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 문 초 록> 유아교사의 전문성인식 및 자아탄력성과 행복감과의 관계 최 유 리 (지도교수 : 김 정 겸)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전문성인식 및 자아탄력성과 행복감과 관계가 있는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771510
대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학위논문(석사) --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 유아교육 전공 , 2018. 2
2018
한국어
372.21 판사항(22)
대전
v, 81 p.; 26 cm.
충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정겸
참고문헌 : p. 60-7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 문 초 록> 유아교사의 전문성인식 및 자아탄력성과 행복감과의 관계 최 유 리 (지도교수 : 김 정 겸)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전문성인식 및 자아탄력성과 행복감과 관계가 있는지 ...
<국 문 초 록>
유아교사의 전문성인식 및
자아탄력성과 행복감과의 관계
최 유 리
(지도교수 : 김 정 겸)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전문성인식 및 자아탄력성과 행복감과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전문성인식과 행복감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2.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유아교사의 전문성인식 및 자아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 목적에 따라 D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33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17년 7월17일부터 8월11일까지 330부를 배부하고, 2017년 7월24일부터 8월 18일까지 320부를 회수하여 총 유효사용 설문지 300부로 설문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를 위한 검사도구로는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정지연(2016)이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최은미(2016)가 사용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유아교사의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장연화(2014)가 사용한 검사 도구를 유아교육 전문가에게 적절성과 타당도를 검토 받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수집된 자료는 SPSS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도구의 신뢰도 검사 Cronbach's α 와 단순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성 인식과 행복감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행복감은 전체적으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성 인식의 하위영역별 행복감과의 관계에서도 전체적으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 탄력성과 행복감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은 전체적으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 탄력성의 하위영역별 행복감과의 관계에서도 전체적으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전문성인식과 자아탄력성에 따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전문성인식 하위변인 중 직업윤리, 사회경제적 지위와 자아탄력성 하위변인 중 낙관적 태도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직업윤리와 사회경제적 지위 향상과 낙관적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환경을 모색하여 제공함으로서 유아교사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유아교사의 전문성인식 및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유아교사의 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유아교육현장에서 보다 행복한 유아교사생활을 할 수 있도록 유아교사의 전문성인식 및 자아탄력성 향상을 위한 근무환경과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 줄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