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캠퍼스타운 계획을 위한 요소와 계획과정에 관한 연구 : 단국대학교 천안 캠퍼스 주변 대학촌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ampus town planning elements and proc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36300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등교육 인구의 증가와 대학교육의 대중화로 인해 질적 · 양적으로 성장한 대학 캠퍼스는 좁은 의미의 단지계획 차원에서 도시적인 감각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대학교 주변의 대학촌(Campus Town) 역시 도시전체의 계획 수립과 그 맥락을 같이 해야한다. 그러나 현 대학촌은 대학 캠퍼스내부와 외부를 유기적으로 연결함에 있어 연계성이 부족하고 캠퍼스를 중심으로하는 대학문화의 활성화를 위한 대학촌의 기능도 자연발생적인 존립에 의존하고 있어 정책적·계획적 배려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대학교 주변의 대학촌이,
      첫째, 매개·완충공간으로서가 아닌 맹목적인 상업화에 편중되게 하고,
      둘째, 대학의 성격과 무관한 단순히 도시의 일부분으로서 무계획적인 건물군으로 메워져가게 하며,
      셋째, 건축적 배치개념을 기초로 한 체계적인 계획없이 사람-건물-도시의 유기성을 깨뜨리고 있다.
      본 연구는 위에 제시된 문제점을 해소하고 대학촌 주변의 현황을 조사·분석하여 단국대학교 천안 캠퍼스 대학촌의 본질적인 역할의 수행을 위한 Desige Criteria와 적절한 공간계획계획 과정을 제시하기 위한 작업으로
      첫째, 대학촌의 일반적인 개념고찰과 국내 대학촌의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대학의 성격에 적합한 기능을 파악하고,
      둘째, 단국대학촌 캠퍼스타운계획을 위한 주변현황조사로 체계적인 계획작업을 위한 사전자료를 제시하였다.
      셋째, 대학촌의 자립성과 자생력 유지를 위하여 대학촌의 주체인 대학인의 주(住)요구를 캠퍼스타운계획 중 시설물 계획에 반영하였으며,
      넷째, 지역사회의 발전에 기여하고 매개공간으로서의 역할 수행에 촉매로서 작용할 도시부족시설 유치로 도시와 대학 캠퍼스의 원할한 유대와 교류확대 효과를 기대하였다.
      이러한 캠퍼스타운 공간계획이 계획대상지에 적용된 계획요소와 그 기대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현황분석을 통한 주요반영요소(Design Criteria)와 기대효과로는
      ① 지역지정과 건축전 지정 : 기존의 경직된 법체계의 융통성
      ② 경사지와 호변공간 활용 : 자연환경에 대한 적극적인 보전
      ③ 대학촌의 코아(Core)역할 : 밀집된 대학문화의 구심점 역할
      ④ 대학촌의 특수성 표현 : 대학촌 독자적인 기능과 공간의 표방
      ⑤ 도심권과의 접근성 : 도시-대학촌-대학 캠퍼스 간의 유기성 확보
      또한, 건축물 계획시 반영요소(Design Criteria)로
      ① 건축물의 배치, ② 용도, ③ 규모, ④ 형태, ⑤ 색상 및 재료계획 - 지역주민과 대학인이 공존할 수 있는 쾌적한 정주공간 조성과 캠퍼스타운계획의 방향제시
      번역하기

      고등교육 인구의 증가와 대학교육의 대중화로 인해 질적 · 양적으로 성장한 대학 캠퍼스는 좁은 의미의 단지계획 차원에서 도시적인 감각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대학교 주변의 대학촌(Campus ...

