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 문 초 록 조지 휫필드의 은혜의 신학으로서의 칭의론 연구 이 동 광 조직신학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이 논문의 목적은 18세기 영국 복음주의 부흥운동을 이끌었던 조지 휫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649353
천안 :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20
학위논문(박사) --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 조직신학 , 2020. 8
2020
한국어
"칭의" ; "그리스도의 의의 전가" ; "거듭남"
충청남도
258 page ; 26 cm
지도교수: 이경직
I804:44020-20000034002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 문 초 록 조지 휫필드의 은혜의 신학으로서의 칭의론 연구 이 동 광 조직신학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이 논문의 목적은 18세기 영국 복음주의 부흥운동을 이끌었던 조지 휫필...
국 문 초 록
조지 휫필드의 은혜의 신학으로서의 칭의론 연구
이 동 광
조직신학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이 논문의 목적은 18세기 영국 복음주의 부흥운동을 이끌었던 조지 휫필드의 은혜의 신학으로서의 칭의론을 집중적으로 탐구함으로써 구원의 수단이 되는 믿음이 거듭남과 성화를 배제하는 값싼 믿음이 아니라, 오히려 복음적 순종과 제자도의 삶을 촉진시키는 믿음이라는 사실을 그의 설교를 토대로 밝히고자 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논의를 네 가지로 전개한다.
첫째, 18세기 영국의 도덕적, 영적 상황을 면밀하게 탐구한다. 휫필드의 신학 사상이 진공상태에서 형성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의 신앙과 신학은 잉글랜드 국교회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그가 개혁주의 구원론을 발견한 청교도 운동과 신학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청교도 신학은 구원에 있어서 하나님의 절대 주권을 강조하는 칼빈의 신학을 계승했기 때문이다. 휫필드가 하나님의 절대 주권을 강조하는 구원론을 주장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러나 휫필드는 오직 믿음으로 의롭다 함을 받는다는 교리를 잘못 이해하여 반율법주의에 빠지는 것을 경계하였다. 그가 보기에 18세기 영국 사회의 도덕불감증은 반율법주의의 결과였기 때문이다.
둘째, 휫필드의 생애와 사역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서 그의 신학 사상을 신학적 회심을 중심으로 구별하여 살펴본다. 신학적 회심 이전에 그는 인간 구원에 있어서 행위도 중요하다는 아르미니우스주의 입장을 받아들였다. 그러나 그가 자신의 일기에서 고백하듯이, 그의 성령체험은 하나님의 절대 주권을 인정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신학적 회심 이후에 그는 오직 믿음으로 구원을 얻는다는 개혁주의 구원론을 주장하게 되었다. 그는 구원론에 있어서 믿음뿐 아니라 선행도 강조하는 국교회 신학의 문제점을 깨닫고 오직 믿음으로 구원을 얻는다는 개혁주의 신학으로 넘어 왔다.
셋째, 이 논문은 휫필드가 신학적 회심을 거친 후에 제시한 칭의론을 그의 설교들을 분석함으로써 재구성하고자 한다. 휫필드는 칭의론을 별도로 다루는 조직신학 책을 저술하지 않았고, 오직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얻는다는 복음을 철저히 설교 강단에서 전하는 현장 목회자로서 신학을 수행했다. 그러나 그의 모든 설교에는 이신칭의 복음이 일관되게 나타나기 때문에 그의 설교문을 탐구함으로써 그의 칭의론을 조직신학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 조직신학은 철저히 교회와 성도를 위하는 것이어야 함을 그의 칭의론이 잘 보여주기 때문이다.
넷째, 필자는 휫필드가 구원을 인간의 회복과 갱신으로 보고 있다고 여긴다. 휫필드에 따르면 칭의는 이러한 구원을 가능케 하는 근거가 된다. 휫필드가 칭의의 첫 번째 전제조건으로써 타락 이전의 인간 상태를 지목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 상태는 타락한 인간이 회복되어야 할 상태이기 때문이다.
휫필드는 칭의의 본질을 죄 용서와 양자 됨, 영생의 회복에서 찾으면서 양자 됨과 영생이 인간이 타락 전에 얻었어야 할 유업임을 밝힌다. 그는 칭의의 수단이 인간의 순종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온전한 순종이며 그 순종을 믿는 믿음을 강조함으로써 구원에 있어서 하나님의 절대 주권을 강조하였다.
