB들의 기술지원 기능은 물론, 국내 해양건설업체들의 주력 사업 분야를 포함하며, 해양 유전과의 지리적 근접성 요소가 적기도 하다. 기존의 OSB에서도 기술지원 기능의 직접적인 수요자는 해양건설업체이므로, 해양건설업 전반을 지원하는 OSB가 국내에 구축된다면, 국내 해양건설업 성장에 도움이 되고 항만으로서는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는 효과를 거두게 될 것이며, 장기적으로 기존 해외 OSB들과 같은 경쟁력을 갖게 될 것이다.
      국내에 구축하는 한국형 OSB의 모형을 도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OSB의 기능들을 해양건설업체 입장에서 재분류 하였는데, 그것은 업체의 생산요소인 선박, 장비, 자재, 인력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이 분류기준으로 기존 OSB들이 구비한 기능들을 살펴 보고 국내의 기존 해양건설업체가 운용 중인 선박기지의 기능들과 비교 검토한 결과, 해양건설업체들이 필요로 하는 기능들을 추출해냈다.
      그리고, 국내 OSB 구축에 있어서 설정한 두 가지 전제는 모든 기능들을 한꺼번에 갖추지 않고 수요자가 희망하는 기능들부터 순차적으로 갖춘다는 것과, 새로이 항만을 구축하지 않고 기존 항만의 터미널 기능 재배치를 활용한다는 것이다.
      한편, 국내 OSB 구축의 가장 큰 걸림돌은 수요 부족으로 인한 운영 차질이므로 한국형OSB의 모형에는 초기 수요자가 될 국내 해양건설업체들이 실제 희망하는 입지와 서비스들을 파악하여 반영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업체 소속으로 현재 해양건설업 현장에 있는 실무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국내 OSB의 입지와 기능 우선순위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했다.
      OSB의 입지 선호도 조사를 위해서는 일정한 기준으로 선정한 4개 항만, 즉, 부산, 울산, 마산, 포항을 대상으로 응답자들이 선호하는 이유들마다 순위를 매기게 했다.
      OSB가 갖출 기능들의 우선순위 조사를 위해서는 4가지 대항목 각각에 대해서 우선순위와 상관 없이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기능들을 제외한 3가지씩의 세부항목들로 모두 12가지의 기능들을 대상으로 하여, 대항목들 간의 우선순위와 각 대항목 내의 세부항목들 간의 우선순위를 쌍대비교를 통해 응답하게 했다.
      입지에 관한 응답의 분석은, 각 항만별 순위 빈도수를 평점으로 환산하고 5가지의 선호이유들을 동일한 가중치를 두어 합산하여 총점으로 항만들의 순위를 매기는 방식을 수행했다.
      기능 우선순위에 관한 분석은, AHP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대항목들 간의 순위와 각 대항목 내의 세부항목들 간의 순위, 그리고 12개 세부항목 전체에 대한 우선순위를 도출했다.
      또, 응답자의 여건이 응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소속 회사의 규모에 따라 두 부류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해외 OSB 방문경험 여부에 따라서도 나누어 분석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국내에 OSB를 구축한다면 그 입지는 부산지역이 가장 선호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해양건설업체들이 부산을 선호하는 이유는 기존 업무활동의 연속성, 협력업체들과의 근접성, 인력 공급을 위한 도시적 환경, 육상교통의 편리성, 그리고 기존 항만으로서의 평판 등 모든 기준에서 부산이 우위에 있기 때문이었다.
      OSB가 가장 먼저 갖추어야 할 기능은 자재와 관련된 기능으로서, 원스톱 통관체제를 갖추고 업체들의 자재 공동구매 등의 원가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 다음 기능 우선순위는 장비의 렌탈을 위한 장비업체의 대리점이나 렌탈업체를 유치하는 것과 자재를 업체에 운송하는 육상운송에 대한 서비스 순이었다.
      업체 규모에 따라 기능 우선순위가 다른 것으로 파악되었는데, 규모가 큰 업체가 희망하는 서비스의 우선순위는 선박 – 장비 – 자재 – 인력 순이고, 규모가 작은 업체는 반대로 인력 – 자재 – 장비 – 선박 순으로 양측이 정반대의 입장을 보였다. 업체의 규모에 따라 우선순위가 반대로 나타나는 현상은 초기 OSB의 수요 확보에 가장 큰 애로점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어, 해결방안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해외 OSB 방문경험 여부는 응답의 성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기존 OSB의 기능과 형태에 상관 없이 국내 OSB는 국내 해양건설업체들의 수요를 갖추는 것이 우선되어야 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겠다.
      번역하기