      고등교육 인구의 증가와 대학교육의 대중화로 인해 질적 · 양적으로 성장한 대학 캠퍼스는 좁은 의미의 단지계획 차원에서 도시적인 감각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대학교 주변의 대학촌(Campus Town) 역시 도시전체의 계획 수립과 그 맥락을 같이 해야한다. 그러나 현 대학촌은 대학 캠퍼스내부와 외부를 유기적으로 연결함에 있어 연계성이 부족하고 캠퍼스를 중심으로하는 대학문화의 활성화를 위한 대학촌의 기능도 자연발생적인 존립에 의존하고 있어 정책적·계획적 배려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대학교 주변의 대학촌이,
      첫째, 매개·완충공간으로서가 아닌 맹목적인 상업화에 편중되게 하고,
      둘째, 대학의 성격과 무관한 단순히 도시의 일부분으로서 무계획적인 건물군으로 메워져가게 하며,
      셋째, 건축적 배치개념을 기초로 한 체계적인 계획없이 사람-건물-도시의 유기성을 깨뜨리고 있다.
      본 연구는 위에 제시된 문제점을 해소하고 대학촌 주변의 현황을 조사·분석하여 단국대학교 천안 캠퍼스 대학촌의 본질적인 역할의 수행을 위한 Desige Criteria와 적절한 공간계획계획 과정을 제시하기 위한 작업으로
      첫째, 대학촌의 일반적인 개념고찰과 국내 대학촌의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대학의 성격에 적합한 기능을 파악하고,
      둘째, 단국대학촌 캠퍼스타운계획을 위한 주변현황조사로 체계적인 계획작업을 위한 사전자료를 제시하였다.
      셋째, 대학촌의 자립성과 자생력 유지를 위하여 대학촌의 주체인 대학인의 주(住)요구를 캠퍼스타운계획 중 시설물 계획에 반영하였으며,
      넷째, 지역사회의 발전에 기여하고 매개공간으로서의 역할 수행에 촉매로서 작용할 도시부족시설 유치로 도시와 대학 캠퍼스의 원할한 유대와 교류확대 효과를 기대하였다.
      이러한 캠퍼스타운 공간계획이 계획대상지에 적용된 계획요소와 그 기대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현황분석을 통한 주요반영요소(Design Criteria)와 기대효과로는
      ① 지역지정과 건축전 지정 : 기존의 경직된 법체계의 융통성
      ② 경사지와 호변공간 활용 : 자연환경에 대한 적극적인 보전
      ③ 대학촌의 코아(Core)역할 : 밀집된 대학문화의 구심점 역할
      ④ 대학촌의 특수성 표현 : 대학촌 독자적인 기능과 공간의 표방
      ⑤ 도심권과의 접근성 : 도시-대학촌-대학 캠퍼스 간의 유기성 확보
      또한, 건축물 계획시 반영요소(Design Criteria)로
      ① 건축물의 배치, ② 용도, ③ 규모, ④ 형태, ⑤ 색상 및 재료계획 - 지역주민과 대학인이 공존할 수 있는 쾌적한 정주공간 조성과 캠퍼스타운계획의 방향제시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University Campus should be understood from a site planning to a Urban planning point of view.
      The present Campus Town is isolated from campus inside and short of organic connection, active university life.
      The present situation of our campus town is,
      1. To be the tendency of commercial zone, not buffer zone.
      2. The building extension without Campus Town plan and Urban plan.
      3. Non organic relationship with
      Human ↔ Building ↔ City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Basic and general considerations and concept of campus town character and function.
      2. Basic data by the present site survey for the Dankook University Campus Town plan.
      3. Residential needs of campus life for the independence and self survival.
      4. Profer distribution of urban facilities in the Campus Town for the active campus life.
      The design concepts and eff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District and construction line assignment : flexible legal code.
      2. Practical use of lakeside and slope : active con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3. Characteristic of Campus Town : unigue function and space.
      4. Access to the down town : organic connection Campus Town ↔ Campus.
      Design criteria to be propo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
      ① Architectural site plan
      ② Usage
      ③ Scale
      ④ Shape and Form
      ⑤ Color and Material
      번역하기

      The University Campus should be understood from a site planning to a Urban planning point of view. The present Campus Town is isolated from campus inside and short of organic connection, active university life. The present situation of our campus t...

