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북한 인민보안원과 주민의 관계 변화 연구 = A study on the change of relations between people's safety agents and residents in Nor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993997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북한대학원대학교, 201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북한대학원대학교 , 사회문화언론전공 , 2016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09.1111 판사항(6)

      • DDC

        301.095193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x, 234 p. : 천연색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우영
        참고문헌: p. 223-231

      • 소장기관
        • 경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nvestigates changes of a relationship between the ordinary residents and People’s security officers, who are the core mechanism for maintenance of public peace in North Korean society. To this end, the research has proceeded with dividing time period into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Economic Reform announced on July 1st, 2002, and as a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s and People’s security officers has changed for each period. The period before the Reform was segmented into two again; before 'The March of Suffering' and after it. The period after the Reform was also segmented into the time of marketizing and power transfer. In consideration of each period’s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s and the People’s Security officers, I have used three criterions; contact form, relation type, and background of changes, and the details are as follows.
      The first to be considered is the form of contact between People’s security officers and residents. The form of contact contains reasons and purposes of contact, contact method, and meeting points. Second, I categorized relationship types of the officers and residents into five; subordinate relation, compromising relation, cooperative relation, co-exist relation, and betrayal relation. Third, backgrounds were stated following the each period to explain changes of the relationship.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s Security officers and residents was subordinate relation before ‘The March of Suffering’ (1980~1995), and it changed to compromising relation in the period of ‘The March of Suffering’ (1996~2001). It was cooperative relation in marketizing time (2001~2012), and coexistence and betrayal appeared mixed in the relationship in time of power transfer (2012~2015).
      In the marketizing period when the Implementation of Economic Reform announced on July 1st, 2002 was introduced, the relationship changed to cooperative relations, and permission and control, not shown in the previous social control, appeared at the same time. Afterwards it became the power transfer period for Jeongeun Kim in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s Security officers and residents changed to compositive relation, repeating co-exist and betrayal.
      Following the study on each type of relationship between the officers and residents in each period, I have analyzed its background which brought changes on the relationship.
      First, before ‘The March of Suffering’, it was when North Korean government strengthened the projects of the Department of People’s Security, such as adopting a new ordinance to strengthen inner regimentation, so the residents had no choice but became completely subordinate to the control of People’s Security officers.
      Afterwards, an incident called ‘Shimhwajo’ broke out, when unfavorable things continuously happened, such as collapse of food distribution system and starvation of great number of people due to the economic crisis in the period of ‘The March of Suffering’. It makes social condemnation, and it caused People’s Security officers’ power for people control weakened. Furthermore, as People’s Security officers in this period placed more importance on sharing commercial information than on people control, they built compromising relations with residents.
      In the marketizing period when the Implementation of Economic Reform announced on July 1st, 2002 was introduced, welfare for People’s Security officers collapsed due to exhaustion of national budget, so the people control activity of the officers weakened even more. It has been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came cooperative when the officers’ bribery gets active to support their own living.
      Lastly, the Department of People’s Security shows intersecting phases with rise and fall in the power transfer period of Jeongeun Kim’s government 2009. There were inspection policies commanded to prevent the officers’ corruption, the officers and residents get it over with cooperation and tit-for-tat actions. Relationships between the officers and residents seem to stay as symbiotic relations until the national economic crises solved, and welfare for the officers restored. Therefore it comes to a conclusion that the national control power gets weaker because of the changes like this.
      번역하기

      This research investigates changes of a relationship between the ordinary residents and People’s security officers, who are the core mechanism for maintenance of public peace in North Korean society. To this end, the research has proceeded with divi...

