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초기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6학년들을 대상으로 우정관계 질투정서와 관계적 공격성간의 관계에서 외부귀인과 내부귀인,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046543
서울 :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2016
학위논문(석사) --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 아동청소년전공 , 2016. 2
2016
한국어
서울
71p ; 26 cm
지도교수: 김도연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초기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6학년들을 대상으로 우정관계 질투정서와 관계적 공격성간의 관계에서 외부귀인과 내부귀인,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이...
본 연구에서는 초기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6학년들을 대상으로 우정관계 질투정서와 관계적 공격성간의 관계에서 외부귀인과 내부귀인,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이를 통해 초기 청소년기의 아동, 청소년들의 왕따나 집단따돌림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또래관계를 개선하여 정서적 안정감을 높이기 위한 치료적, 교육적 개입 방안의 모색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