      현재 우리나라의 해양산업은 전반적으로 큰 위기를 맞고 있다. 전통적인 해양산업인 해운과 조선의 침체에다가 저유가 기조로 인한 해양플랜트 산업의 타격은 글로벌 강자의 위치에 있던 ...

      현재 우리나라의 해양산업은 전반적으로 큰 위기를 맞고 있다.
      전통적인 해양산업인 해운과 조선의 침체에다가 저유가 기조로 인한 해양플랜트 산업의 타격은 글로벌 강자의 위치에 있던 국내 기업들의 퇴출로 이어지고 있고, 그 여파로 국내 항만들은 물동량 증가세 둔화로 터미널들의 기능 재배치를 고려하고 있으나 새로운 수요 창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해양보급기지(OSB)를 단순히 해상플랫폼 또는 Offshore Oil & Gas 산업을 지원하는 물류기지로만 정의한다면 인접한 해양 유전이 없는 국내에 구축하는 것이 타당성을 갖지 못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OSB가 Offshore Oil & Gas 생산기지를 지원하는 기능들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 본 바, 그 하나는 소모성 자재와 생필품 등 해상플랫폼 운용을 위한 보급기능이고, 다른 하나는 설치와 유지보수 등을 위한 기술지원 기능이다. 그리고, Offshore Oil & Gas 산업의 추세로 보아 향후 OSB의 기술지원 기능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기술지원 기능에 중점을 두고 민간기업이 운영하는 OSB인 싱가포르 Loyang OSB의 성공사례를 살펴 보았다.
      한편, 해양건설업은 Offshore Oil & Gas의 설치·유지보수 작업을 포함하여 기타 해저케이블과 해상풍력 등 해양 구조물과 관련된 모든 작업을 수행하는데, 시장 규모가 조선과 해양플랜트 제작산업을 합친 것 보다 더 크다. 글로벌 해양건설시장에서 국내 기업의 점유율은 1%도 되지 않으며, 향후 성장 전망 등에 비추어 보아도 해양건설업은 한국 경제의 새로운 활력소가 될 수 있는 산업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OSB의 지원대상 범위를 해양건설업으로 규정하고 살펴 보았는데, 이 영역은 Offshore Oil & Gas에 대한 기존 OSB들의 기술지원 기능은 물론, 국내 해양건설업체들의 주력 사업 분야를 포함하며, 해양 유전과의 지리적 근접성 요소가 적기도 하다. 기존의 OSB에서도 기술지원 기능의 직접적인 수요자는 해양건설업체이므로, 해양건설업 전반을 지원하는 OSB가 국내에 구축된다면, 국내 해양건설업 성장에 도움이 되고 항만으로서는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는 효과를 거두게 될 것이며, 장기적으로 기존 해외 OSB들과 같은 경쟁력을 갖게 될 것이다.
      국내에 구축하는 한국형 OSB의 모형을 도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OSB의 기능들을 해양건설업체 입장에서 재분류 하였는데, 그것은 업체의 생산요소인 선박, 장비, 자재, 인력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이 분류기준으로 기존 OSB들이 구비한 기능들을 살펴 보고 국내의 기존 해양건설업체가 운용 중인 선박기지의 기능들과 비교 검토한 결과, 해양건설업체들이 필요로 하는 기능들을 추출해냈다.
      그리고, 국내 OSB 구축에 있어서 설정한 두 가지 전제는 모든 기능들을 한꺼번에 갖추지 않고 수요자가 희망하는 기능들부터 순차적으로 갖춘다는 것과, 새로이 항만을 구축하지 않고 기존 항만의 터미널 기능 재배치를 활용한다는 것이다.