      This research investigates changes of a relationship between the ordinary residents and People’s security officers, who are the core mechanism for maintenance of public peace in North Korean society. To this end, the research has proceeded with dividing time period into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Economic Reform announced on July 1st, 2002, and as a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s and People’s security officers has changed for each period. The period before the Reform was segmented into two again; before 'The March of Suffering' and after it. The period after the Reform was also segmented into the time of marketizing and power transfer. In consideration of each period’s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s and the People’s Security officers, I have used three criterions; contact form, relation type, and background of changes, and the details are as follows.
      The first to be considered is the form of contact between People’s security officers and residents. The form of contact contains reasons and purposes of contact, contact method, and meeting points. Second, I categorized relationship types of the officers and residents into five; subordinate relation, compromising relation, cooperative relation, co-exist relation, and betrayal relation. Third, backgrounds were stated following the each period to explain changes of the relationship.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s Security officers and residents was subordinate relation before ‘The March of Suffering’ (1980~1995), and it changed to compromising relation in the period of ‘The March of Suffering’ (1996~2001). It was cooperative relation in marketizing time (2001~2012), and coexistence and betrayal appeared mixed in the relationship in time of power transfer (2012~2015).
      In the marketizing period when the Implementation of Economic Reform announced on July 1st, 2002 was introduced, the relationship changed to cooperative relations, and permission and control, not shown in the previous social control, appeared at the same time. Afterwards it became the power transfer period for Jeongeun Kim in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s Security officers and residents changed to compositive relation, repeating co-exist and betrayal.
      Following the study on each type of relationship between the officers and residents in each period, I have analyzed its background which brought changes on the relationship.
      First, before ‘The March of Suffering’, it was when North Korean government strengthened the projects of the Department of People’s Security, such as adopting a new ordinance to strengthen inner regimentation, so the residents had no choice but became completely subordinate to the control of People’s Security officers.
      Afterwards, an incident called ‘Shimhwajo’ broke out, when unfavorable things continuously happened, such as collapse of food distribution system and starvation of great number of people due to the economic crisis in the period of ‘The March of Suffering’. It makes social condemnation, and it caused People’s Security officers’ power for people control weakened. Furthermore, as People’s Security officers in this period placed more importance on sharing commercial information than on people control, they built compromising relations with residents.
