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치과위생사의 임플란트 진료참여 항목 정교화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4376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aborate the dental hygienists’ participated items in implant treatment.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to serve the purpose: 1) What is the state of implant treatment in major domestic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2) What parts of dental hygienists’ participated items in implant treatment involved in? 3) What is related to each part of implant treatment that they are involved i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dental hygienists who were in charge of implant in eight different institutions that could represent domestic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The implant treatment process and the parts of it for which the dental hygienists were responsible were investigat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advice and help of dentists, well-experienced dental hygienists and dental hygiene professors.
      The focus of this study was to elaborate dental hygienists’ participa-
      ted items in implant treatment carried into 15 categories. In this study, the selected 15 categories were subdivided into 154 items: preparation for participated in implant treatment(six items), oral examination/ grasping diagnostic data(12), producing and analyzing a diagnostic model(3), preoperative counseling(8), stent production and panoramic radiography(5), checking the state of patients and preoperative prepara-
      tion(13), preoperative anesthesia(5), the primary operation (25), wrapping up the primary operation(11), arranging the tools of the primary operation(5), postoperative treatment(4), the secondary operation(6), production and installation of cement-type prosthesis, production and installation of screw-type prosthesis(24), and patient education/regular management(4).
      In conclusion, domestic major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should classify of dental hygienists’ participated items in implant treatment. The elaboration of participated items in implant treatment should be done by focusing on preoperative activities, operation process, production and installation of prosthesis, patient education and post management. In other words, it's desirable to cover all the specific activities linked to each of the 15 categories(154 items) presented in this study at leas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aborate the dental hygienists’ participated items in implant treatment.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to serve the purpose: 1) What is the state of implant treatment in major domestic dental hospitals and cl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aborate the dental hygienists’ participated items in implant treatment.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to serve the purpose: 1) What is the state of implant treatment in major domestic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2) What parts of dental hygienists’ participated items in implant treatment involved in? 3) What is related to each part of implant treatment that they are involved i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dental hygienists who were in charge of implant in eight different institutions that could represent domestic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The implant treatment process and the parts of it for which the dental hygienists were responsible were investigat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advice and help of dentists, well-experienced dental hygienists and dental hygiene professors.
      The focus of this study was to elaborate dental hygienists’ participa-
      ted items in implant treatment carried into 15 categories. In this study, the selected 15 categories were subdivided into 154 items: preparation for participated in implant treatment(six items), oral examination/ grasping diagnostic data(12), producing and analyzing a diagnostic model(3), preoperative counseling(8), stent production and panoramic radiography(5), checking the state of patients and preoperative prepara-
      tion(13), preoperative anesthesia(5), the primary operation (25), wrapping up the primary operation(11), arranging the tools of the primary operation(5), postoperative treatment(4), the secondary operation(6), production and installation of cement-type prosthesis, production and installation of screw-type prosthesis(24), and patient education/regular management(4).
      In conclusion, domestic major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should classify of dental hygienists’ participated items in implant treatment. The elaboration of participated items in implant treatment should be done by focusing on preoperative activities, operation process, production and installation of prosthesis, patient education and post management. In other words, it's desirable to cover all the specific activities linked to each of the 15 categories(154 items) presented in this study at leas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치과위생사의 임플란트시술 진료참여 항목을 정교화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근거하여 제시할 수 있는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의 주요 치과병(의)원들의 임플란트 진료활동 내용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치과위생사의 임플란트 진료참여 내용 항목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셋째, 임플란트 진료참여 내용 항목별 관련사항에는 어떤 것들이 포함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국내 치과병(의)원을 대표 할 수 있는 8개 기관에 근무하는 임플란트 담당 치과위생사이었다. 그리고 실제 진료활동의 분석 대상은 각 병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임플란트시술 진료과정과 진료참여 내용들이었다. 수집된 진료참여 내용 자료의 분석은 치과의사와 임상경험이 풍부한 치과위생사, 그리고 치위생과 교수의 자문과 도움을 받았다.