그런데 휫필드는 이신칭의 복음이 거듭남과 성화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사실도 보여주고자 했다. 그에 따르면 칭의는 거듭남과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회심과 회개를 수반할 뿐 아니라 성화가 칭의의 열매로 맺어지게 한다. 그에 의하면 칭의가 하나님의 절대 주권적인 은혜 아래 이루어지듯이, 칭의의 열매인 성화도 그 성화를 끝까지 완성하시는 성도의 견인도 하나님의 절대 주권적 은혜 아래 이루어진다. 그러하기에 휫필드의 은혜의 신학으로서의 칭의론은 구속 사역의 적용에 있어서 하나님의 절대 주권을 강조하면서도 동시에 구원의 과정에서 인간의 책임적인 삶을 부정하지 않을 뿐 아니라 더욱이 인간의 능동적인 참여를 요구한다. 따라서 그의 칭의론은 작금의 한국교회가 당면한 신앙과 삶의 불일치를 해결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할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김세윤, "칭의와 성화", 서울: 두란노, 2013
2 박동근, "칭의의 복음", 서울: 합신대학원출판부, 2012
3 Waters, Guy., "칭의란 무엇인가?", 신호섭 역 서울: 부흥과개혁사, 2011
4 강웅산, 조나단, "웨드워즈의 칭의론", 서울: 목양, 2017
5 최갑종, "칭의란 무엇인가",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 null
6 고경태, "현대 칭의론 논쟁", 서울: CLC, 2017
7 신호섭, "개혁주의 전가교리", 서울: 지평서원, 201, null
8 김진두, "웨슬리의 실천신학", 서울: 진흥, 2000
9 이선희, "웨슬리 신학의 탐구", 대전: 복음, 2002
10 서창원, "청교도 신학과 신앙", 서울: 지평서원, 2013
1 김세윤, "칭의와 성화", 서울: 두란노, 2013
2 박동근, "칭의의 복음", 서울: 합신대학원출판부, 2012
3 Waters, Guy., "칭의란 무엇인가?", 신호섭 역 서울: 부흥과개혁사, 2011
4 강웅산, 조나단, "웨드워즈의 칭의론", 서울: 목양, 2017
5 최갑종, "칭의란 무엇인가",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 null
6 고경태, "현대 칭의론 논쟁", 서울: CLC, 2017
7 신호섭, "개혁주의 전가교리", 서울: 지평서원, 201, null
8 김진두, "웨슬리의 실천신학", 서울: 진흥, 2000
9 이선희, "웨슬리 신학의 탐구", 대전: 복음, 2002
10 서창원, "청교도 신학과 신앙", 서울: 지평서원, 2013
11 Melanchthon, Philip, "신학총론. 이승구 역",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0
12 김용주, "칭의, 루터에게 묻다", 서울: 좋은씨앗, 2017
13 Luther, Martin, "탁상담화. 이길상 역",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5
14 유태화, "삼위일체론적 구원론", 서울: 대서, 2007
15 Piper, John, "칭의 논쟁. 신호섭 역", 서울: 부흥과개혁사, 2009
16 김진두, "웨슬리와 우리의 교리", 서울: KMC, 2003
17 허천회, "웨슬리의 생애와 신학", 서울: CLC, 2020
18 Tillich, Paul, "새로운 존재. 김광남 역", 서울: 뉴 라이프, 2008
19 Tillich, Paul, "존재의 용기. 차성구 역",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2004
20 Heron, James, "청교도 역사. 박영호 역", 서울: CLC, 1996
21 Bavinck, Herman, "개혁교의학 1. 박태현 역", 서울: 부흥과개혁사, 2011
22 Bavinck, Herman, "개혁교의학 2. 박태현 역", 서울: 부흥과개혁사, 2011
23 Bavinck, Herman, "개혁교의학 3. 박태현 역", 서울: 부흥과개혁사, 2011
24 Bavinck, Herman, "개혁교의학 4. 박태현 역", 서울: 부흥과개혁사, 2011
25 김세윤, "바른 신앙을 위한 질문들", 서울: 두란노, 2015
26 김영선, "존 웨슬리와 감리교 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2
27 Dillenberger, John, "루터의 저작선. 이형기 역",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4
28 Noll, A. Mark, "복음주의 발흥. 한성진 역", 서울: CLC, 2012
29 Cannon, William, "웨슬리의 신학. 남기철 역", 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교 육국, 1986
30 Mcgrath, Alister, "종교개혁 사상. 최재건 역", 서울: CLC, 2006
31 Calvin, John, "기독교 강요 上. 원광연 역",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3
32 Calvin, John, "기독교 강요 下. 원광연 역",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3
33 Calvin, John, "기독교 강요 中. 원광연 역",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3
34 Bavinck, Herman, "하나님의 큰 일. 김영규 역", 서울: CLC, 1999