      In the marketizing period when the Implementation of Economic Reform announced on July 1st, 2002 was introduced, welfare for People’s Security officers collapsed due to exhaustion of national budget, so the people control activity of the officers weakened even more. It has been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came cooperative when the officers’ bribery gets active to support their own living.
      Lastly, the Department of People’s Security shows intersecting phases with rise and fall in the power transfer period of Jeongeun Kim’s government 2009. There were inspection policies commanded to prevent the officers’ corruption, the officers and residents get it over with cooperation and tit-for-tat actions. Relationships between the officers and residents seem to stay as symbiotic relations until the national economic crises solved, and welfare for the officers restored. Therefore it comes to a conclusion that the national control power gets weaker because of the changes like thi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북한 사회 치안 유지의 핵심적인 기제인 인민보안원과 일반 주민의 관계 변화 양상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2002년 7.1 경제개선조치를 기점으로 전·후시기를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각각 시기에 따라 인민보안원과 주민의 관계가 변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대상 시기는 7.1 경제개선조치 이전 시기를 ‘고난의 행군’ 이전 시기와 ‘고난의 행군’ 시기로, 7.1 경제개선조치 이후 시기를 시장화 시기와 권력 이양 시기로 세분화하였다. 시기별 인민보안원과 주민의 관계는 접촉 형태, 관계 유형, 변화 배경 등 세 가지 기준에서 고찰하였다.
      인민보안원과 주민의 접촉 형태는 접촉 이유와 목적, 그리고 접촉 방식과 만남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인민보안원과 주민의 관계 유형은 종속 관계와 타협 관계, 그리고 협력 관계, 공존 관계, 배신 관계 등 크게 다섯 가지로 나누어 보았다. 인민보안원과 주민의 관계 변화에서는 그 배경에 대해 시기별로 고찰하였다. 인민보안원과 주민의 관계는 ‘고난의 행군’ 이전 시기(1980년~1995년)에 종속 관계였다가 ‘고난의 행군’ 시기(1996년~2001년)에는 타협 관계로 바뀌었고, 시장화 시기(2001~2012)에는 협력 관계가 되었다가 권력 이양 시기(2012~2015)에는 점차 공존과 배신이 혼재된 관계의 양상이 나타났다.
      특징적인 것은 2002년 7.1 경제개선조치가 도입된 시장화 시기에는 인민보안원과 주민의 관계가 협력 관계로 바뀌었고 기존의 사회 통제에서 볼 수 없었던 허용과 통제가 함께 나타난다. 2009년 김정은 시대의 권력 이양 시기에 들어서면서 인민보안원과 주민의 관계는 공존과 배신을 반복하는 복합적인 관계로 변화된다. 인민보안원과 주민의 관계 유형을 조사한 것에 기초하여 인민보안원과 주민의 관계 변화를 가져온 배경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고난의 행군’ 이전 시기는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의 붕괴로부터 위기의식을 느낀 북한 정부가 내부 결집력을 강화하기 위해 새 법령을 채택하는 등의 인민보안부 사업을 강화하였던 시기로서 주민은 철저히 인민보안원의 통제에 종속될 수밖에 없던 시기였다. ‘고난의 행군’ 시기에는 경제난으로 식량 배급 제도의 붕괴와 아사자의 속출 등 악재가 계속되던 상황에서 ‘심화조’ 사건이 발발하면서 사회적 비난 속에 인민보안원의 주민 통제력은 점차 약화된다. 이 시기 인민보안원은 주민 통제보다는 상업 정보 공유에 더 치중하면서 주민들과 타협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2002년 7.1 경제개선조치가 도입되었던 시장화 시기에는 국가의 예산 소진으로 인민보안원의 복지도 붕괴하였고 이에 따라 인민보안원의 주민 통제 활동이 더욱 약화된다. 생계유지를 위한 인민보안원의 뇌물 비리 행위가 왕성해짐에 따라 인민보안원과 주민의 관계는 협력 관계로 바뀌었다. 2009년 김정은 정권의 권력 이양 시기에 접어들면서 인민보안부 위상이 상향·하락을 번복하는 양상이 다. 인민보안원의 부패를 막기 위한 검열정책이 하달되었으나, 인민보안원과 주민은 서로의 단합과 맞대응으로 위기를 극복한다. 국가의 경제난이 해소되고 인민보안원에 대한 복지가 복구되지 않는 한 인민보안원과 주민의 관계는 당분간 공생관계로 지속할 것이며 결국 이러한 변화는 국가의 통제력을 약화시킬 수밖에 없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북한 사회 치안 유지의 핵심적인 기제인 인민보안원과 일반 주민의 관계 변화 양상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2002년 7.1 경제개선조치를 기점으로 전·후시기를 구분하여 연구를 진...