      본 연구의 초점은 치과위생사의 임플란트시술 진료참여 항목을 15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15영역을 154항목으로 세분화 할 수 있었다. 즉, 임플란트시술 진료참여 준비(6항목)-구강검사와 진단자료 파악(12항목)-진단모형의 제작과 분석(3항목)-시술 전 환자상담(8항목)-스텐트제작과 파노라마촬영(3항목)-환자상태의 확인과 수술 전 준비(13항목)-수술 전 마취(5항목)-제 1차 수술(25항목)-제 1차 수술 마무리(11항목)-제 1차 수술기구 정리(5항목)-제 1차 수술 후의 처치(4항목)-제 2차 수술(6항목)-시멘트타입 보철물의 제작과 장착(25항목)-스크루타입 보철물의 제작과 장착(24항목)-환자교육과 정기관리(4항목)이다.
      「진료준비참여 준비」항목은 진료를 위한 사전준비, 기본적인 사항기록, 스몰토킹, 생체징후 확인, 전신질환 확인, 챠트기록을 치과의사에게 확인하기가 중심이 된다.
      「구강검사와 진단자료 파악」항목은 구강검사, 검사내용 기록, 구강위생실태 기록, 구강카메라 촬영, 표준촬영, 교합촬영, 얼굴부위 악세사리 제거, 시티촬영 의뢰, 필름현상 및 보관, 구강사진 촬영, 디지털 촬영결과 편집하기가 중심이 된다.
      「진단모형의 제작과 분석」항목은 알지네이트로 인상채득, 모형재 주입하여 진단모형 제작, 진단모형 분석돕기가 중심이 된다.
      「시술 전 환자 상담」항목은 임플란트시술 과정 설명, 시술 진료비 설명, 골유착 기간 설명, 시술 후 합병증 설명, 실패시 대체 보철방법 설명, 환자의 진료동의 구하기, 수술날짜 확인, 처방전 발급 돕기가 중심이 된다.
      「스텐트제작과 파노라마 촬영」항목은 스텐트제작에 필요한 기자재 준비, 스텐트제작, 스텐트장착 후 파노라마 촬영하기가 중심이 된다.
      「환자상태의 확인과 수술 전 준비」항목은 전신질환 확인, 생체징후 확인, 처방된 약 복용상태 확인, 해부학적 구조물의 거리계산에 도움활동, 인공치근 길이 측정, 방사선 촬영 자료준비, 수술공간 소독, 수술장비의 멸균상태 확인과 준비, 필요한 인공치근 준비, 환자의 긴장감 해소 돕기가 중심이 된다.
      「수술 전 마취」항목은 마취앰플 준비, 필요한 기구 준비, 마취 앰플과 니들장착, 도포마취, 환자의 긴장감 해소 돕기가 중심이 된다.
      「제 1차 수술」항목은 수술복 준비, 구강 소독, 수술기구 배치, 핸드피스 장착, 셀라인 분사 확인, 멸균호일 부착, 멸균포 가림, 스텐트 소독, 수술과정 촬영, 임플란트용 엔진 조정, 사용예정인 드릴교환, 사용한 드릴 정돈, 시야확보 돕기, 드릴링 수치 확인, 세정, 인공치근 전달, 마운트 분리 돕기, 유지골 채우기 돕기, 커버스크루 준비, 봉합활동 돕기, 봉합사 절단, 치주포대 부착하기가 중심이 된다.
      「제 1차 수술 마무리」항목은 거즈물림, 근육주사하기, 방사선 촬영, 임시치아 장착, 얼음팩 제공, 수술결과 설명, 수술 후 증상설명, 주의사항 설명, 다음 약속날짜 확인, 환자 배웅하기가 중심이 된다.
      「제 1차 수술 기구 정리」항목은 수술용 엔진 정리, 핸드피스 정리, 기구세척 및 멸균, 수술실 소독, 적출물 정리하기가 중심이 된다.
      「제 1차 수술 후 처치」항목은 수술 후 확인전화, 치주포대 제거, 봉합사 제거, 수술부위 소독하기가 중심이 된다.
      「제 2차 수술」항목은 방사선 촬영, 필요한 기구 준비, 시야확보 돕기, 골융합상태 확인, 힐링 어바트먼트 연결, 봉합활동 돕기가 중심이 된다.