35 서창원, "조지 휫필드의 생애와 사역", 서울: 킹덤북스, 2016
36 Calvin, John, "칼뱅 작품선집 3. 박건택 역", 서울: 총신대학교출판부, 2009
37 Calvin, John, "칼뱅 작품선집 4. 박건택 역", 서울: 총신대학교출판부, 2009
38 이인엽, "“조지 휫필드의 성령론 연구.”", 박사학위논문,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18
39 Van Genderen, J, Velema, W.H., "개혁교회 교의학. 신지철 역", 서울: 새물 결플러스, 2018
40 Hoekema, Anthony, "개혁주의 구원론. 이용중 역", 서울: 부흥과 개혁사, 2012
41 Hoekema, Anthon, "개혁주의 인간론. 이용중 역", 서울: 부흥과 개혁사, 2012
42 MacCulloch, Diarmaid, "영국의 종교개혁. 한동수 역", 서울: CLC, 2018
43 Ryle, John, "휫필드와 웨슬리. 배용덕 역", 서울: 부흥과개혁사, 2005
44 Pronk, Cornelis, "도르트 신조 강해. 황준호 역", 서울: 그책의 사람들, 2012
45 Ferguson, Sinclair, "성화란 무엇인가?. 이미선 역", 서울: 부흥과개혁 사, 2010
46 Wesley, John, "존 웨슬리의 일기. 나원용 역", 서울: KMC, 1994
47 Owen, John, "죄와 은혜의 지배. 이한상 역", 서울: 부흥과 개혁사, 2011
48 Buchanan, James, "칭의 교리의 진수. 신호섭 역", 서울: 지평서원, 2002
49 Muller, Richard, "칼빈과 개혁 전통. 김병훈 역", 서울: 지평서원, 2017
50 Packer, James, "알미니우스주의. 이스데반 역", 서울: CLC, 2019
51 이경직, "“이신칭의에 대한 올바른 이해.”", 한국개혁신학 제37권, : 48-83, 2013
52 Horton, Michael, "개혁주의 조직신학. 이용중 역", 서울: 부흥과 개혁사, 2012
53 Chester, Tim, Reeves, Michael, "종교개혁 핵심질문. 오현미 역", 서울: 복 있는 사람, 2017
54 김동건, "현대신학의 흐름: 계시와 응답",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8
55 Winslow, Octavius, "성령님의 구원 사역. 김효남 역", 서울: 지평서원, 2011
56 Bonar, Horatius, "영원한 의. 신호섭 송용자 공역", 서울: 지평서원, 2003
57 Cox, Leo, "존 웨슬리의 완전론. 김덕순 역", 서울: 은성, 1989
58 장종현,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 서울: 백석정신 아카데미, 2018
59 김호욱, "영국의 종교개혁과 청교도 운동", 서울: 가리온, 2014
60 유창형, "“웨슬리와 휫필드의 칭의론 연구.”", 한국개혁신학 제32권, : 135 -169, 2011
61 Boice, James, "기독교강요 교리설교. 지상우 역",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0
62 Erickson, Millard, "복음주의 조직신학 上. 신경수 역", 서울: 크리스챤다이 제스트, 2000
63 Erickson, Millard, "복음주의 조직신학 下. 신경수 역",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0
64 Erickson, Millard, "복음주의 조직신학 中. 신경수 역",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0
65 Frame, John, "존 프레임의 조직신학. 김진운 역", 서울: 부흥과 개혁사, 2017
66 Sherriff, Collin, "“The theology of George Whitefield(1714-1770).”",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The University of Edinburgh in the Faculty of Divinity, 1950
67 이경직,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속죄론 연구.”", 박사학위논문, 백석대학교 기독교 전문대학원, 2011
68 Owen, John, "신자 안에 내재하는 죄. 김귀탁 역", 서울: 부흥과 개혁사, 2009
69 이성호, "“선행교리에 대한 개혁신학의 변증.”", 한국개혁신학 제26권, : 273-300, 2009
70 Buchanan, James, "성령의 사역, 회심과 부흥. 신호섭 역", 서울: 지평서원, 2006
71 박찬호,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 신학회복운동.”", 백석신학저널 제37호, : 79-106, 2019
72 Wesley, John, "웨슬리 설교전집 1 한국웨슬리학회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 회, 2006
73 남기철, "성령의 사람, 존 웨슬리에게 길을 묻다", 서울: KMC, 2013
74 Wesley, John, "웨슬리 설교전집 2. 한국웨슬리학회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6
75 Wesley, John, "웨슬리 설교전집 3. 한국웨슬리학회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6
76 Wesley, John, "웨슬리 설교전집 4. 한국웨슬리학회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6