      본 연구는 북한 사회 치안 유지의 핵심적인 기제인 인민보안원과 일반 주민의 관계 변화 양상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2002년 7.1 경제개선조치를 기점으로 전·후시기를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각각 시기에 따라 인민보안원과 주민의 관계가 변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대상 시기는 7.1 경제개선조치 이전 시기를 ‘고난의 행군’ 이전 시기와 ‘고난의 행군’ 시기로, 7.1 경제개선조치 이후 시기를 시장화 시기와 권력 이양 시기로 세분화하였다. 시기별 인민보안원과 주민의 관계는 접촉 형태, 관계 유형, 변화 배경 등 세 가지 기준에서 고찰하였다.
      인민보안원과 주민의 접촉 형태는 접촉 이유와 목적, 그리고 접촉 방식과 만남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인민보안원과 주민의 관계 유형은 종속 관계와 타협 관계, 그리고 협력 관계, 공존 관계, 배신 관계 등 크게 다섯 가지로 나누어 보았다. 인민보안원과 주민의 관계 변화에서는 그 배경에 대해 시기별로 고찰하였다. 인민보안원과 주민의 관계는 ‘고난의 행군’ 이전 시기(1980년~1995년)에 종속 관계였다가 ‘고난의 행군’ 시기(1996년~2001년)에는 타협 관계로 바뀌었고, 시장화 시기(2001~2012)에는 협력 관계가 되었다가 권력 이양 시기(2012~2015)에는 점차 공존과 배신이 혼재된 관계의 양상이 나타났다.
      특징적인 것은 2002년 7.1 경제개선조치가 도입된 시장화 시기에는 인민보안원과 주민의 관계가 협력 관계로 바뀌었고 기존의 사회 통제에서 볼 수 없었던 허용과 통제가 함께 나타난다. 2009년 김정은 시대의 권력 이양 시기에 들어서면서 인민보안원과 주민의 관계는 공존과 배신을 반복하는 복합적인 관계로 변화된다. 인민보안원과 주민의 관계 유형을 조사한 것에 기초하여 인민보안원과 주민의 관계 변화를 가져온 배경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고난의 행군’ 이전 시기는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의 붕괴로부터 위기의식을 느낀 북한 정부가 내부 결집력을 강화하기 위해 새 법령을 채택하는 등의 인민보안부 사업을 강화하였던 시기로서 주민은 철저히 인민보안원의 통제에 종속될 수밖에 없던 시기였다. ‘고난의 행군’ 시기에는 경제난으로 식량 배급 제도의 붕괴와 아사자의 속출 등 악재가 계속되던 상황에서 ‘심화조’ 사건이 발발하면서 사회적 비난 속에 인민보안원의 주민 통제력은 점차 약화된다. 이 시기 인민보안원은 주민 통제보다는 상업 정보 공유에 더 치중하면서 주민들과 타협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2002년 7.1 경제개선조치가 도입되었던 시장화 시기에는 국가의 예산 소진으로 인민보안원의 복지도 붕괴하였고 이에 따라 인민보안원의 주민 통제 활동이 더욱 약화된다. 생계유지를 위한 인민보안원의 뇌물 비리 행위가 왕성해짐에 따라 인민보안원과 주민의 관계는 협력 관계로 바뀌었다. 2009년 김정은 정권의 권력 이양 시기에 접어들면서 인민보안부 위상이 상향·하락을 번복하는 양상이 다. 인민보안원의 부패를 막기 위한 검열정책이 하달되었으나, 인민보안원과 주민은 서로의 단합과 맞대응으로 위기를 극복한다. 국가의 경제난이 해소되고 인민보안원에 대한 복지가 복구되지 않는 한 인민보안원과 주민의 관계는 당분간 공생관계로 지속할 것이며 결국 이러한 변화는 국가의 통제력을 약화시킬 수밖에 없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요약 = ⅷ
      • 제1장 서 론 = 1
      •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 목적 = 1
      • 제2절 선행 연구 검토 = 4
      • 제3절 연구의 주요 내용과 연구 방법 = 7
      • 국문 요약 = ⅷ
      • 제1장 서 론 = 1
      •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 목적 = 1
      • 제2절 선행 연구 검토 = 4
