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나타난 인권교육의 변천에 관한 연구 : 제6차 교육과정 이후부터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시기까지 = (An) Analysis of the changes in human rights education reflected in the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5149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s in human rights education reflected in the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below.
      First of all this study verified the variation of human rights contents as civil and political rights,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nd solidarity rights in the 6th, 7th and 2007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and the democratic development in the Republic of Korea.
      Second, this study verified the variation of presentation level of human rights contents in the 6th, 7th and 2007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the variation of approach to the human rights education.
      Third, this study verified characteristics of human rights contents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discussed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were as follows. First, human rights education should start in the everyday life of students. Second, human rights education should cover the empirical or factual level, the action and the implementation level as well as the normative level. Finally human rights education should be a help to build up teacher's specialty of human rights lessons.

      Key Words :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human rights education, human rights discours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s in human rights education reflected in the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below. First of all this study verified the variation 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s in human rights education reflected in the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below.
      First of all this study verified the variation of human rights contents as civil and political rights,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nd solidarity rights in the 6th, 7th and 2007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and the democratic development in the Republic of Korea.
      Second, this study verified the variation of presentation level of human rights contents in the 6th, 7th and 2007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the variation of approach to the human rights education.
      Third, this study verified characteristics of human rights contents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discussed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were as follows. First, human rights education should start in the everyday life of students. Second, human rights education should cover the empirical or factual level, the action and the implementation level as well as the normative level. Finally human rights education should be a help to build up teacher's specialty of human rights lessons.