      The University Campus should be understood from a site planning to a Urban planning point of view.
      The present Campus Town is isolated from campus inside and short of organic connection, active university life.
      The present situation of our campus town is,
      1. To be the tendency of commercial zone, not buffer zone.
      2. The building extension without Campus Town plan and Urban plan.
      3. Non organic relationship with
      Human ↔ Building ↔ City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Basic and general considerations and concept of campus town character and function.
      2. Basic data by the present site survey for the Dankook University Campus Town plan.
      3. Residential needs of campus life for the independence and self survival.
      4. Profer distribution of urban facilities in the Campus Town for the active campus life.
      The design concepts and eff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District and construction line assignment : flexible legal code.
      2. Practical use of lakeside and slope : active con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3. Characteristic of Campus Town : unigue function and space.
      4. Access to the down town : organic connection Campus Town ↔ Campus.
      Design criteria to be propo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
      ① Architectural site plan
      ② Usage
      ③ Scale
      ④ Shape and Form
      ⑤ Color and Materia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 감사의 글 = ⅲ
      • 목차 = ⅳ
      • 표목차 = ⅶ
      • 그림목차 = ⅸ
      • 국문요약 = ⅰ
      • 감사의 글 = ⅲ
      • 목차 = ⅳ
      • 표목차 = ⅶ
      • 그림목차 = ⅸ
      • 제Ⅰ장 서론 = 1
      • 1. 연구의 베경 및 목적 = 1
      • 2. 연구의 범위 = 2
      • 3. 연구의 진행방법 = 3
      • 제Ⅱ장 대학촌의 일반적 특성과 사례조사 = 5
      • 제1절 대학촌의 일반적 특성 = 5
      • 1. 대학촌의 개념정의 = 5
      • 2. 대학촌과 대학 캠퍼스 = 10
      • 3. 기존 대학촌의 문제점 및 유형분류 = 14
      • 제2절 국내 대학촌 사례조사 = 19
      • 1. 단국대학교 인근의 타대학촌 = 19
      • 2. 국내 타지방 대학촌 = 26
      • 제Ⅲ장 계획대상지 현황 및 대학인 주(住)요구 조사 = 32
      • 제1절 계획대상지 현황 = 32
      • 1. 계획대상지의 주요환경요인 = 32
      • 2. 단국대학촌의 주요환경요소 = 45
      • 3. 단국대학촌과 타지방 대학촌의 실태 비교 = 53
      • 제2절 대학생 주(住)요구와 대학촌에 대한 의식 = 57
      • 1. 대학생 의식조사의 목적 및 방법 = 57
      • 2. 단국대학교 재학생의 생활패턴 및 의식조사 = 58
      • 3. 각 도시별 시설물 비교 = 63
      • 4. 소결 = 68
      • 제Ⅳ장 캠퍼스타운 계획의 요소와 계획과정 = 70
      • 제1절 캠퍼스타운 계획 반영을 위한 주요요소 = 70
      • 1. 현황분석과 단위작업의 연계성 = 70
      • 2. 단국대학촌 주변환경에 따른 주요요소 = 76
      • 3. 시설물 유치계획 = 92
      • 제2절 캠퍼스타운 계획 = 96
      • 1. 캠퍼스타운 계획의 기본구상 = 96
      • 2. 단국대학촌의 캠퍼스타운계획 = 98
      • (1) 개요 = 98
      • (2) 기본구상안 = 100
      • (3) 축설정 (Axis) = 101
      • (4) 공간계획 = 102
      • (5) 토지이용계획 = 103
      • 1) 주거공간계획 = 103
      • 2) 상업공간계획 = 105
      • 3) 휴식공간계획 = 107
      • 4) 문화공간계획 = 109
      • (6) 조경계획 = 111
      • (7) 동선·교통계획 = 113
      • 3. 소결 = 115
      • 제Ⅴ장 결론 = 118
      • ■■참고문헌■■■ = 120
      • 부록 = 122
      • ABSTRACT = 13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