      • 제3절 연구의 주요 내용과 연구 방법 = 7
      • 1. 연구의 주요 내용 = 7
      • 2. 연구 방법 = 9
      • 제2장 북한 인민보안부의 특성 및 변화 = 15
      • 제1절 인민보안부의 특성 = 15
      • 1. 인민보안부의 변천 = 15
      • 2. 인민보안부의 역할 = 24
      • 가. 인민보안부의 사명 = 24
      • 나. 인민보안원의 임무 = 26
      • 3. 인민보안원의 주민 통제 사업 = 27
      • 가. 주민요해사업 = 27
      • 나. 주민감시사업 = 30
      • 다. 주민처벌사업 = 32
      • 제2절 인민보안부의 변화 = 39
      • 1. 인민보안부 조직 및 제도의 변화 = 39
      • 가. 참모장제도의 재도입 = 39
      • 나. 감찰역량의 대폭강화 = 41
      • 다. 작전부서와 타격대 = 44
      • 2. 인민보안부 통제 정책의 변화 = 45
      • 가. 정권이양에 따른 법률개정 = 45
      • 나. 집중감시체계의 도래 = 48
      • 다. 처벌 시스템의 완화 = 55
      • 3. 인민보안부 성분 규정의 변화 = 57
      • 가. 성분구조의 변동 = 57
      • 나. 주민성분의 다원화 = 62
      • 다. 성분의 변화와 공존 = 65
      • 제3절 소 결 = 67
      • 제3장 7.1경제개선조치 이전 시기 관계 변화 = 71
      • 제1절 ‘고난의 행군’ 이전 시기(~1995년) = 71
      • 1. 접촉의 형태 = 71
      • 가. 접촉의 이유와 목적 = 71
      • 나. 접촉방식과 공간 = 79
      • 2. 관계의 유형 = 83
      • 가. 이념에 따른 종속 관계 = 83
      • 나. 합법적 협력 관계 = 89
      • 다. 물리적 처벌과 연고자 고립 = 91
      • 3. 관계 변화의 배경 = 94
      • 가. 후계자 내정과 새 법령 채택 = 94
      • 나. 사회주의권의 붕괴로 인한 위기 = 96
      • 제2절 ‘고난의 행군’ 시기(1996년~2001년) = 98
      • 1. 접촉의 형태 = 98
      • 가. 접촉의 이유와 목적 = 98
      • 나. 접촉방식과 공간 = 107
      • 2. 관계의 유형 = 111
      • 가. 타협 관계의 형성 = 111
      • 나. 단속과 묵인 = 117
      • 3. 관계 변화의 배경 = 121
      • 가. 현대판 ‘민생단’ 사건 = 121
      • 나. 주민의 사상 이완 = 124
      • 제3절 소 결 = 126
      • 제4장 7.1경제개선조치 이후 시기 관계 변화 = 130
      • 제1절 시장화 시기(2002년~2008년) = 130
      • 1. 접촉의 형태 = 130
      • 가. 접촉의 이유와 목적 = 130
      • 나. 접촉방식과 공간 = 141
      • 2. 관계의 유형 = 150
      • 가. 협력 관계의 수립 = 150
      • 나. 허용과 통제의 결합 = 156
      • 3. 관계 변화의 배경 = 158
      • 가. 예산소진에 따른 복지의 붕괴 = 158
      • 나. 경제 환경 변화에 따른 불안정 = 160
      • 제2절 권력 이양 시기(2009년~2015년) = 163
      • 1. 접촉의 형태 = 163
      • 가. 접촉의 이유와 목적 = 163
      • 나. 접촉방식과 공간 = 183
      • 2. 관계의 유형 = 190
      • 가. 결탁을 통한 공존 관계 = 190
      • 나. 갈등의 편재성에 따른 배신 관계 = 195
      • 다. 처벌완화와 통제의 배합 = 202
      • 3. 관계 변화의 배경 = 204
      • 가. 인민보안부 내·외부의 불안정 = 204
      • 나. 검열사업에 대한 맞대응 = 207
      • 다. 자본주의 문화의 확산 = 209
      • 제3절 소 결 = 211
      • 제5장 결 론 = 215
      • 참고문헌 = 223
      • ABSTRACT = 232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철수, "󰡔법학개설󰡕", 서울: 박영사, 2004