      Key Words :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human rights education, human rights discour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유엔은 지난 반세기 동안 지구촌 시대의 새로운 가치로 ‘인권교육’을 주장해왔고, 유엔 인권교육 10년(1995-2004) 및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행동계획(2005-2007) 등을 통해 많은 국가들의 인권교육을 지원해왔다. 이제 인권 개념은 법적 움직임을 통한 인권 운동 차원을 넘어 충실한 교육 계획으로 전환되고 확장되었으며, 많은 나라에서 인권교육을 정규 교육과정에 포함시키게 되었다. 이러한 노력의 결실로 우리나라도 제7차 교육과정부터 인권교육이 교육의 전면에 제시되기 시작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제6차, 제7차, 2007년 개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나타난 자유권, 사회권, 연대권으로서의 인권 내용의 변화가 한국 사회 민주주의 발전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또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나타난 인권 관련 내용의 제시 수준과 인권교육에 대한 접근 방향의 변화가 어떠한지 살펴보고, 이상의 분석을 토대로 초등학교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나타난 인권 내용의 성격과 특징 및 이에 대한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해 보았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인권 내용의 변화와 사회와의 관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Donnelly(2003)가 비판한 세 가지 인권 흥정 논리처럼,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국가 안보와 경제 발전 그리고 사회 질서를 위해 답보되었던 인권의 역사는 제6차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인권교육에서도 일부 재현되고 있었다. 그러나 7차 교과서에서는 인권에 대한 국민적 인식 성장과 더불어 인권 내용이 교육 전면에 등장했으며 인권의 주체가 확대되는 등 자유권과 사회권 모두에서 본격적으로 인권 개념이 확대되던 사회상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었다. 이러한 국민의 인권 의식 성장과 맞물려 2007년 개정 초등 사회과 교과서에서는 4학년부터 인권 단원이 독립적으로 구성되었으며, 소수자의 범위가 확장되고 자유권과 사회권 담론 모두가 확대되는 등 6, 7차 교육과정에 비해 더욱 다양해진 인권담론이 다루어지고 있었다. 이와 더불어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국가 안보와 경제 발전 그리고 사회 질서를 위해 답보되었던 인권의 역사가 자유권과 사회권 외에 연대권 중 환경의 권리에도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과서 인권 관련 내용의 제시 수준과 인권교육에 대한 접근 방향의 변화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6차 교육과정에서의 인권교육은 규범적 수준에서도 찾아보기 어려웠고 또한 국가의 발전과 안녕을 위해 때때로 반인권적이기까지 했다. 하지만 제7차 교육과정부터 ‘인권 존중’이 사회과 목표에 반영되며 인권 내용이 전면에 제시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7차 교과서의 인권은 국민의 기본권으로 소개되는 등 법적 접근의 한계를 보였고, 더불어 경험적 실제적 수준으로 구성된 인권 내용은 학습자인 아동 수준에서 충분한 공감과 인권친화적 행동의 실천의지를 북돋을 만큼 자기화된 경험일 수 있는가에 대해서 비판의 여지를 남겼다. 반면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인권은 아동 그 자체를 인권의 주체로 인정하고 배려한 시각에 근거했으며 과거에 비해 확장된 상황에서의 인권 개념으로 진화하고 있었다. 그러나 인권 내용은 여전히 법적 시각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했고 7차와 마찬가지로 아동의 실생활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아 경험적 실제적 수준을 넘어 행동과 수행의 수준까지 이르지 못하고 있었다.
      셋째,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나타난 인권 내용의 성격과 특징 및 발전 방향을 다음의 세 가지로 살펴보았다.
      인권교육에서는 어린이를 인권의 주체이자 적극적 요구자로 인식해야 하며, 동시에 그들의 일상생활에서의 인권침해 사례와 그것을 어린이 본인의 문제로 인식하게 하여 적극적으로 대처해나갈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 그러나 교과서에서는 소수자의 인권 사례를 중심으로 인권교육이 구성되는 등 어린이 학습자 수준의 일상생활 및 경험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교과서부터 어린이 학습자의 실제 생활과 경험 수준에 맞는 인권 침해 사건이나 주변의 차별적 사례 등을 찾고 발굴하는 과정을 통해 인권 개념과 가치를 내면화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해야 하겠다.
      지식으로 습득된 인권 의식의 가치가 내면화되어 현실에서 적극적인 행위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지식 위주의 규범적 수준의 접근에서 탈피하여 실제와 경험의 수준, 실천과 행위의 수준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러나 교과서에 제시된 인권교육은 규범적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했고 아동의 실생활이 결여된 경험적 실제적 수준에서의 접근은 충분한 공감을 통한 실천의지 확보에 한계를 보였다. 지식과 규범 위주의 인권교육을 넘어 학습자가 스스로의 인권감수성을 높여 인권에 대한 공감을 형성하고 실천적 연습을 통해 궁극적으로 인권친화적 행위에 도달할 수 있도록 인권교육 내용의 제시 방식은 보다 경험적 실제적 수준, 행동과 수행의 수준으로 변모하여야 할 것이다.
      현재의 교육과정은 대강화로 인해 인권에 대한 가치와 지식을 압축적으로 제시하고 있었으며, 인권교육을 법적 테두리로 묶어 인권을 보는 근본적 시각조차 법적 접근과 인권적 접근으로 복합되어 전달되고 있었다. 또한 인권교육의 최신 지식과 인권교육에 대한 인권적 접근 방향은 교사용 지도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에 따로 소개되고 있어 교사들의 인권 수업 전문성과 인권 마인드 형성에 충분한 도움이 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교육과정은 교사들이 인권교육에 대한 최신 지식을 습득하고 인권에 대한 총체적 시각과 안목을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인권교육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더불어 교사를 위한 소통의 장으로 진화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유엔은 지난 반세기 동안 지구촌 시대의 새로운 가치로 ‘인권교육’을 주장해왔고, 유엔 인권교육 10년(1995-2004) 및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행동계획(2005-2007) 등을 통해 많은 국가들의 인권교...

