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산업은 성공률이 낮고 많은 비용이 드는 연구개발 활동과 신사업투자에 투자를 한다. 급변하는 시장속에서 제약·바이오 벤처기업이 신약개발을 통해 글로벌 제약·바이오 생명공학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574863
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 2017. 8
2017
한국어
서울
83 ; 26 cm
지도교수: 이재현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제약 산업은 성공률이 낮고 많은 비용이 드는 연구개발 활동과 신사업투자에 투자를 한다. 급변하는 시장속에서 제약·바이오 벤처기업이 신약개발을 통해 글로벌 제약·바이오 생명공학기...
제약 산업은 성공률이 낮고 많은 비용이 드는 연구개발 활동과 신사업투자에 투자를 한다. 급변하는 시장속에서 제약·바이오 벤처기업이 신약개발을 통해 글로벌 제약·바이오 생명공학기업으로 단시간에 성장하여 기업가치가 급증하는 경우가 발생했다. 국내 제약 산업의 지배구조는 상당수 전문경영인이 아닌 최대주주 일가의 경영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 국가와 미국, 유럽과 달리 고도의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산업일수록 지배주주에 의한 직접 경영이 이뤄지고 있다. 경영권과 연구개발 투자와의 관계가 통계적 유의성을 가진다는 점은 경영, 투자, 연구개발에 관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지배주주는 자신의 소유권이 높은 기업에게 유리한 의사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기업 지배구조는 경영에 매우 많은 영향을 미친다. 국내 제약기업의 지주회사 전환은 경영혁신에 대한 지배구조 방법 중 하나라고 본다. 국내기업들은 지배구조의 강화를 목적으로 지주회사 전환을 진행해왔으며, 국내제약 산업에서도 매출상위 기업들이 지주회사 전환을 통해 성과를 만들어냈다. 2002년 이후로 대웅제약, 녹십자, JW중외제약, 한미약품, 동아제약, 종근당, 휴온스, 일동제약 등이 지주회사로 전환했다. 지주회사 구조전환 이후, 지주사에 대한 대주주지분율이 대폭상승하여 경영권이 강화되고, 지주회사의 시가총액 상승하는 등 지주회사 전환은 성공적인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지주회사 전환 제약회사는 자금투자를 효율성 결정으로 유동적으로 진행하여 연구개발비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중장기적인 연구개발 투자를 진행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기업이라면, 이러한 요인은 기업가치 상승을 이룰 것이라 판단된다. 1997년~2016년간 지주회사 6개사 집단과 지주회사 전환 자격요건을 충족함에도 전환하지 않은 비지주회사 27개사 집단의 공시자료 사업보고서상 변수자료를 TS2000과 KISVALUE을 통해 추출하여 SPSS를 이용하여 DATA 비모수검정을 통해 지주회사 전환여부와 지주회사 전환 전 후 연구개발비 증감금액, 판매관리비(연구개발비 제외) 증감금액, 연구개발비 증감률,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율 증감 등과의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주회사 전환여부와 판매관리비 증감금액은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연구개발비 증감금액은 유의성이 나타났다. 그러나 연구개발비 증감율과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율 증가는 지주회사 전환여부와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투자활동 중 100억 이상 규모의 인수합병은 대부분 지주회사 전환회사에서 발생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국내 제약업계 지주회사 전환과 연구개발 변화에 대해 제시하였으며, 지주회사의 전환이후, 투자활동 변화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향후 전환 이후 기간 경과 및 전환기업 증가로 인한 추가 연구를 통해 지주회사 전환이라는 기업구조의 영향을 기업 및 정책 분야에서 유용할 수 있도록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