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자연물을 활용한 유아 수·과학통합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만 5세 유아들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프로그램 구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자연물을 활용한 유아 수·과학통합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만 5세 유아들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프로그램 구성�...
이 연구의 목적은 자연물을 활용한 유아 수·과학통합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만 5세 유아들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연구를 수행한 후,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물을 활용한 유아 수·과학통합 교육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둘째, 자연물을 활용한 유아 수·과학통합 교육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는 어떠한가?
위의 연구 문제에 따라 먼저, 자연물을 활용한 유아 수·과학통합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하여 자연물을 활용한 유아 수·과학통합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진단을 위한 교사심층면담과 유아교육 현장의 요구 조사,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 고찰, 예비연구, 전문가 협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본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완성된 프로그램의 목적은 유아가 호기심을 가지고 주변 세계를 탐구하며, 여러 상황과 문제를 인식하고 논리 수학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수학적 태도 능력을 기르고,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탐구하는 과학적 태도와 더불어 자연을 이해하고 소중히 생각하며 자연과 조화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생활태도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구체적인 목표는 첫째, 자연물을 활용한 유아 수·과학통합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여러 상황과 문제를 인식하고 논리 수학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수학적 태도 능력을 기르고, 둘째 자연물을 활용한 유아 수·과학통합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유아들의 과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자세를 형성한다. 이 연구에서 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은 ‘자연물에 대한 호기심 가지기, 자연물의 특성과 규칙성 이해하기, 자연물의 길이·크기·무게·시간에 따라 비교하기, 자연체험에 대한 감각 능력 기르기, 자연친화적 태도 기르기, 자연물에 대한 호기심 확장하기, 생명존중과 생태적 소양 기르기, 자연물의 생태적 특징 변화 이해하기’의 세부내용을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교수-학습 원리, 교수-학습 방법, 교사의 역할로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원리과정은 놀이중심의 원리, 체험중심의 원리, 자발성의 원리, 통합의 원리로 구성되었으며, 교수-학습 방법은 주의집중하기, 소집단 학습방법, 자연과 친해지기, 이야기 나누기, 자유로운 표상활동, 놀이와 재미있는 관찰하기, 오감각의 통합적 표현하기, 감상하고 즐기기로 선정하였다. 교사의 역할은 물리적인 안전한 환경제공하기, 적극적인 상호작용 하기, 자연에 대한 좋은 선입견 갖기, 개방적인 질문과 긍정적인 분위기 조성하기, 문제해결 및 창의성을 촉진하기로 구성하였으며, 평가는 검사도구에 의한 유아평가와 총괄평가로 수행하도록 선정하였다.
다음으로는 자연물을 활용한 유아 수·과학통합 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 봄으로써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연물을 활용한 유아 수·과학통합 교육적용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A어린이집 만5세아 17명과 B어린이집 만5세아 1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적용기간은 2014년 4월 7일부터 2014년 7월 18일까지 15주간으로 실험집단 유아들에게 자연물을 활용한 유아 수·과학통합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 과학적 태도 검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검사를 실시하였다. 과정을 통해 수집된 자료들은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 과학적 태도에 대한 각 집단별 사전, 사후 평균에 대해 독립표본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으며, 개발된 자연물을 활용한 유아 수·과학통합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 과학적 태도는 전반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개발한 자연물을 활용한 유아 수·과학통합 교육프로그램은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 과학적 태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유아교육현장을 기초로 하여 개발하였기에 누리과정 자연탐구영역의 내용을 적용하는데 있어 자연스럽게 수·과학교육과 연계하여 접근할 수 있으며,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 과학적 태도 형성을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 가치가 있다. 더 나아가 유아의 전인발달을 꾀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도 발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남효창, "나무와 숲", 계명사, 서울: 도서출판 계명사, 2008
2 신원섭, "치유의 숲", 지성사, 서울: 지성사, 2005
3 김영선, "수 과학지도", 서울: 양서원, 1997
4 유연화, "유아과학교육", 공동체, 서울: 학지사, 2015
5 이경우, "유아과학교육", 양서원, 서울: 양서원, 1999
6 한유미, "유아과학교육", 창지사, 서울: 문음사, 2010
7 김헤라, "유아과학교육", 학지사,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11
8 권미량, "유아교육과정", 청목, 정민사, 2009
9 정미라, 정가윤, 성원경, 최윤정, 김정화, 이수경, "유아교육과정", 한국유아교육학회, 서울: 교문사, 2011
10 권영례, "유아수학교육", 양서원,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2010