      유엔은 지난 반세기 동안 지구촌 시대의 새로운 가치로 ‘인권교육’을 주장해왔고, 유엔 인권교육 10년(1995-2004) 및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행동계획(2005-2007) 등을 통해 많은 국가들의 인권교육을 지원해왔다. 이제 인권 개념은 법적 움직임을 통한 인권 운동 차원을 넘어 충실한 교육 계획으로 전환되고 확장되었으며, 많은 나라에서 인권교육을 정규 교육과정에 포함시키게 되었다. 이러한 노력의 결실로 우리나라도 제7차 교육과정부터 인권교육이 교육의 전면에 제시되기 시작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제6차, 제7차, 2007년 개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나타난 자유권, 사회권, 연대권으로서의 인권 내용의 변화가 한국 사회 민주주의 발전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또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나타난 인권 관련 내용의 제시 수준과 인권교육에 대한 접근 방향의 변화가 어떠한지 살펴보고, 이상의 분석을 토대로 초등학교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나타난 인권 내용의 성격과 특징 및 이에 대한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해 보았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인권 내용의 변화와 사회와의 관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Donnelly(2003)가 비판한 세 가지 인권 흥정 논리처럼,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국가 안보와 경제 발전 그리고 사회 질서를 위해 답보되었던 인권의 역사는 제6차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인권교육에서도 일부 재현되고 있었다. 그러나 7차 교과서에서는 인권에 대한 국민적 인식 성장과 더불어 인권 내용이 교육 전면에 등장했으며 인권의 주체가 확대되는 등 자유권과 사회권 모두에서 본격적으로 인권 개념이 확대되던 사회상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었다. 이러한 국민의 인권 의식 성장과 맞물려 2007년 개정 초등 사회과 교과서에서는 4학년부터 인권 단원이 독립적으로 구성되었으며, 소수자의 범위가 확장되고 자유권과 사회권 담론 모두가 확대되는 등 6, 7차 교육과정에 비해 더욱 다양해진 인권담론이 다루어지고 있었다. 이와 더불어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국가 안보와 경제 발전 그리고 사회 질서를 위해 답보되었던 인권의 역사가 자유권과 사회권 외에 연대권 중 환경의 권리에도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과서 인권 관련 내용의 제시 수준과 인권교육에 대한 접근 방향의 변화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6차 교육과정에서의 인권교육은 규범적 수준에서도 찾아보기 어려웠고 또한 국가의 발전과 안녕을 위해 때때로 반인권적이기까지 했다. 하지만 제7차 교육과정부터 ‘인권 존중’이 사회과 목표에 반영되며 인권 내용이 전면에 제시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7차 교과서의 인권은 국민의 기본권으로 소개되는 등 법적 접근의 한계를 보였고, 더불어 경험적 실제적 수준으로 구성된 인권 내용은 학습자인 아동 수준에서 충분한 공감과 인권친화적 행동의 실천의지를 북돋을 만큼 자기화된 경험일 수 있는가에 대해서 비판의 여지를 남겼다. 반면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인권은 아동 그 자체를 인권의 주체로 인정하고 배려한 시각에 근거했으며 과거에 비해 확장된 상황에서의 인권 개념으로 진화하고 있었다. 그러나 인권 내용은 여전히 법적 시각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했고 7차와 마찬가지로 아동의 실생활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아 경험적 실제적 수준을 넘어 행동과 수행의 수준까지 이르지 못하고 있었다.
      셋째,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나타난 인권 내용의 성격과 특징 및 발전 방향을 다음의 세 가지로 살펴보았다.
      인권교육에서는 어린이를 인권의 주체이자 적극적 요구자로 인식해야 하며, 동시에 그들의 일상생활에서의 인권침해 사례와 그것을 어린이 본인의 문제로 인식하게 하여 적극적으로 대처해나갈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 그러나 교과서에서는 소수자의 인권 사례를 중심으로 인권교육이 구성되는 등 어린이 학습자 수준의 일상생활 및 경험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교과서부터 어린이 학습자의 실제 생활과 경험 수준에 맞는 인권 침해 사건이나 주변의 차별적 사례 등을 찾고 발굴하는 과정을 통해 인권 개념과 가치를 내면화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해야 하겠다.
