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철수, "법학개설", 서울: 박영사, 2004
2 리창근, "로동행정사업경험", 사회과학,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89
3 임순희, "북한인권백서", 서울: 통일연구원, 2006
4 홍승운, "자립경제리론",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84
5 우리식, 윤명현, "사회주의 100문100답", 평양: 평양출판사, 2004
6 이종석, "조선노동당연구", 서울: 역사 비평사, 1995
7 이석, "북한의 경제개혁과 이행", 통일연구원, 서울: 통일연구원, 2005
8 전현준, 배진수, 허문영, 김병로, "북한체제의 내구력 평가", 통일연구원, 서울: 통일연구원, 2006
9 김상균, "북한사법제도개관", 서울: 법원행정처, 1996
10 임수호, "계획과 시장의 공존",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2008
11 김성철, "북한 관료부패 연구",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1994
12 김영윤, 조봉현, 박현선, "북한이 변하고 있다", 서울: 통일연구원, 2007
13 임순희, 조정아, 김보근, 서재진, 박영자, "『북한 주민의 일상생활』", 통일연구원, 서울: 통일연구원, 2008
14 강명도, "『평양은 망명을 꿈꾼다』", 중앙일보사, 서울: 중앙M&B, 1995
15 김상선, "주민등록사업참고서", 평양: 사회안전부출판사, 1993
16 박형중, "북한의 경제관리체계", 서울: 해남, 2002
17 박영근, "주체의 경제관리리론",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2
18 김영윤, 최수영, "북한의 경제개혁 동향", 서울: 통일연구원, 2005
19 황일도, "“‘심화조 사건’의 진상.”", 신동아. 서울: 동아일보사, 2005
20 이상근, "“북한 체제의 지속과 변화.”",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21 임순희, 조정아, 송정호, 이교덕, "김정은체제의 권력엘리트 연구", 통일연구원, 서울: 통일연구원, 2012
22 최완규, "북한 도시의 위기와 변화",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6
23 양창식, 하기하라, "역. 김정일의 숨겨진 전쟁", 서울: 알파, 2005
24 김인옥, "김정일장군 선군정치리론", 평양: 평양출판사, 2003
25 김현환, "김정일장군 정치방식연구", 평양: 평양출판사, 2002
26 김국신, 홍민, 이금순, 김수암, "북한부패와 인권의 상관성", 서울: 통일연구원, 2012
27 김봉호, "선군으로 위력떨치는 강국", 평양: 평양출판사, 2005
28 황장엽, "나는 역사의 진리를 보았다", 서울: 한울, 1999
29 정영철, "“북한의 사회 통제와 조직 생활.”", 북한연구학회, 북한의 사회. 서울: 경인문화사, 2006
30 고재홍, "북한군 최고사령관 위상 연구", 서울: 통일연구원, 2006
31 양문수, 이석, 김창욱, 김은영, 이석기, "『북한 계획경제의 변화와 시장화』", 통일연구원, 서울: 통일연구원, 2009
32 이우영, "전환기의 북한 사회 통제 체제", 서울: 통일연구원, 1999
33 윤현철, "고난의 행군을 락원의 행군으로", 평양: 평양출판사, 2002
34 리만석, "일반범죄와의 투쟁에서 지켜야할 원칙", 정치법률연구 2004년 제4호.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4
35 서재진, 제성호, 김수암, 이금순, 최의철, "북한인권백서 서울: 통일연구원", 1999, 1999
36 안희창, "“김정일시대 북한의 사회통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37 이우영, "“북한 사회통제제도의 특성과 변화.”", 김계동 외. 북한의 체제와 정책: 김정은시대의 변화와 지속. 서울: 명인문화사, 2015
38 박순성, "“북한의 경제이론과 경제체제 변화.”", 평화문제연구소, 통일문제연구. 제11권 2호, 1999
39 장용석,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40 공용철, "“북한의 노동시장 형성에 관한 연구,”", 북한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41 서옥식, "“김정일체제의 지배이데올로기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42 신현기, "“북한 경찰(인민보안성)에 관한 연구.”", 한독사회과학회, 한 독사회과학논총. 제12권 2호, 2002
43 김양호, "“사회주의사회에서 주민 수요의 특징.”", 경제연구 년 제1호.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95, 1995
44 이규창, 정광진, "북한형사재판제도 연구: 특징과 실태", 서울: 통일연구원, 2011
45 김석진, "“북한 경제의 성장과 위기: 실적과 전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46 임강택, "북한 경제의 시장화 실태에 관한 연구", 서울: 통일연구원, 2009
47 길화식, "북한 공안기관의 사회통제 기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48 김일성, "사회주의 경제의 몇 가지 리론문제에 대하여", 김일성 저작집 23권.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3
49 정성장, "현대 북한의 정치: 역사 이념 권력체계", 서울: 한울아카데미, 2011
50 김동성, "“북한 사회불평등 구조의 성격과 심화과정.”",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51 손영조, "“북한 예심제도의 역사적 형성에 관한 연구.”", 북한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52 최현옥, "“북한 주민의 남한드라마 시청에 관한 연구.”", 북한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53 곽명일, "“북한 지역시장의 형성과 발전에 관한 연구.”", 북한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54 조정아, "경제난 이후 북한 문학에 나타난 주민생활 변화", 통일연구원, 서울: 통일연구원, 2006