      한편, 국내 OSB 구축의 가장 큰 걸림돌은 수요 부족으로 인한 운영 차질이므로 한국형OSB의 모형에는 초기 수요자가 될 국내 해양건설업체들이 실제 희망하는 입지와 서비스들을 파악하여 반영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업체 소속으로 현재 해양건설업 현장에 있는 실무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국내 OSB의 입지와 기능 우선순위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했다.
      OSB의 입지 선호도 조사를 위해서는 일정한 기준으로 선정한 4개 항만, 즉, 부산, 울산, 마산, 포항을 대상으로 응답자들이 선호하는 이유들마다 순위를 매기게 했다.
      OSB가 갖출 기능들의 우선순위 조사를 위해서는 4가지 대항목 각각에 대해서 우선순위와 상관 없이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기능들을 제외한 3가지씩의 세부항목들로 모두 12가지의 기능들을 대상으로 하여, 대항목들 간의 우선순위와 각 대항목 내의 세부항목들 간의 우선순위를 쌍대비교를 통해 응답하게 했다.
      입지에 관한 응답의 분석은, 각 항만별 순위 빈도수를 평점으로 환산하고 5가지의 선호이유들을 동일한 가중치를 두어 합산하여 총점으로 항만들의 순위를 매기는 방식을 수행했다.
      기능 우선순위에 관한 분석은, AHP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대항목들 간의 순위와 각 대항목 내의 세부항목들 간의 순위, 그리고 12개 세부항목 전체에 대한 우선순위를 도출했다.
      또, 응답자의 여건이 응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소속 회사의 규모에 따라 두 부류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해외 OSB 방문경험 여부에 따라서도 나누어 분석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국내에 OSB를 구축한다면 그 입지는 부산지역이 가장 선호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해양건설업체들이 부산을 선호하는 이유는 기존 업무활동의 연속성, 협력업체들과의 근접성, 인력 공급을 위한 도시적 환경, 육상교통의 편리성, 그리고 기존 항만으로서의 평판 등 모든 기준에서 부산이 우위에 있기 때문이었다.
      OSB가 가장 먼저 갖추어야 할 기능은 자재와 관련된 기능으로서, 원스톱 통관체제를 갖추고 업체들의 자재 공동구매 등의 원가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 다음 기능 우선순위는 장비의 렌탈을 위한 장비업체의 대리점이나 렌탈업체를 유치하는 것과 자재를 업체에 운송하는 육상운송에 대한 서비스 순이었다.
      업체 규모에 따라 기능 우선순위가 다른 것으로 파악되었는데, 규모가 큰 업체가 희망하는 서비스의 우선순위는 선박 – 장비 – 자재 – 인력 순이고, 규모가 작은 업체는 반대로 인력 – 자재 – 장비 – 선박 순으로 양측이 정반대의 입장을 보였다. 업체의 규모에 따라 우선순위가 반대로 나타나는 현상은 초기 OSB의 수요 확보에 가장 큰 애로점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어, 해결방안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해외 OSB 방문경험 여부는 응답의 성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기존 OSB의 기능과 형태에 상관 없이 국내 OSB는 국내 해양건설업체들의 수요를 갖추는 것이 우선되어야 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겠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1.1 연구의 배경 1
