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 기부문화는 사회의 빈부, 지식, 문화의 격차를 줄이는 사회 통합적 방법으로 이해된다. 공익적 활동을 위한 기부는 기본적으로 기부자의 자발적인 참여를 기초로 삼고 있으며 기부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939283
서울 :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2010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 인터랙티브디자인전공 , 2010. 2
2010
한국어
741.6 판사항(22)
서울
xii, 97 장 ; : 삽도 ; 26 cm.
참고문헌(93 - 94장) 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의 기부문화는 사회의 빈부, 지식, 문화의 격차를 줄이는 사회 통합적 방법으로 이해된다. 공익적 활동을 위한 기부는 기본적으로 기부자의 자발적인 참여를 기초로 삼고 있으며 기부자...
현대의 기부문화는 사회의 빈부, 지식, 문화의 격차를 줄이는 사회 통합적 방법으로 이해된다. 공익적 활동을 위한 기부는 기본적으로 기부자의 자발적인 참여를 기초로 삼고 있으며 기부자의 참여유형에 따라 물질적 기부와 시간적 기부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기부문화 속에서의 기부자는 본인의 사회적인 평판을 좋게 유지하기 위해 기부에 참여했으며 따라서 기부 후 결과에는 큰 관심이 없었다. 그러나 인터넷이 발달함에 따라 베일에 싸여있던 기부단체의 방대한 정보가 개인에게 오픈되면서 기부자는 과거 수동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능동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대상을 찾아 기부하기 시작했고 기부후기를 제공받길 원했다.
국내의 온라인 기부 문화의 태동은 1990년대 이후 민간재단이 생겨나면서 시작됐으며 현재는 대형 포털 사이트들에서 개인을 상대로 한 기부채널을 운영하기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온라인 기부문화에 비해 국내 기부 사이트의 정보 시각화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온라인 기부문화가 지닌 사회적 파급력과 기능을 고려할 때, 온라인 기부 사이트에 대한 정보 시각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기부의 활성화를 이끌기 위한 온라인 기부 사이트의 효과적인 정보 시각화 방안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기부 사이트를 첫째 기부사연을 담은 정보, 둘째 기부현황에 대한 정보, 셋째 기부자와 수혜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정보로 세 가지 특징으로 분류하여 각각에 맞는 정보 시각화 방법을 유형화 하고자 한다.
기부의 특성상 온라인 기부 사이트의 시각화는 수용자에게 단순한 데이터 전달이 아닌 그들의 감성적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한다. 이는 해당정보의 단순한 열거만으로 실현될 수 없으며 수용자의 온라인 기부 패턴과 욕구를 파악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할 것이다. 또한 기부에 관한 정보와 그것의 시각화 역시 도식화된 연결이 아닌 시너지 창출이 가능한 의미관계로 재창조 돼야한다.
이러한 가설의 검증을 위해 온라인 기부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이해하고 이로부터 내러티브가 기부의 정보 시각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 확인한다. 선행된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국내 대표 기부 사이트의 사례를 분석하고 거기서 발견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다. 분석 결과로 바탕으로 온라인 기부 사이트에 적합한 시각화 방법을 유형화하여 설문조사로 도출해 본고에서 주장한 시각화 방법의 타당성을 입증한다.
앞의 과정을 거쳐 도출된 온라인 기부 사이트의 정보 시각화 방향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용자에게 기부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기부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강조할 수 있는 방향으로 시각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해당 정보는 텍스트와 이미지, 그래픽 요소 등이 복합적으로 사용돼 시각화 되어야 하며 또한 수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객관적이며 정량적인 정보를 감성적으로 시각화함으로써 수용자가 각각의 정보를 통해 기부가 갖는 의의와 의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커뮤니케이션 공간의 흥미롭고 참신한 시각화 방식으로 수용자의 관심이 기부 후에도 이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고 나아가 2차 기부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가 온라인 기부 사이트의 기부 활성화에 기여되길 바라며,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온라인 기부를 위한 정보 시각화 방법이 적극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dern donation culture understood by the decreasing of social rich and the poor, knowledge and cultural differences. Donation for public interest is based for donators’ own accord and classified by material aid and time. Generally speaking, donator...
Modern donation culture understood by the decreasing of social rich and the poor, knowledge and cultural differences. Donation for public interest is based for donators’ own accord and classified by material aid and time.
Generally speaking, donator are usually concern about their reputation of the donation among the traditional donation culture not the result of the donation. Recently, development of the massivity information network, internet, donators try to donate the people who need their help by the opening donator’s information to be part of the procedure and want to get postscript.
Korea’s donation culture started form 1990’s after opening the foundation and currently foundation are operating donation channel. Even though rapid developing donation culture through the internet, the study of visualization of building for online donation web site needs a little more diggingintoits subject.
Considering the social influencing power of online donation culture and function, the visualization of building for online donation website must be settled without delay.
The research has found out the visualization of building for online donation web site for online donation.
This study built three types of online user inter face format. Those are story of the donation, situationofdonation,communication between donator and beneficiaries.
The visualization of building for online donation web site must induce their emotional effect.
That can not be realized by the simple information, also should find out the donator’s donation pattern and desire. Web site must recreate not only for in formation package which deliver the donation data but synergy creating data package.
To vitrificate hypothesis, we need to understand online donation. Form this point of view, we check the possibility of website user interface can utilize as a data visualization of donation.
This research analyzes the previous thesis of major Korea’s donation site as a case study and .The study visualization by the survey through the appropriate visualization formatting.
The explain are as follows ;
1. For delivering information effectively, User interface for donation website must visualize on understanding for characteristic of donation and strength.
For this, information, text data and graphics must be used combined visualized also user highly tickled atthe site
2. User can be conscious of donation meaning, worth of donation by the visualization of information integration.
3. Web site as a communication space and well organized construction is leading the donator to redo their action after donation.
This thesis hope to be good research of the donation web site to promote for the many donators. After this, many other research hope to find better idea for the good donation web site.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