55 양문수, "『북한경제의 시장화: 양태 성격 메커니즘 함의』", 한울, 파주: 한울아카데미, 2010
56 신의기, "통일대비 북한범죄자 처리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9
57 민형동, "“경찰에 대한 국민의 이미지 형성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58 김병로, "북한 사회의 불평등 구조와 정치사회적 함의",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1998
59 김광식, "“사회주의 경제의 집단주의적 본질과 그 우월성.”", 경제연구 년 제1호.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5, 1996
60 이규창, "인민보안단속법 개정과 북한의 주민통제 강화", 서울: 통일연구원, 2011
61 정영태, "북한군대의 대내외 정세 인식 형성과 군대변화", 서울: 통일연구원, 2007
62 박형중, 최사현, "북한에서 국가재정의 분열과 조세 및 재정체계", 서울: 통일연구원, 2013
63 김정일, "당사업을 강화하여 우리식 사회주의를 더욱 빛내이자", 김정일 선집 12권.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7
64 양문수, "북한 경제의 구조: 경제개발과 침체의 메커니즘",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65 박형중, 윤철기, 전현준, 박영자, "북한 부패실태와 반부패 전략: 국제협력의 모색", 서울: 통일연구원, 2012
66 김진환, "“북한의 체제위기와 대응전략: 개혁과 선군의 병행.”",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67 박명규, "북한 김정은 후계체제 구축과정 엘리트 정책 안정성", 서울: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1
68 전현준, "북한의 사회 통제 기구 고찰: 인민보안성을 중심으로", 서울: 통일연구원, 2003
69 양문수, "“북한에서의 시장의 형성과 발전-생산물시장을 중심으로”", 한국비교경제학회, 비교경제연구. 제12권 2호, 2005
70 정규창, "“북한의 권력 세습 과정과 체제 유지 전략에서의 상징성.”", 서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71 오경섭, "“북한의 위기관리동학에 관한 연구: 선군정치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72 성준혁, "“북한 인민보안부에 관한 연구: 북한통제 유형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73 이승훈, 홍두승, "북한의 사회경제적 변화: 비공식 부문의 대두와 계층구조의 변화",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74 김일성, "주민들에 대한 상품공급사업을 개선하는 데서 나서는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김정일 선집 8권.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8
75 최진욱,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서울: 통일연구원, 2012
76 김일성, "일군들이 혁명성, 당성, 로동계급성, 인민성을 높여 당의 경공업 혁명방침을 관철하자", 김일성 저작집 42권.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5
77 한기범, "“북한의 정책결정과정의 조직형태와 관료정치: 경제개혁 확대 및 후퇴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78 김철웅, "“법질서를 철저히 지키는 것은 온 사회에 건전한 생활기풍을 세우기 위한 절실한 요구.”", 근로자 년 제9호.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4, 2004
79 김수란, "“사상을 기본으로 틀어쥐고 사상사업을 앞세워나가는 것은 사회주의위업의 승리의 열쇠.”", 정치법률연구 년 제3호.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9, 2009
80 박영자, "“북한 지방 국가 기관의 구조와 운영실태: 중앙권력의 이중통제 지속과 아래로부터의 변화.”", 한국정치학회, 한국정치학회보. 제39집 5호, 2005
81 김경석, "“적들의 사상문화적 침투를 철저히 막는 것은 우리식 사회주의를 고수하기 위한 중요한 요구.”", 근로자 년 제2호.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5, 2005
82 김일성, "사회주의 건설의 역사적 교훈과 우리당의 총 노선: 당 중앙위 책임일군들과 한 담화(1992년 1월 3일)", 조선로동당출판사. 친애하는 지도자 김정일동지의 문헌집.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83 김정옥, "“동, 인민반사업을 강화하는 것은 사회주의제도를 옹호고수하고 빛내여 나가기 위한 중요한 연구.”", 정치법률연구 년 제4호.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8, 2008
84 김정길, "“사회주의 원칙을 확고하게 지키면서 가장 큰 실리를 얻게 하는 것은 사회주의경제관리 완성의 기본방향.”", 경제연구 년 제1호.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3, 2003
85 김일성, "조국과 인민에게 충직한 내무 일군이 되어야 한다: 내무성중앙보안간부학교 제1기 졸업식에서 한 축사(1948년 9월 19일).", 김일성 저작집 4권.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79
86 김일성, "조선로동당은 조국해방전쟁승리의 조직자이다: 조선로동당 중앙당학교 교직원, 학생들 앞에서 한 연설(1952년 6월 18일)", 김일성 저작집 7권.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0
87 김일성, "인민정권을 더욱 강화하여 사회주의법무생활을 잘 지도할 데 대하여: 조선로동당 정치국위원회에서 한 연설(1977년 2월 28일).", 김일성 전집 61권.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