      • 1.1.2 연구의 목적 3
      • 1.2 연구의 내용 및 구성 5
      • 제 1 장 서 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1.1 연구의 배경 1
      • 1.1.2 연구의 목적 3
      • 1.2 연구의 내용 및 구성 5
      • 제 2 장 해외 OSB 현황과 선행연구 고찰 6
      • 2.1 OSB의 정의와 구축 목적 6
      • 2.1.1 OSB의 정의 6
      • 2.1.2 Offshore Oil & Gas와 OSB 9
      • 2.2 세계의 주요 OSB 13
      • 2.2.1 전 세계 OSB의 분포 13
      • 2.2.2 주요 OSB 구축 사례 16
      • 가. 휴스턴 16
      • 나. 라스팔마스 19
      • 다. 싱가포르 22
      • 2.3 선행연구 고찰 26
      • 제 3 장 해양건설업과 OSB 31
      • 3.1 해양건설업의 영역 31
      • 3.1.1 해양산업의 분류 31
      • 3.1.2 Offshore Oil & Gas와 해양건설업 34
      • 3.1.3 Oil & Gas 이외 영역의 해양건설업 37
      • 3.2 글로벌 해양건설업과 국내 기업 41
      • 3.3 OSB의 해양건설업 지원 기능 43
      • 제 4 장 한국형 OSB의 개념적 모형 45
      • 4.1 국내 OSB의 기능 45
      • 4.1.1 OSB 기능의 세부적 고찰 45
      • 4.1.2 국내 기존 OSB-KT Submarine 거제선박기지(Depot) 53
      • 4.1.3 국내 OSB의 기능 56
      • 4.1.4 국내 OSB 기능의 우선순위 60
      • 4.2 국내 OSB 의 입지 63
      • 제 5 장 AHP를 이용한 국내 OSB 기능 우선순위와 입지 도출 65
      • 5.1 분석의 개요와 표본 특성 65
      • 5.1.1 AHP 분석의 개요 66
      • 5.1.2 평가요인과 AHP 모형 도출 71
      • 5.1.3 응답자 현황 73
      • 5.2 AHP 분석 결과 74
      • 5.2.1 전체 AHP 분석 결과 74
      • 5.2.2 회사 규모별 AHP 분석 결과 77
      • 5.2.3 OSB 방문경험 유무에 따른 AHP 분석 결과 83
      • 5.2.4 OSB 입지로서의 선호지역 분석 결과 88
      • 5.3 결론 및 시사점 93
      • 제 6 장 국내 OSB 구축전략 95
      • 6.1 연구결과의 요약 95
      • 6.2 국내 OSB 구축전략 98
      • 6.2.1 국내 OSB 구축 환경 고찰 98
      • 6.2.2 OSB 운영 주체 100
      • 6.2.3 국내 OSB 구축 프로세스 101
      • 6.3 향후 연구방향 104
      • 참고문헌 105
      • [부록 A] 해저유전 개발 개요 109
      • [부록 B] 해양건설업의 선박과 장비 123
      • [부록 C] 설문지 134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영훈, "연구조사방법론", 청람, 2015