      2 리창근, "로동행정사업경험", 사회과학,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89

      3 임순희, "󰡔북한인권백서󰡕", 서울: 통일연구원, 2006

      4 홍승운, "󰡔자립경제리론󰡕",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84

      5 우리식, 윤명현, "사회주의 100문100답󰡕", 평양: 평양출판사, 2004

      6 이종석, "󰡔조선노동당연구󰡕", 서울: 역사 비평사, 1995

      7 이석, "북한의 경제개혁과 이행", 통일연구원, 서울: 통일연구원, 2005

      8 전현준, 배진수, 허문영, 김병로, "북한체제의 내구력 평가", 통일연구원, 서울: 통일연구원, 2006

      9 김상균, "󰡔북한사법제도개관󰡕", 서울: 법원행정처, 1996

      10 임수호, "󰡔계획과 시장의 공존󰡕",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2008

      1 김철수, "󰡔법학개설󰡕", 서울: 박영사, 2004

      2 리창근, "로동행정사업경험", 사회과학,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89

      3 임순희, "󰡔북한인권백서󰡕", 서울: 통일연구원, 2006

      4 홍승운, "󰡔자립경제리론󰡕",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84

      5 우리식, 윤명현, "사회주의 100문100답󰡕", 평양: 평양출판사, 2004

      6 이종석, "󰡔조선노동당연구󰡕", 서울: 역사 비평사, 1995

      7 이석, "북한의 경제개혁과 이행", 통일연구원, 서울: 통일연구원, 2005

      8 전현준, 배진수, 허문영, 김병로, "북한체제의 내구력 평가", 통일연구원, 서울: 통일연구원, 2006

      9 김상균, "󰡔북한사법제도개관󰡕", 서울: 법원행정처, 1996

      10 임수호, "󰡔계획과 시장의 공존󰡕",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2008

      11 김성철, "󰡔북한 관료부패 연구󰡕",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1994

      12 김영윤, 조봉현, 박현선, "󰡔북한이 변하고 있다󰡕", 서울: 통일연구원, 2007

      13 임순희, 조정아, 김보근, 서재진, 박영자, "『북한 주민의 일상생활』", 통일연구원, 서울: 통일연구원, 2008

      14 강명도, "『평양은 망명을 꿈꾼다』", 중앙일보사, 서울: 중앙M&B, 1995

      15 김상선, "󰡔주민등록사업참고서󰡕", 평양: 사회안전부출판사, 1993

      16 박형중, "󰡔북한의 경제관리체계󰡕", 서울: 해남, 2002

      17 박영근, "󰡔주체의 경제관리리론󰡕",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2

      18 김영윤, 최수영, "󰡔북한의 경제개혁 동향󰡕", 서울: 통일연구원, 2005

      19 황일도, "“‘심화조 사건’의 진상.”", 󰡔신동아󰡕. 서울: 동아일보사, 2005

      20 이상근, "“북한 체제의 지속과 변화.”",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21 임순희, 조정아, 송정호, 이교덕, "김정은체제의 권력엘리트 연구", 통일연구원, 서울: 통일연구원, 2012

      22 최완규, "󰡔북한 도시의 위기와 변화󰡕",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6

      23 양창식, 하기하라, "역. 󰡔김정일의 숨겨진 전쟁󰡕", 서울: 알파, 2005

      24 김인옥, "󰡔김정일장군 선군정치리론󰡕", 평양: 평양출판사, 2003

      25 김현환, "󰡔김정일장군 정치방식연구󰡕", 평양: 평양출판사, 2002

      26 김국신, 홍민, 이금순, 김수암, "󰡔북한부패와 인권의 상관성󰡕", 서울: 통일연구원, 2012

      27 김봉호, "󰡔선군으로 위력떨치는 강국󰡕", 평양: 평양출판사, 2005

      28 황장엽, "󰡔나는 역사의 진리를 보았다󰡕", 서울: 한울, 1999

      29 정영철, "“북한의 사회 통제와 조직 생활.”", 북한연구학회, 󰡔북한의 사회󰡕. 서울: 경인문화사, 2006

      30 고재홍, "󰡔북한군 최고사령관 위상 연구󰡕", 서울: 통일연구원, 2006

      31 양문수, 이석, 김창욱, 김은영, 이석기, "『북한 계획경제의 변화와 시장화』", 통일연구원, 서울: 통일연구원, 2009

      32 이우영, "󰡔전환기의 북한 사회 통제 체제󰡕", 서울: 통일연구원, 1999

      33 윤현철, "󰡔고난의 행군을 락원의 행군으로󰡕", 평양: 평양출판사, 2002

      34 리만석, "일반범죄와의 투쟁에서 지켜야할 원칙", 󰡔정치법률연구󰡕 2004년 제4호.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4