      「시멘트타입 보철물의 제작과 장착」항목은 인상과정 설명, 기구준비, 임플란트 주위소독, 시멘트타입 유지장치 선택, 유지장치 장착, 방사선 촬영, 스크루 조임하기, 스크루 홀을 재료로 막기, 지대치 형성과정 돕기, 치은압배사 삽입, 언터컷 왁스로 마무리, 최종인상 채득, 대합치 인상 채득, 교합채득, 보철물 재료선택, 도재 색상선택, 기공의뢰서 작성, 임시치아 장착, 제작된 보철물 장착, 인접치와 접촉 부위확인, 교합조정 돕기, 폴리싱, 보철물 접착, 잉여세멘 제거, 주의사항 설명하기가 중심이 된다.
      「스크루타입 보철물의 제작과 장착」항목은 인공치근 홀 주위소독, 1차 코핑 연결, 1차 인상채득, 1차 코핑 제거, 개인트레이에 접착재 도포, 치아사이 언더컷 왁스로 마무리하기가 중심이 된다. 그러나 인상용 코핑으로 인상채득을 할 경우는 2차 코핑연결 후 조임하기, 방사선 촬영, 2차 코핑연결, 최종인상 채득, 힐링 어바트먼트 연결, 교합채득 하기에 초점이 맞추어 진다. PR을 제작하여 인상채득을 할 경우는 PR제작 기공실에 의뢰, PR장착, PR연결, 교합조정, 방사선 촬영, PR에 코핑연결, 최종인상 채득, 코핑을 풀고 PR장착, 교합채득하기에 초점이 맞추어 진다. 그 다음은 대합치 인상채득, 보철물 재료선택, 도재 색상선택, 스크루타입 보철물 장착, 방사선 촬영, 교합조정 돕기, 스크루 최종 조임하기, 스크루 홀을 재료로 막기, 폴리싱, 주의사항 설명하기가 중심이 된다.
      「환자교육과 정기관리」항목은 임플란트 관리방법 설명하기, 치태관리하기, 방사선 촬영하기, 정기검진하기가 중심이 된다.
      결론적으로, 국내의 주요 치과병(의)원들의 임플란트 진료참여 항목들은 현재 보다 더욱 정교화 되어야 한다. 임플란트 진료참여 항목들의 구체적인 정교화는 임플란트시술 전의 활동과 본 시술 활동의 과정, 보철물의 제작과 장착과정, 그리고 환자교육과 관리의 과정 등에 초점을 맞추어 진료참여 항목을 정교화 하는 기초작업을 하여야 한다. 다시 말하면, 본 연구의 결과에서 제시한 최소 15영역(154항목)을 중심으로 각 항목들과 관련이 있는 구체적인 활동들이 포함될 수 있게 정교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치과위생사의 임플란트시술 진료참여 항목을 정교화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근거하여 제시할 수 있는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치과위생사의 임플란트시술 진료참여 항목을 정교화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근거하여 제시할 수 있는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의 주요 치과병(의)원들의 임플란트 진료활동 내용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치과위생사의 임플란트 진료참여 내용 항목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셋째, 임플란트 진료참여 내용 항목별 관련사항에는 어떤 것들이 포함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국내 치과병(의)원을 대표 할 수 있는 8개 기관에 근무하는 임플란트 담당 치과위생사이었다. 그리고 실제 진료활동의 분석 대상은 각 병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임플란트시술 진료과정과 진료참여 내용들이었다. 수집된 진료참여 내용 자료의 분석은 치과의사와 임상경험이 풍부한 치과위생사, 그리고 치위생과 교수의 자문과 도움을 받았다.
      본 연구의 초점은 치과위생사의 임플란트시술 진료참여 항목을 15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15영역을 154항목으로 세분화 할 수 있었다. 즉, 임플란트시술 진료참여 준비(6항목)-구강검사와 진단자료 파악(12항목)-진단모형의 제작과 분석(3항목)-시술 전 환자상담(8항목)-스텐트제작과 파노라마촬영(3항목)-환자상태의 확인과 수술 전 준비(13항목)-수술 전 마취(5항목)-제 1차 수술(25항목)-제 1차 수술 마무리(11항목)-제 1차 수술기구 정리(5항목)-제 1차 수술 후의 처치(4항목)-제 2차 수술(6항목)-시멘트타입 보철물의 제작과 장착(25항목)-스크루타입 보철물의 제작과 장착(24항목)-환자교육과 정기관리(4항목)이다.
