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피부과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비침습 피부 측정 기기인 Corneometer, Tewameter, Mexameter와 안면 분석 시스템 JANUS 각각의 측정 간 일치도를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746107
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의료기기산업학과 , 2018. 2
2018
한국어
서울
42 ; 26 cm
지도교수: 이종희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피부과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비침습 피부 측정 기기인 Corneometer, Tewameter, Mexameter와 안면 분석 시스템 JANUS 각각의 측정 간 일치도를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알...
목적 : 피부과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비침습 피부 측정 기기인 Corneometer, Tewameter, Mexameter와 안면 분석 시스템 JANUS 각각의 측정 간 일치도를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알아보고 기기 간의 상호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임상적 유효성 검증 및 적용 시 고려사항을 파악하고자 했다.
방법 : 연구 대상자는 총 29명으로 특별한 피부 질병이 없는 20 ~ 30대의 성인 남녀로 삼성서울병원 피부과 검사실에서 실시되었고 총 2번의 방문으로 측정이 이루어졌으며 이 때 1주간의 연구 기간 동안 대상자들은 피부 상태에 변화를 줄 수 있는 레이저 치료 및 화장품등 도포 방법 변화 등이 제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Tewameter TM 210Ⓡ (Courage and Kazaka, Germany)으로 경피 수분 손실량과 Mexameter MX18으로 색소 및 홍반 지수, CorneometerⓇ(Courage and khazaka, Germany)를 이용해 피부 수분 함유량을 측정했으며 종합 안면 분석 시스템 JANUS(PIE, Korea)로 3가지 광원(일반 광, 교차 편광, 자외선 광)을 이용해 주름, 색소 침착, 피부톤을 종합적으로 측정한 뒤 통계적으로 분석했다.
결과 : Visit 1과 Visit 2의 측정 간 일치도는 비침습 피부 측정기기의 경우 대체적으로 높지 않고 중간 정도인 반면에 안면분석기 Janus는 주름, 색소침착, 피부톤 3가지 요인에서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측정 간의 일치도가 매우 높았다. 안면분석기의 주름은 예상 결과와 다르게 Mexameter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색소침착은 Mexameter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는데, 이 때 개인이 가지고 있는 피부톤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델타 값에서 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안면분석기의 피부톤은 Mexameter, Tewameter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 반복 측정 시 일치도를 본 결과에서 Janus와 같은 종합 안면 분석 시스템들이 피부 관련 연구 시에 비침습 측정기기의 gold standard로써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orneometer, Mexameter, Tewameter 등의 비침습 피부 측정기기의 측정 간 일치도가 대체적으로 높지 않고 중간 정도밖에 보이지 않은 이유에는 첫 번째로 환경에 따른 개인의 피부 상태 변화 등의 변수 요인, 두 번째로 비침습 피부 측정기기에 영향을 미치는 측정자의 측정 자세, 마지막으로 Tewameter의 경우 그 측정값이 매우 민감하게 변화해 단독으로 쓰여 데이터의 신뢰성을 주기 어렵다는 선행 연구와 비슷한 결과로 생각된다. 안면분석기의 주름지수와 Mexameter측정치가 관련 있게 나온 결과는 보통 햇빛 등에 의해서 피부톤도 진해지면 결과적으로 피부 노화의 진행 가능성이 높아 주름 또한 많을 가능성이 있는 임상적인 결과와 비슷하게 나온 것이라고 보인다. 안면분석기로 측정된 색소침착은 Mexameter와 거의 일치했으므로 색소 질환 연구에서는 Mexameter만 사용해도 신뢰할만한 값을 얻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 때 색소침착은 환경적 요인을 고려해 개인의 원래 피부톤과 비교한 Mexameter 델타 값과의 상관관계가 더 높았으므로 피부톤을 보정해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피부관련 임상 및 연구에서 비침습 피부 측정기기를 사용할 때는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려면, 각 기기의 제한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상관관계가 있는 안면분석기의 분석 요인과 연관지어서 상호보완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Mexameter 측정 결과는 원래 피부톤을 보정하여 델타값을 이용할 때에 보다 정확한 피부상태를 보이므로, 색소 질환 연구에서 비침습적 피부 측정 기기를 이용할 때 이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