      35 서재진, 제성호, 김수암, 이금순, 최의철, "󰡔북한인권백서 󰡕 서울: 통일연구원", 1999, 1999

      36 안희창, "“김정일시대 북한의 사회통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37 이우영, "“북한 사회통제제도의 특성과 변화.”", 김계동 외. 󰡔북한의 체제와 정책: 김정은시대의 변화와 지속󰡕. 서울: 명인문화사, 2015

      38 박순성, "“북한의 경제이론과 경제체제 변화.”", 평화문제연구소, 󰡔통일문제연구󰡕. 제11권 2호, 1999

      39 장용석,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40 공용철, "“북한의 노동시장 형성에 관한 연구,”", 북한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41 서옥식, "“김정일체제의 지배이데올로기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42 신현기, "“북한 경찰(인민보안성)에 관한 연구.”", 한독사회과학회, 󰡔한 독사회과학논총󰡕. 제12권 2호, 2002

      43 김양호, "“사회주의사회에서 주민 수요의 특징.”", 󰡔경제연구󰡕 년 제1호.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95, 1995

      44 이규창, 정광진, "󰡔북한형사재판제도 연구: 특징과 실태󰡕", 서울: 통일연구원, 2011

      45 김석진, "“북한 경제의 성장과 위기: 실적과 전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46 임강택, "󰡔북한 경제의 시장화 실태에 관한 연구󰡕", 서울: 통일연구원, 2009

      47 길화식, "북한 공안기관의 사회통제 기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48 김일성, "사회주의 경제의 몇 가지 리론문제에 대하여", 󰡔김일성 저작집 23권󰡕.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3

      49 정성장, "󰡔현대 북한의 정치: 역사 이념 권력체계󰡕", 서울: 한울아카데미, 2011

      50 김동성, "“북한 사회불평등 구조의 성격과 심화과정.”",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51 손영조, "“북한 예심제도의 역사적 형성에 관한 연구.”", 북한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52 최현옥, "“북한 주민의 남한드라마 시청에 관한 연구.”", 북한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53 곽명일, "“북한 지역시장의 형성과 발전에 관한 연구.”", 북한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54 조정아, "경제난 이후 북한 문학에 나타난 주민생활 변화", 통일연구원, 서울: 통일연구원, 2006

      55 양문수, "『북한경제의 시장화: 양태 성격 메커니즘 함의』", 한울, 파주: 한울아카데미, 2010

      56 신의기, "󰡔통일대비 북한범죄자 처리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9

      57 민형동, "“경찰에 대한 국민의 이미지 형성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58 김병로, "󰡔북한 사회의 불평등 구조와 정치사회적 함의󰡕",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1998

      59 김광식, "“사회주의 경제의 집단주의적 본질과 그 우월성.”", 󰡔경제연구󰡕 년 제1호.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5, 1996

      60 이규창, "󰡔인민보안단속법 개정과 북한의 주민통제 강화󰡕", 서울: 통일연구원, 2011

      61 정영태, "󰡔북한군대의 대내외 정세 인식 형성과 군대변화󰡕", 서울: 통일연구원, 2007

      62 박형중, 최사현, "󰡔북한에서 국가재정의 분열과 조세 및 재정체계󰡕", 서울: 통일연구원, 2013

      63 김정일, "당사업을 강화하여 우리식 사회주의를 더욱 빛내이자", 󰡔김정일 선집 12권󰡕.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7

      64 양문수, "󰡔북한 경제의 구조: 경제개발과 침체의 메커니즘󰡕",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65 박형중, 윤철기, 전현준, 박영자, "󰡔북한 부패실태와 반부패 전략: 국제협력의 모색󰡕", 서울: 통일연구원, 2012