      지식으로 습득된 인권 의식의 가치가 내면화되어 현실에서 적극적인 행위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지식 위주의 규범적 수준의 접근에서 탈피하여 실제와 경험의 수준, 실천과 행위의 수준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러나 교과서에 제시된 인권교육은 규범적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했고 아동의 실생활이 결여된 경험적 실제적 수준에서의 접근은 충분한 공감을 통한 실천의지 확보에 한계를 보였다. 지식과 규범 위주의 인권교육을 넘어 학습자가 스스로의 인권감수성을 높여 인권에 대한 공감을 형성하고 실천적 연습을 통해 궁극적으로 인권친화적 행위에 도달할 수 있도록 인권교육 내용의 제시 방식은 보다 경험적 실제적 수준, 행동과 수행의 수준으로 변모하여야 할 것이다.
      현재의 교육과정은 대강화로 인해 인권에 대한 가치와 지식을 압축적으로 제시하고 있었으며, 인권교육을 법적 테두리로 묶어 인권을 보는 근본적 시각조차 법적 접근과 인권적 접근으로 복합되어 전달되고 있었다. 또한 인권교육의 최신 지식과 인권교육에 대한 인권적 접근 방향은 교사용 지도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에 따로 소개되고 있어 교사들의 인권 수업 전문성과 인권 마인드 형성에 충분한 도움이 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교육과정은 교사들이 인권교육에 대한 최신 지식을 습득하고 인권에 대한 총체적 시각과 안목을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인권교육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더불어 교사를 위한 소통의 장으로 진화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1.2. 선행 연구 분석 6
      • 1.2.1. 한국 사회에서의 인권 담론 변천에 관한 연구 6
      • 1.2.2. 교육 분야에서의 인권 관련 연구 10
      • 제 1 장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1.2. 선행 연구 분석 6
      • 1.2.1. 한국 사회에서의 인권 담론 변천에 관한 연구 6
      • 1.2.2. 교육 분야에서의 인권 관련 연구 10
      • 1.3. 연구 문제 14
      • 제 2 장 인권과 인권교육 15
      • 2.1. 인권의 개념 15
      • 2.1.1. 자유권 16
      • 2.1.2. 사회권 20
      • 2.1.3. 연대권 23
      • 2.2. 민주주의 발전과 인권담론 27
      • 2.3. 인권교육 34
      • 2.3.1. 세계 인권교육의 흐름 34
      • 2.3.2. 초등학교 인권교육의 필요성 37
      • 2.3.3. 초등학교 인권교육에 대한 접근 방향 39
      • 2.4. 분석 대상 및 분석의 틀 43
      • 2.4.1. 분석 대상 43
      • 2.4.2. 분석의 틀 43
      • 제 3 장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인권교육 48
      • 3.1. 6차, 7차, 2007년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인권교육 분석 48
      • 3.2. 6차, 7차, 2007년 개정 초등 사회과 교과서 인권교육 분석 60
      • 3.2.1. 6차 초등 사회과 교과서 분석 결과 60
      • 3.2.2. 7차 초등 사회과 교과서 분석 결과 73
      • 3.2.3. 2007년 개정 초등 사회과 교과서 분석 결과 89
      • 제 4 장 초등학교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나타난 인권내용의 성격 : 한계 및 시사점 101
      • 4.1. 인권의 대상 101
      • 4.2. 인권의 제시 수준 109
      • 4.3. 교사의 인권 수업 지원 116
      • 제 5 장 결론 123
      • 5.1. 요약 123
      • 5.1.1. 사회의 흐름과 교과서 인권교육의 관계 124
      • 5.1.2. 교과서 인권교육의 제시 수준 및 접근 방향의 변화 130
      • 5.1.3. 연대적 권리의 등장과 성장 135
      • 5.2. 시사점 138
      • 5.2.1. 학습자의 일상생활에서 시작되는 인권교육 138
      • 5.2.2. 실제적 경험을 통한 실천의 인권교육 139
      • 5.2.3. 교사의 인권 수업 전문성 신장을 돕는 인권교육 140
      • 5.3. 한계점 141
      • 참고문헌 142
      • 영문초록 151
      • 부록 15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Vasak, "인권론", 1986