      「진료준비참여 준비」항목은 진료를 위한 사전준비, 기본적인 사항기록, 스몰토킹, 생체징후 확인, 전신질환 확인, 챠트기록을 치과의사에게 확인하기가 중심이 된다.
      「구강검사와 진단자료 파악」항목은 구강검사, 검사내용 기록, 구강위생실태 기록, 구강카메라 촬영, 표준촬영, 교합촬영, 얼굴부위 악세사리 제거, 시티촬영 의뢰, 필름현상 및 보관, 구강사진 촬영, 디지털 촬영결과 편집하기가 중심이 된다.
      「진단모형의 제작과 분석」항목은 알지네이트로 인상채득, 모형재 주입하여 진단모형 제작, 진단모형 분석돕기가 중심이 된다.
      「시술 전 환자 상담」항목은 임플란트시술 과정 설명, 시술 진료비 설명, 골유착 기간 설명, 시술 후 합병증 설명, 실패시 대체 보철방법 설명, 환자의 진료동의 구하기, 수술날짜 확인, 처방전 발급 돕기가 중심이 된다.
      「스텐트제작과 파노라마 촬영」항목은 스텐트제작에 필요한 기자재 준비, 스텐트제작, 스텐트장착 후 파노라마 촬영하기가 중심이 된다.
      「환자상태의 확인과 수술 전 준비」항목은 전신질환 확인, 생체징후 확인, 처방된 약 복용상태 확인, 해부학적 구조물의 거리계산에 도움활동, 인공치근 길이 측정, 방사선 촬영 자료준비, 수술공간 소독, 수술장비의 멸균상태 확인과 준비, 필요한 인공치근 준비, 환자의 긴장감 해소 돕기가 중심이 된다.
      「수술 전 마취」항목은 마취앰플 준비, 필요한 기구 준비, 마취 앰플과 니들장착, 도포마취, 환자의 긴장감 해소 돕기가 중심이 된다.
      「제 1차 수술」항목은 수술복 준비, 구강 소독, 수술기구 배치, 핸드피스 장착, 셀라인 분사 확인, 멸균호일 부착, 멸균포 가림, 스텐트 소독, 수술과정 촬영, 임플란트용 엔진 조정, 사용예정인 드릴교환, 사용한 드릴 정돈, 시야확보 돕기, 드릴링 수치 확인, 세정, 인공치근 전달, 마운트 분리 돕기, 유지골 채우기 돕기, 커버스크루 준비, 봉합활동 돕기, 봉합사 절단, 치주포대 부착하기가 중심이 된다.
      「제 1차 수술 마무리」항목은 거즈물림, 근육주사하기, 방사선 촬영, 임시치아 장착, 얼음팩 제공, 수술결과 설명, 수술 후 증상설명, 주의사항 설명, 다음 약속날짜 확인, 환자 배웅하기가 중심이 된다.
      「제 1차 수술 기구 정리」항목은 수술용 엔진 정리, 핸드피스 정리, 기구세척 및 멸균, 수술실 소독, 적출물 정리하기가 중심이 된다.
      「제 1차 수술 후 처치」항목은 수술 후 확인전화, 치주포대 제거, 봉합사 제거, 수술부위 소독하기가 중심이 된다.
      「제 2차 수술」항목은 방사선 촬영, 필요한 기구 준비, 시야확보 돕기, 골융합상태 확인, 힐링 어바트먼트 연결, 봉합활동 돕기가 중심이 된다.