      66 김진환, "“북한의 체제위기와 대응전략: 개혁과 선군의 병행.”",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67 박명규, "󰡔북한 김정은 후계체제 구축과정 엘리트 정책 안정성󰡕", 서울: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1

      68 전현준, "󰡔북한의 사회 통제 기구 고찰: 인민보안성을 중심으로󰡕", 서울: 통일연구원, 2003

      69 양문수, "“북한에서의 시장의 형성과 발전-생산물시장을 중심으로”", 한국비교경제학회, 󰡔비교경제연구󰡕. 제12권 2호, 2005

      70 정규창, "“북한의 권력 세습 과정과 체제 유지 전략에서의 상징성.”", 서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71 오경섭, "“북한의 위기관리동학에 관한 연구: 선군정치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72 성준혁, "“북한 인민보안부에 관한 연구: 북한통제 유형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73 이승훈, 홍두승, "󰡔북한의 사회경제적 변화: 비공식 부문의 대두와 계층구조의 변화󰡕",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74 김일성, "주민들에 대한 상품공급사업을 개선하는 데서 나서는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김정일 선집 8권󰡕.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8

      75 최진욱, "김정은 정권의 정책전망: 정권 초기의 권력구조와 리더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서울: 통일연구원, 2012

      76 김일성, "일군들이 혁명성, 당성, 로동계급성, 인민성을 높여 당의 경공업 혁명방침을 관철하자", 󰡔김일성 저작집 42권󰡕.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5

      77 한기범, "“북한의 정책결정과정의 조직형태와 관료정치: 경제개혁 확대 및 후퇴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78 김철웅, "“법질서를 철저히 지키는 것은 온 사회에 건전한 생활기풍을 세우기 위한 절실한 요구.”", 󰡔근로자󰡕 년 제9호.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4, 2004

      79 김수란, "“사상을 기본으로 틀어쥐고 사상사업을 앞세워나가는 것은 사회주의위업의 승리의 열쇠.”", 󰡔정치법률연구󰡕 년 제3호.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9, 2009

      80 박영자, "“북한 지방 국가 기관의 구조와 운영실태: 중앙권력의 이중통제 지속과 아래로부터의 변화.”", 한국정치학회, 󰡔한국정치학회보󰡕. 제39집 5호, 2005

      81 김경석, "“적들의 사상문화적 침투를 철저히 막는 것은 우리식 사회주의를 고수하기 위한 중요한 요구.”", 󰡔근로자󰡕 년 제2호.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5, 2005

      82 김일성, "사회주의 건설의 역사적 교훈과 우리당의 총 노선: 당 중앙위 책임일군들과 한 담화(1992년 1월 3일)", 조선로동당출판사. 󰡔친애하는 지도자 김정일동지의 문헌집󰡕.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83 김정옥, "“동, 인민반사업을 강화하는 것은 사회주의제도를 옹호고수하고 빛내여 나가기 위한 중요한 연구.”", 󰡔정치법률연구󰡕 년 제4호.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8, 2008

      84 김정길, "“사회주의 원칙을 확고하게 지키면서 가장 큰 실리를 얻게 하는 것은 사회주의경제관리 완성의 기본방향.”", 󰡔경제연구󰡕 년 제1호.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3, 2003

      85 김일성, "조국과 인민에게 충직한 내무 일군이 되어야 한다: 내무성중앙보안간부학교 제1기 졸업식에서 한 축사(1948년 9월 19일).", 󰡔김일성 저작집 4권󰡕.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79

      86 김일성, "조선로동당은 조국해방전쟁승리의 조직자이다: 조선로동당 중앙당학교 교직원, 학생들 앞에서 한 연설(1952년 6월 18일)", 󰡔김일성 저작집 7권󰡕.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0

      87 김일성, "인민정권을 더욱 강화하여 사회주의법무생활을 잘 지도할 데 대하여: 조선로동당 정치국위원회에서 한 연설(1977년 2월 28일).", 󰡔김일성 전집 61권󰡕.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