      2 이상돈, "인권법", 세창출판사, 2005

      3 Weston, "Human Rights", 1986

      4 Macdonald, "Natural rights", 1984

      5 조효제, "인권의 문법", 후마니타스, 2007

      6 이봉철, "현대인권사상", 아카넷, 2001

      7 Apple, Michael W, "Education and power", Routledge, 1995

      8 강순원, "평화,인권,교육", 2000

      9 Landman, Landman, T., "Studying Human Rights", 2006

      10 Conley, "Teaching human rights", 1984

      1 Vasak, "인권론", 1986

      2 이상돈, "인권법", 세창출판사, 2005

      3 Weston, "Human Rights", 1986

      4 Macdonald, "Natural rights", 1984

      5 조효제, "인권의 문법", 후마니타스, 2007

      6 이봉철, "현대인권사상", 아카넷, 2001

      7 Apple, Michael W, "Education and power", Routledge, 1995

      8 강순원, "평화,인권,교육", 2000

      9 Landman, Landman, T., "Studying Human Rights", 2006

      10 Conley, "Teaching human rights", 1984

      11 Hass, "Improving Human Rights", 1994

      12 Rock, Lipscomb, Heafner, "To test or not to test?", 2006

      13 Freire, Paulo, "Pedagogy of the Oppressed", A Pelican Book, Pedagogy of the Oppressed, 1972

      14 Freeman, Michael, "인권 : 이론과 실천", 아르케, 2005

      15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1992

      16 Beetham, "Demacracy and Human Rights", 1999

      17 인권관, 사이버 민주, "사이버 민주?인권관", 2001

      18 이해주, "청소년 인권과 참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8

      19 Evans, "The Politics of Human Rights", 2001

      20 Schmidt-Sinns, "How can we teach human rights", How can we teach human rights?, 1980

      21 이성계, "인권의 심의적 보편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09

      22 Montgomery, John Warwick, "Human rights and human dignity", Zondervan Pub. House, 1986

      23 교육인적자원부, "사회과 교육과정 [별책7]", 2007

      24 송영현, "인권사상의 전개와 실현", 2008

      25 김만흠(Kim Man-Heum), "한국의 민주주의와 인권",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민주주의와 인권, 2001

      26 Lyseight-Jones, "Human Rights in Primary Education", 1991

      27 교육부, "제6차 국민학교 교육과정", 1993

      28 김중섭, "한국 교육의 위기와 인권", 한국인문사회과학원, "현상과 인식, 2001

      29 Osler,A., "Teacher education and human rights", 1996

      30 대한변호사협회, "2006~2008). 인권보고서. 서울", 1998

      31 Howard, "Human Rights in Commonwealth Africa", 1986

      32 Flowers, "What is the human rights education?", 2003

      33 한은주, "사회과 인권교육 내용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05

      34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인권교육 체계화 방안 연구", 2000

      35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Ⅰ)", 2008

      36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Ⅲ)",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Ⅲ), 1998

      37 Welch, Claude Emerson, "Human rights and development in Afric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4

      38 Hurights Osaka, "Human rights in Asian schools-Volume 1", 1998

      39 김신, Andreassen, Marks, "인권을 생각하는 개발지침서", 2010

      40 Twiss, "History, Human Rights, and Globalization", "History, 2004

      41 Lister, "Teaching and Learning about Human Rights", 1984

      42 교육부, "제6차 국민학교 교육과정 해설", 1993

      43 김호기, "시민사회의 구조와 변동, 1987~2000",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시민사회의 구조와 변동 1987~2000, 2000

      44 Tarrow, "Human rights education alternative conception", 1991

      45 Donnelly, Jack, "Universal human rights in theory and practice", Cornell University Press, 2003

      46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유초중고 인권교육과정 개발 연구", 2003

      47 이지혜, "인권교육 연구의 대상과 내용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2009

      48 Tarrow, "Human Rights Education: Alternative Conceptions", 1992

      49 Claude, "The classical model of human rights development", 1976

      50 Fullan,M., "The new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3rd Ed.)", The new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3rd ed), 2001

      51 김철규, "87년 체제의 해체와 개발주의의 부활", 2007

      52 이재호(Rhee Jae-ho), "인권교육의 재정립과 실천방향 모색",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신문화연구, 2008