      2 김동준, "해양플랜트산업", 한국동력기계공학회, 한국동력기계공학회지, 17(3), pp.12-16, 2013

      3 박상진, 주현동, 서기웅, "해양플랜트산업 발전방안", 대한기계학회, 기계저널, 52(10), pp.30-35, 2012

      4 송계의, "해양경제특구의 성공 요인", 한국항만경제학회,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1권 제1호, 51-68, 2015

      5 김화진, "글로벌 에너지산업과 국제정치", 서울대학교 공익산업법센터, 경제규제와 법, 제2권 제1호, 147-171., 2009

      6 성홍근, "해양플랜트산업 발전을 위한 제언", 기계산업, pp.41-48, 2014

      7 신창훈, 최진이, 조경우, 정수현, 이지원, "Offshore Supply Base 구축전략에 관 한 연구", 서울: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3

      8 홍석원, "해상 LNG터미널(FSRU) 엔지니어링 기술개발", 대전:한국해양과학기술 원 부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2013

      9 장정재, "중국의 해양경제 전략 강화와 부산의 대응", 부산발전연구원, BDI 포커스, 제142호, 1-12, 2012

      10 도현재, 현지원, 정우진, "국내 자원개발 해양플랜트산업의 과제와 대응방안", 울 산:에너지경제연구원, 2014

      1 이영훈, "연구조사방법론", 청람, 2015

      2 김동준, "해양플랜트산업", 한국동력기계공학회, 한국동력기계공학회지, 17(3), pp.12-16, 2013

      3 박상진, 주현동, 서기웅, "해양플랜트산업 발전방안", 대한기계학회, 기계저널, 52(10), pp.30-35, 2012

      4 송계의, "해양경제특구의 성공 요인", 한국항만경제학회,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1권 제1호, 51-68, 2015

      5 김화진, "글로벌 에너지산업과 국제정치", 서울대학교 공익산업법센터, 경제규제와 법, 제2권 제1호, 147-171., 2009

      6 성홍근, "해양플랜트산업 발전을 위한 제언", 기계산업, pp.41-48, 2014

      7 신창훈, 최진이, 조경우, 정수현, 이지원, "Offshore Supply Base 구축전략에 관 한 연구", 서울: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3

      8 홍석원, "해상 LNG터미널(FSRU) 엔지니어링 기술개발", 대전:한국해양과학기술 원 부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2013

      9 장정재, "중국의 해양경제 전략 강화와 부산의 대응", 부산발전연구원, BDI 포커스, 제142호, 1-12, 2012

      10 도현재, 현지원, 정우진, "국내 자원개발 해양플랜트산업의 과제와 대응방안", 울 산:에너지경제연구원, 2014

      11 김운수, 김화영, "AHP 분석을 이용한 해운중개 서비스의 상대적 중요도 평가", 한국항만경제학회,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9권 제4호, 157-174, 2013

      12 강윤호, 우양호, "해항도시의 경제성장과 해양산업간의 관계-부산시를 중심으로", 한국항해항만학회, 한국항해항만학회지, 37(6), pp.627-635, 2013

      13 정수현(Su-hyun Jeong), 신창훈(Chang-hoon Shin), 이지원(Ji-won Lee), 김용호(Yong-ho Kim), "국내 해양보급기지(Offshore Supply Base) 구축방안에 관한 우선순위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 한국항만경제학회지, 32(4), pp.57-71, 2016

      14 김도관, 진찬용, 남수태, "AHP 기법을 이용한 스마트폰 환경에서 위치기반 서비스에 대한 선호도 분석", 한국정보통신학회, 한국정보통신학회 논문지, 제18권 제6호, 1337-1342, 2014

      15 류동근, 이창호, 손영준, 손보라, "AHP를 이용한 우리나라 선박관리기업의 경쟁 력 요인 우선순위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4권 제3호, 243-249, 2010

      16 박성재, 이규용, 유지은, 유기준, "조선산업 신성장동력 확보 및 일자리창출을 위 한 해양플랜트 산업 활성화 방안", 한국노동연구원, 서울:한국노동연구원, 2011

      17 정웅태, "에너지 플랜트 산업 부문별 해외 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석유, 가스 플 랜트 부문", 에너지경제연구원, 울산:에너지경제연구원, 2012

      18 김정환, 이충배, 박선영, "싱가포르 석유 물류허브 벤치마킹을 통한 우리나라의 동북아 오일허브 발전 연구", 통상정보연구, 제 11권, 2호, pp.127-145, 2012

      19 김명유, 한상훈, 이동근, 양은익, "해양환경에 노출된 고내구성 콘크리트의 전기화학적기법을 이용한 부식저항성 평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제19권 제4호, 320~328, 2007

      20 임수환, "동북아 해양패권 경쟁에 대한 이론적 고찰 -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 시각을 중심으로", 평화문제연구소, 통일문제연구, 통권 제56호, 263-297.,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