1 남효창, "나무와 숲", 계명사, 서울: 도서출판 계명사, 2008
2 신원섭, "치유의 숲", 지성사, 서울: 지성사, 2005
3 김영선, "수 과학지도", 서울: 양서원, 1997
4 유연화, "유아과학교육", 공동체, 서울: 학지사, 2015
5 이경우, "유아과학교육", 양서원, 서울: 양서원, 1999
6 한유미, "유아과학교육", 창지사, 서울: 문음사, 2010
7 김헤라, "유아과학교육", 학지사,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11
8 권미량, "유아교육과정", 청목, 정민사, 2009
9 정미라, 정가윤, 성원경, 최윤정, 김정화, 이수경, "유아교육과정", 한국유아교육학회, 서울: 교문사, 2011
10 권영례, "유아수학교육", 양서원,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2010
11 이정욱, "유아수학교육", 정민사, 고양 : 정민사, 2006
12 권영례, "유아수학교육", 창지사, 서울: 창지사, 1997
13 이경민, "유아 과학교육", 서울: 정민사, 2004
14 한유미, "유아 수학 교육", 창지사, 서울: 창지사, 2003
15 교육부,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7
16 이용률, "초등수학 교육론", 경문사, 서울: 동명사, 1998
17 이명환, "독일의 숲 유치원", 서울: 교육아카데미, 2007
18 한유미, "[개정] 유아수학교육", 서울: 창지사, 2009
19 권영례, "유아과학교육 워크북",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서울: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2008
20 지옥정, "유아기 자연친화교육", 서울: 창지사, 2009
21 김현주, 송연숙, 김경미, "현장중심 유아과학교육", 서울: 창지사, 2012
22 김세종, 이종훈, "지식정보사회의 인력정책", 정보통신정책연구원, IT의 사회 문화적 영향 연구, 94, 1-98, 2005
23 조형숙, "자연친화교육. 유아교육 27", 한국유아교육협회 자료집, 2004
24 홍은주, "(유아를 위한)자연친화교육", 태영출판사, 서울: 태영출판사, 2005
25 서이종, "지식정보사회의 이론과 실제", 서울대학교출판부,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26 양승지, 오영희, "동화를 통한 통합교육의 실제", 서울: 양서원, 2001
27 김태연, 황해익, 유수경, "유아 수학 탐구지도 척도개발", 미간행, 2007
28 이명환, "숲유치원의 교육학적 원리와 실제", 열린유아교육연구, 11(1), 125-152, 2006
29 교육부, "유치원 교육 활동지도 자료 1 총론", 서울:교육부, 2000
30 장희정, "숲 유치원: 설립에서 프로그램까지", 호미, 서울: 호미, 2011
31 최석란, "유아과학교육: 과학개념발달과 적용",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총론, 6, 17-34, 2009
32 이장희, "유아를 위한 자연친화교육 프로그램", 교문사, 경기: 교문사, 2009
33 곽노의, "자연주의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탐색", 한국초등교육, 20(2), 173-196, 2010
34 황의명, "탐구능력 증진을 위한 유아과학교육", 정민사, 서울: 정민사, 2001
35 이명환, "녹색교육숲유치원(독일 스위스 한국)", 교육아카데미, 서울: 교육아카데미, 2010
36 조형숙, "영유아를 위한 녹색성장 교육의 방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010
37 강충열, "주제중심 교수모델 정립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12(1), 5∼29, 1988
38 홍은주, "유아교육에서의 자연과 자연친화교육", 한국유아교육연구, 3(1), 85-102, 2006
39 조형숙, "유아와 과학, 그리고 세상에 대한 관심", 아이코리아연수원 교원 워크숍과정. 5-17, 2009
40 박낭자,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서울: 창지사, 2002
41 이명환, "독일 숲유치원의 현장상황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8(3), 71-97, 2003
42 김숙령, "제6차 교육과정에 기초한 유아수학교육", 서울: 창지사, 2000
43 이명환, "숲유치원의 다양한 운영형태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생태유아교육연구, 7(3), 47-74, 2008
44 김지영, 김숙자 ( Suk Ja Kim ), "자연물을 활용한 유아 수학 교육활동 경험",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년 춘계학술대회. 333-352, 2007
45 조부경,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과학교육", 양서원, 파주: 양서원, 2012
46 Huppertz, M., "숲유치원 교사의 업무수준 향상을 위한 방안", 2011 숲유치원 국제세미나 학술집, 95-133, 2011
47 남효창, "얘들아 숲에서 놀자: 숲 체험 교육의 모든 것", 서울: 수수밭, 2006
48 곽노의, "숲유치원에서의 놀이와 인성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홀리스틱교육연구, 15(3), 1-23, 2011
49 한진경, "수학-과학 통합교육의 적용효과.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50 김선월, 조형숙, 김남연, 김지혜, "삶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찾아가는 유아과학교육", 파주: 학지사, 2010
51 박언휘, "산책을 통한 자연탐구활동의 세계.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4
52 조형숙, "유아를 위한 자연친화교육 프로그램개발 및 평가",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5(5), 343-367, 2005
53 Helg, E., "배움터로서의 숲: 상 갈렌 숲유치원의 경험과 방법", 2009 숲유치원 국제세미나 학술집, 109-129, 2009
54 권영례, 박영충, "수학·과학 통합활동이 창의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2(1), 121-136, 1997
55 김도이, 임은정, 곽노의, "통합형 숲유치원의 교육활동에 관한 참여관찰연구", 서울교육대학교 한국초등교육, 22(3), 153~173, 2011
56 김은숙, 이명환,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생태유아교육연구. 10(4), 149-170, 2011
57 지옥정, "유아기 자연친화교육의 의의 및 미래지향방향 탐색", 논문집, 42, 531-540, 2007
58 김정주 ( Jung Ju Kim ), 이효정 ( Hyo Jung Lee ), "자연친화적 수학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변화",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 13(2), 105-124, 2009
59 권영례, "수·과학 통합 직접 활동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대학교 논문집, 23, 349-363, 1997
60 이명환,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숲체험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생태유아교육연구, 10(1), 175-200, 2011