      53 Wiggen, Strassberg, "Conformity as a function of age in preadolescents", 1973

      54 McEneaney, "Elements of a Contemporary Primary School Science", 2003

      55 교육과학기술부,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 3~6학년", 2010

      56 조기제, "인권교육의 요청과 교사의 의식 전환", 2005

      57 김민수, "인권의 보편성과 실천성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2003

      58 정승식, "초등학교 교사의 학생인권 의식 분석", 2007

      59 김영태, "한국 민주주의의 공고화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2004

      60 Banks, J. A., "Teaching Strategies for the Social Studies, 4th ed", Teaching Strategies for the Social Studies 4th ed, 1990

      61 Su?rez, "The Institutionalization of Human Rights Education", 2006

      62 교육부, "제6차 국민학교 사회과 교과서 3~6학년", 1996

      63 교육인적자원부, "제7차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 3~6학년", 2002

      64 Kang, "Democracy and Human Rights Education in South Korea", 2002

      65 Andreopoulos, George J, "Human rights education for the twenty-first century",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97

      66 Tibbitts, "On human dignity: The need for human rights education", 1996

      67 Rogoff, Barbara, "Everyday cognition : its development in social context", Harvard University Press, Everyday cognition: Its development in social context, 1984

      68 Marks, "Emerging Human Rights : A New Generation for the 1980s?", 1991

      69 Barber, "Political participation and the creation of Res Publica", 1988

      70 최치원, "인권 흥정논리와 한국 민주주의의 재조명", 2009

      71 McTighe, Jay, "(거꾸로 생각하는) 교육과정 개발 : 핸드북", 학지사, 2008

      72 Fritzsche, Weinbrenner, "Teaching Human Rights Suggestions For Teaching Guidelines", 1993

      73 Benavot, Braslavsky, "School Knowledge in Comparative and Historical Perspective", 2006

      74 Elliott, "Textbooks and the curriculum in the postwar era, 1950-1980", "Textbooks and the curriculum in the postwar era, 1990

      75 Nicholls, "The philosophical underpinnings of school textbook rsearch", 2007

      76 박상준, "인권 교육의 통합적 접근에 대한 이론적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03

      77 허수미(Heo Su-Mi), "인권적 문화 형성을 위한 인권교육 방향 설정",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사회과교육, 2008

      78 Meintjes, "Human rights Education as Empowerment: Reflections on Pedagogy", 1997

      79 Yamasaki, Megumi, "Human rights education: An elementary school-level case study", University of Minnesota, 2002

      80 문영희(Young-Hee Moon), "아동의 권리실현을 위한 인권교육에 관한 고찰", 한국인권사회복지학회, "인권복지연구, 2010

      81 박용조, "인권의 보편성이 사회과 인권교육에 주는 시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사회과교육연구, 2006

      82 설규주(Seol Kyu Joo), "한국 시민사회의 성장과 학교 인권교육의 과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사회과교육, 2005

      83 Hornberg, "Human Rights Education As an Integral Part of General Education", 2002

      84 Schon, Donald A, "The reflective practitioner :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Basic Books, 1983

      85 Greene, "Instinct of Nature: Natural Law, synderesis, and the moral sense", "Instinct of Nature: Natural Law, 1997

      86 Heater, "Human rights education in schools: concepts attitudes, and skills", "Human rights education in schools: concepts attitudes, 1984

      87 김혜현, "중학교 사회과 교육에서의 인권교육에 관한 연구", 2005

      88 Reardon, Betty, "Comprehensive peace education : educating for global responsibility", Teachers College Press, 1988

      89 Guppy, Davies, "Globalization and Educational Reforms in Anglo-American Democracies", 1997

      90 UNESCO, "Recommendation concerning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1974

      91 구정화(Jeonghwa Koo), "유엔아동권리협약을 고려한 학교 인권교육의 방향",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사회과교육, 2009

      92 Gardner, Howard, "The unschooled mind : how children think and how schools should teach", BasicBooks, The unschooled mind: How children think and how schools should teach, 1991