77 Wesley, John, "웨슬리 설교전집 5. 한국웨슬리학회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6
78 Wesley, John, "웨슬리 설교전집 6. 한국웨슬리학회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6
79 Wesley, John, "웨슬리 설교전집 7. 한국웨슬리학회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6
80 Wesley, John, "존 웨슬리 논문집 2. 한국웨슬리학회 역", .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9
81 Berkhof, Louis, "벌코프의 조직신학. 권수경 이상원 공역",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2000
82 Wesley, John, "존 웨슬리 논문집 1. 한국웨슬리학회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9
83 Charnock Stephen, "바로 알아야 할 거듭남의 본질. 손성은 역", 서울: 지 평서원, 2007
84 강영안, "믿는다는 것, 묻고 응답하고 실천하는 믿음", 서울: 복 있는 사람, 2018
85 이성호, "“생명력 있는 신자의 삶을 위한 휫필드의 투구.”", 한국개혁신학 제32 권, : 102-134, 2011
86 이효선, "“개혁주의생명신학의 관점으로 본 구원론 연구.”", 박사학위논문, 백석 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8
87 김영선, "“조지 휫필드의 성령의 사역에 대한 고찰(考察).”", 영성포럼 제25권, : 35-40, 2016
88 Collines, Kenneth, "존 웨슬리의 신학: 거룩한 사랑과 은총. 이세형 역", 서울: KMC, 2012
89 Horton, Michael, "언약신학: 개혁신학의 뼈대를 세워 주는. 백금산 역", 서울: 부흥과 개혁사, 2009
90 Collines, Kenneth, "성경적 구원의 길; 존 웨슬리 신학의 정수. 장기영 역", 서울: 새물결 플러스, 2017
91 김재성, "개혁신학의 광맥; 신앙고백적 칼빈주의의 태동과 특징", 서울: 킹덤북 스, 201, null
92 Dallimore, Arnold, "조지 휫필드: 18세기의 위대한 복음 전도자. 오현 미 역", 서울: 복 있는 사람, 2015
93 Fisher, Edward, "토마스 보스턴과 함께 읽는 개혁신앙의 정수. 황준호 역", 서울: 부흥과 개혁사, 2018
94 Beilby, James, Eddy, Paul, "칭의 논쟁: 칭의에 대한 다섯 가지 신학적 관점. 문현인 역",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5
95 박응규, "“조지 휫필드와 웨일스의 칼빈주의적 감리교와 관계 재고찰.”", ACTS 신학저널 제38집, : 129-160, 2018
96 손동식, "“명설교자 사중복음 설교(1): 조지 휫필드의 회개와 회심의 설교.”", 활 천 제775호, : 78-81, 2018
97 Mcgrath, Alister, "하나님의 칭의론: 기독교 교리 칭의론의 역사(歷史). 한성 진 역", 서울: CLC, 2008
98 Pronk, Cornelis, "도르트 종교회의; 알미니안 논쟁의 시작과 그 영향. 마르투스 역", 서 울: 마르투스, 2017
99 조지 휫필드, "George Whitefield's J ournals(1714-1770). 조지 휫필드의 일 기. 엄희경 역", 서울: 지평서원, 2002
100 Klaiber, Walter, Marquardt, Manfred, "감리교회 신학: 하나님의 은혜를 실 천하는 사람들의 신학. 조경철 역", 서울: KMC, 2007
101 Cooper, John, "철학자들의 신과 성서의 하나님; 신과 세계의 관계 그 치열한 논쟁사. 김재영 역",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1
102 조지 휫필드, "Sermons on Important Subjects by Reverend Geroge Whitefield(1714-1770). 피난처이신 그리스도. 서문 강 역", 서울: 지평서원, 2003
103 권 호,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설교학적 힘; 조지 휫필드의 새 생명 설교와 설 교학적 임팩트에 관한 연구", ” 생명과 말씀 제8권, : 13-33, 2013
104 조지 휫필드, "Sermons on Important Subjects by Reverend Geroge Whitefield(1714-1770). 하나님의 사랑을 입은 사람들. 최승락 역", 서울: 지 평서원, 2003
105 조지 휫필드, "Sermons on Important Subjects by Reverend George Whitefield(1714-1770). 와서 최고의 신랑 그리스도를 보라. 서창원 역", 서울: 지평서원, 2003
106 조지 휫필드, "Sermons on Important Subjects by Reverend Geroge Whitefield(1714-1770). 복음잔치: 오라 강청하시는 그리스도. 서문 강 역", 서울: 지평서원, 2003
107 조지 휫필드, "Sermons on Important Subjects by Reverend Geroge Whitefield(1714-1770). 시험당하는 당하는 자를 도우시는 그리스도. 서문 강 역", 서울: 지평서원,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