61 홍은주, "자연환경구성활동의 교육적 의미탐색.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62 홍혜경, "유아수학학습에 아동문학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탐색", 교육학연구, 33(1), 399-424, 1995
63 한종화, 박찬옥, "탐구중심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4(3), 225-242, 2004
64 신지연, "표현생활중심의 숲유치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6(1), 2012
65 송미라, 장영숙, "자연 산책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10(2), 311-332, 2005
66 권미량, "생태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연구.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5
67 Harlan, J. D., Rivkin, M. S., "유아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전명남, 이혜주, 정정희 역)", 서울: 창지사, 2004
68 김정주, "유아의 이야기능력이 수학 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69 이인원,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과학탐구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2), 2008
70 이미혜, "자연친화적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71 김민경, 홍지연, 이지영, 김은경,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나타난 문제의 비구조성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2), 2011
72 이성은, 허선영, "수준별 학습이 초등학교 아동의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9(1).133-151, 2001
73 구혜현, 박현진, 김숙자, "유아 수학과 과학 활동의 통합적 접근이 측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pp.331-346, 2008
74 박윤자, "협동적 유아 자연친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2
75 김숙자, "수,과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수학과 과학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미래유아교육학회지, 8(1). 173-203, 2001
76 박경희, "숲체험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5
77 김미현, "만3세 하늘반의 수학교육활동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78 조형숙, "탐구능력 향상을 위한 창의적 실험구성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1(3), 27~55, 2001
79 정효은, "탐구-표상 중심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80 박영란, "자연친화적 유아과학 탐구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효과.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81 Cornell, J. B., "Sharing nature with children, 장상욱 역(2002),아이들과 함께 나누는 자연체험", 서울 : 우리교육, 2002
82 김정주, "자연친화적 수학놀이 구성하기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83 한종화, "탐구중심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84 Tschan, M., "아동기의 자연체험- 삶을 위한 영감: 숲유치원에서의 발도로프 교육학", 2012 숲유치원 국제세미나 학술집, 63-106, 2012
85 전연주, "가정연계 자연탐구중심 유아과학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6
86 김선아, "동화를 활용한 유아과학연극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87 장웅, "유아의 수학, 과학, 미술 통합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0
88 양옥승, "자연을 통한 유아교육. 어린이와 자연. 창립20주년기념 유아교육 학술대회", 한국어린이육영회. 43-59, 2001
89 박은경, "자연체험활동을 통한 유아 과학프로그램 구안 및 효과연구. 박사학위논문", 관동대학교 대학원, 2008
90 임귀자, "창의성기법을 활용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91 문연심, 이화영, "‘바퀴’ 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측정능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집, 54( ), 2008
92 김남연, "미술과 통합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93 김세루, "협동적 문제해결에 기초한 수학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94 안명숙, "숲에서의 놀이를 통한 유아 미술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4
95 오정희(Oh Jung Hee), 손은경(Son Eun-Kyung), 임부연(Lim, Boo-Yeun), "예술통합에 기초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5(10), 37-57, 2010
96 윤은경,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97 금혜정,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에 나타난 수학 관련 활동 분석.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98 박경난 ( Kyung Nan Park ), 조형숙 ( Hyung Sook Cho ), "동작을 통한 수학교육 활동이 유아의 수학 개념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 11(2), 95-112, 2007
99 이상용, "중학생의 과학적 태도와 인지갈등 정도에 따른 과학 개념변화.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00 김용님, "생태학적 접근의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3
101 지성애,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공간지각력, 언어능력 및 또래상호작용 질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235-254, 2007
102 박지영, "유아의 수학학습 잠재력에 따른 수학능력 및 수학적 태도의 차이.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103 한승희, "유아 수 과학 통합교육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04 오영희, "‘꽃과 나무’ 관련 활동 중심의 자연친화 교육과정이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47-70, 2011