      93 박미경, "초등학교 인권교육에 대한 아동과 교사의 인식 연구", 2007

      94 Su?rez, "Education Professionals and the Construction of Human Rights Education", 2007

      95 UNESCO, "UNESCO Associated Schools Project Network: Historical Review 1953-2003", 2003

      96 Lave, Jean, "Cognition in practice : mind, mathematics, and culture in everyday lif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ognition in practice: Mind mathematics and culture in everyday life, 1988

      97 Anja, Concepcion, Carolina, Murray, "Moral and human rights education: the contribution of the United Nations", 2008

      98 Jennings, "Self-in connection as a component of human rights advocacy and education", 1994

      99 Tibbitts, "Understanding what we can do: emerging models for human rights education", 2002

      100 서경혜 ( Kyoung Hye Seo ),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09

      101 김민경,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인권교육 내용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007

      102 Ishay, Micheline, "The history of human rights : from ancient times to the globalization er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8

      103 Bussis, Anne M, "Beyond surface curriculum : an interview study of teachers' understandings", Westview Press, Beyond surface curriculum: An interview study of teachers' understandings, 1976

      104 Roosevelt, Eleanor, "Courage in a dangerous world : the political writings of Eleanor Roosevelt",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9

      105 Bromley, Ramirez, Meyer, "Human Rights in Social Science Textbooks: Cross-national Analyses 1970-2008", 2010

      106 Monisha, "Human rights education and student self-conception in the Dominican Republic", 2004

      107 정영선, "Asian perspectives on human rights and trade-off thesis: Focus on south Korea", Univ. of Tennessee - Knoxville, 1999

      108 허종렬, "제7차 교육과정 교과서 인권관련 내용 분석연구-초등학교편-", 국가인권위원회, 2002

      109 김평국,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과 내용 재구성 실태와 그 활성화 방안",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04

      110 Apple, "Teachers and Texts: A Political Economy ofClass and Gender Relations in Education", 1986

      111 박성수, "초등학교 도덕과·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인권관련 내용 연구", 성공회대학교, 2009

      112 Torney-Purta, "Human Rights In Teaching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Peace, and Human Rights, ed", "Human Rights In Teaching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Peace, 1984

      113 Dale, Robertson, "The Varying Effects of Regional Organizations as Subjects of Globalization of Education", 2002

      114 Torney, "The elementary years as an optimal period for learning about international human rights", 1980

      115 하형주, "한국의 정치발전과정에서 발생한 정치폭력에 관한 연구: 1948∼1997", 2007

      116 구정화, "아동의 '인권' 개념 형성에 비추어 본 초등사회과 인권 내용 적합성",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사회과교육, 2004

      117 Akiba, LeTendre, Goesling, Wiseman, "Teachers' Work: Institutional Isomorphism and Cultural Variation in the U.S., Germany, and Japan", "Teachers' Work: Institutional Isomorphism and Cultural Variation in the U.S., 2001

      118 김영길, "학생인권측면에서 본 초등학교 생활규정의 활용 실태와 교사의 인식 연구", 2007

      119 Hover, Yeager, "Virginia vs Florida: Two of the influence of high-stakes tests on their instructional decision-making", 2006

      120 정명선, "한국에서 1987년과 근대의 의미 -이성적인 것으로서 민주주의와 민주화의 문제들-", 2008

      121 Astiz, Wiseman, Baker, "Slouching towards Decentralization: Consequences of Globalization for Curricular Control in National Education Systems", 2002

      122 성경희, "제7차 교육과정의 현장 운영 실태 분석(Ⅱ) -중등학교 국민공통기본교과를 중심으로(총론)-", 2004

      123 Lucas, "Teaching about Human Rights in the Elementary Classroom Using the Book A Life Like Mine: How Children Live around the World", 2009

      124 박순경, "제7차 초·중등학교 교육과정평가연구(Ⅱ):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평가를 중심으로", 2002

      125 이정우,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사회’ 교과서 분석 연구: 교육과정 대강화에 따른 교과서 다양성을 중심으로", 2010

      126 Lapayese, "National Initiatives within the UN Decade for Human Rights Education: The Implementation of Human Rights Education Policy Reforms in Schools", 2005

      127 Leung, "An 'action-poor' human rights education: a critical review of the development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context of civie education in Hong Kong",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