      「시멘트타입 보철물의 제작과 장착」항목은 인상과정 설명, 기구준비, 임플란트 주위소독, 시멘트타입 유지장치 선택, 유지장치 장착, 방사선 촬영, 스크루 조임하기, 스크루 홀을 재료로 막기, 지대치 형성과정 돕기, 치은압배사 삽입, 언터컷 왁스로 마무리, 최종인상 채득, 대합치 인상 채득, 교합채득, 보철물 재료선택, 도재 색상선택, 기공의뢰서 작성, 임시치아 장착, 제작된 보철물 장착, 인접치와 접촉 부위확인, 교합조정 돕기, 폴리싱, 보철물 접착, 잉여세멘 제거, 주의사항 설명하기가 중심이 된다.
      「스크루타입 보철물의 제작과 장착」항목은 인공치근 홀 주위소독, 1차 코핑 연결, 1차 인상채득, 1차 코핑 제거, 개인트레이에 접착재 도포, 치아사이 언더컷 왁스로 마무리하기가 중심이 된다. 그러나 인상용 코핑으로 인상채득을 할 경우는 2차 코핑연결 후 조임하기, 방사선 촬영, 2차 코핑연결, 최종인상 채득, 힐링 어바트먼트 연결, 교합채득 하기에 초점이 맞추어 진다. PR을 제작하여 인상채득을 할 경우는 PR제작 기공실에 의뢰, PR장착, PR연결, 교합조정, 방사선 촬영, PR에 코핑연결, 최종인상 채득, 코핑을 풀고 PR장착, 교합채득하기에 초점이 맞추어 진다. 그 다음은 대합치 인상채득, 보철물 재료선택, 도재 색상선택, 스크루타입 보철물 장착, 방사선 촬영, 교합조정 돕기, 스크루 최종 조임하기, 스크루 홀을 재료로 막기, 폴리싱, 주의사항 설명하기가 중심이 된다.
      「환자교육과 정기관리」항목은 임플란트 관리방법 설명하기, 치태관리하기, 방사선 촬영하기, 정기검진하기가 중심이 된다.
      결론적으로, 국내의 주요 치과병(의)원들의 임플란트 진료참여 항목들은 현재 보다 더욱 정교화 되어야 한다. 임플란트 진료참여 항목들의 구체적인 정교화는 임플란트시술 전의 활동과 본 시술 활동의 과정, 보철물의 제작과 장착과정, 그리고 환자교육과 관리의 과정 등에 초점을 맞추어 진료참여 항목을 정교화 하는 기초작업을 하여야 한다. 다시 말하면, 본 연구의 결과에서 제시한 최소 15영역(154항목)을 중심으로 각 항목들과 관련이 있는 구체적인 활동들이 포함될 수 있게 정교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Ⅱ. 이론적 배경 = 4
      • 1. 치과위생사 직무기술서에 명시된 업무 = 5
      • 2. 국가별 치과위생사 업무 = 7
      • 3. 임플란트 진료활동 관련 치과위생사의 업무 = 8
      • Ⅰ. 서론 = 1
      • Ⅱ. 이론적 배경 = 4
      • 1. 치과위생사 직무기술서에 명시된 업무 = 5
      • 2. 국가별 치과위생사 업무 = 7
      • 3. 임플란트 진료활동 관련 치과위생사의 업무 = 8
      • 4. 치과위생사의 임플란트 진료참여 항목 = 11
      • Ⅲ. 임플란트시술 진료참여 내용 = 13
      • 1. 진료참여 준비 = 13
      • 2. 구강검사와 진단자료 파악 = 16
      • 3. 진단모형의 제작과 분석 = 19
      • 4. 시술 전 환자상담 = 21
      • 5. 스텐트제작과 파노라마촬영 = 25
      • 6. 환자상태의 확인과 수술 전 준비 = 27
      • 7. 수술 전 마취 = 32
      • 8. 제 1차 수술 = 34
      • 9. 제 1차 수술 마무리 = 41
      • 10. 제 1차 수술기구 정리 = 44
      • 11. 제 1차 수술 후 처치 = 48
      • 12. 제 2차 수술 = 49
      • 13. 시멘트타입 보철물의 제작과 장착 = 52
      • 14. 스크루타입 보철물의 제작과 장착 = 59
      • 15. 환자교육과 정기관리 = 65
      • Ⅳ. 논의 = 68
      • Ⅴ. 요약 및 결론 = 73
      • 참고문헌 = 7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