105 김경희, 나귀옥,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과정과 미국(NCTM, 2000)에 기초한 유아수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2004
106 김경아, "발생적 탐구중심 과학 활동을 통한 유아의 과학적 개념 및 태도변화.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107 서동미, "유치원 생활에서 발생하는 유아의 수학적 경험에 대한 교육적 의미. 박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108 인재천, "STS 접근법을 활용한 통합적 유아 에너지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4
109 서영민, "자연물 주제중심통합 유아 숲체험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효과.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110 이진희, 전평국, "수학적 의사소통 불안에 따른 소집단의 구성, 협동학습이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 수학교육논문집, 13(2), 495-514, 2002
111 안부금,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과학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3(1), 27-52, 2003
112 곽상신, 김숙자, 홍희주, "수학과 과학 관련 수업 분석에 터한 실천적 접근으로서의 수학과 과학 통합 교육 활동", 미래유아교육학회,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1), 2002
113 김선월, 조형숙, 김현주, "아 이 들 과 함 께 만 드 는 자 연 놀 이 터 :유아 를 위 한 자 연 친 화 교 육 프 로 그 램", 서울: 다음세대, 2007
114 김선월, "자연의 미적요소에 기초한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115 김은숙, "한국 최초 숲유치원 교육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숲유치원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0
116 이은형, "유아를 위한 자연친화적 수학영역 중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117 정소영, 고영미, "자연체험에 기초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관련 태도 및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어린이미디어연구, 4, 65-83, 2005
118 이은정, "수학과 과학의 통합 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 및 수학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19 이윤옥, "생태그램책 이야기에 기초한 협동적 자연탐구활동이 만5세 유아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5(1), 395-416, 2011
120 홍희주, 김숙자, "수 과학 통합교육 활동 안에서 분석되는 교수-학습 방법과 유아 수 과학 탐구 능력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수논총, 17(1),19-42, 2001
121 김형재, "유아교사의 내용교수지식(PCK)에 기초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3
122 이영미, "구체물을 활용한 큰 수에 관련된 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십진법과 자릿수 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학회지. 3, 37-58, 2006
123 이말순, "조작 경험중심의 수학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 능력과 수학접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999
124 김명희, 신화식, "유아교육 현장에서 다중지능 프로그램 적용과 통합: 이해를 위한 교수모형의 실제와 유아 수행평가",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집, 2007
125 김은정, "탐구적 과학교수-학습법이 소리에 대한 유아의 개념 형성 및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126 김성희, "산책을 통한 수학적 탐구 활동을 통해 유아의 수학개념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27 정주선, "수학 관련 동화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128 최미희, "수업유형, 집단구성 및 성별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3
129 이경민, "상호작용적 교수법에 의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 탐구능력,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0
130 유경숙, "구성주의에 기초한 밀가루점토활동 구성방식에 따른 과학적 개념 과정기술 및 태도의 차이분석.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1999
131 김소향, "수학게임을 통한 유아의 수학적 지식, 수학적 과정기술, 수학적 태도에 대한 평가 도구 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132 안경숙, "유아과학 활동과 통합된 과학능력 평가도구의 개발: 과학적 태도,탐구능력, 과학적 개념에 대한 평가. 박사학위논문",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133 차명애, "플로러닝에 따른 자연친화교육 활동이 유아의 자연탐구지능, 과학적 탐구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0
134 임재택, "생태중심 유아교육 모형의 탐색. 영유아보육연구, 10, 1-22. 자연주의 유아교육 실천연구회(2011). 자연주의 유아교육프로그램", 경기: 공동체, 2005
135 전순한, "사회적 구성주의에 기초한 유아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 성취, 수학적 과정 기술,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136 황정숙, "유아수학교육의 효과적 지도: 구체물 조작에 의한 활동중심과학 습지에 의한 교사중심 교수 방법의 비교연구.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1997
137 손옥경, "생활주변 산책프로그램의 구안 적용을 통한 유아의 기초탐구 능력신장. 경남 창원북면초등학교 승산분교장 병설유치원 연구보고서", 한국교, 2001
138 김정은, "자연물을 활용한 몬테소리 교구의 변형 및 응용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 수학적 태도,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수학, 감각, 우주교구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