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뛰어난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변인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크게 3개의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연구 1과 2에서는 전문성(expertise)관련 연구 분야에서 개인의 성취를 예측하는 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768279
서울 :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2015
한국어
투지 ;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 ; 자존감의 수반성 ; 학업성취 ; 전문성 ; 자존감 ; 자기 불일치 ; 진로준비행동 ; 진로-전공 관련성 ; grit ; deliberate practice ; contingencies of self-worth ; academic archievement ; expertise ; superiority ; study habits ; self-esteem ; self-discrepancy
서울
Effects of grit, deliberate practice and contingencies of self-worth on academic achievement
ix, 152 p. : 삽화 ; 26 cm
지도교수: 손영우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뛰어난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변인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크게 3개의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연구 1과 2에서는 전문성(expertise)관련 연구 분야에서 개인의 성취를 예측하는 중...
본 연구에서는 뛰어난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변인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크게 3개의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연구 1과 2에서는 전문성(expertise)관련 연구 분야에서 개인의 성취를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밝혀진 투지(Grit: 장기적인 목표달성을 위한 열정과 인내)와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Deliberate practice)이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개인이 가지고 있는 자기 개념이 성적 및 개인의 정서적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자존감의 수반성(contingencies of self-worth)도 중요한 변수로 다루었다.
연구 1에서는 연구변인 이외의 학업관련 변인(이전의 학업경험, 학업기술 등)이 영향을 덜 미치도록 비교적 동질한 집단인 외국어고등학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N = 99명).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개인의 꾸준한 노력과 인내는 지능과 성격특성(Big 5)의 영향력을 통제했을 때도 유의하게 학업성적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투지가 높을수록 학업성적이 좋으며, 이 관계를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자존감의 수반성을 중심으로 개인의 성취 수준과 자기 불일치 등이 자존감 및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수반성과 학업성적의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발견되었으며, 자기 불일치 수준과 자존감의 관계에서 투지가 완충작용을 한다는 것도 밝혀졌다. 학업과 관련된 수반성이 높을 때는 좋은 성적을 받는 것이 자존감 및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지만 수반성이 낮을 때는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존감의 수반성 이론 및 자기 불일치 이론을 경험적으로 지지하는 것이며, 자기 불일치를 경험하더라도 투지가 있다면 자존감을 유지, 보호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연구 3에서는 연구 대상과 측정 방법의 특수성이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고려하여 연구 대상을 대학생으로 확장하였다(N = 253명). 그 결과, 투지와 학업성취를 신중하게 계획된 학습(신중하게 계획된 연습의 특성을 반영한 학습)이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혼자 집중해서 공부한 시간은 조절효과를 보였다. 또한,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통해 투지가 숙달목표,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으로 이어지고 이것이 뛰어난 학업성취를 이끄는 연구모형이 채택되었다. 마지막으로 투지가 대학생 집단에 적합한 성취변인인 진로준비성과 전공-진로 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을 때, 투지의 유의한 영향력을 검증할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뛰어난 성취를 얻기 위해서는 타고난 재능뿐만 아니라 후천적인 노력이 중요하다는 전문성 연구 결과를 지지하며, 지나치게 개인의 타고난 능력과 배움(學)만을 강조하는 한국 교육의 현실에 꾸준한 노력과 스스로의 익힘(習)이 중요함을 보여주는 증거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투지,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 자존감의 수반성 등 아직 국내에 널리 소개되지 않은 개념들의 특성을 면밀히 밝힘으로써 이론적 기반의 확장과 국내 연구 촉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1 Gladwell, Malcolm, "아웃라이어", 김영사, 김영사, 2009
2 황농문, "공부하는 힘", 서울: 위즈덤하우스, 2013
3 아부 승, "기적의 아키타 공부법", 김영사, 김영사, 2009
4 손영우, "전문가, 그들만의 법칙", 서울: 샘터사, 2005
5 조긍호, "이상적 인간형론의 동서비교", 지식산업사, 서울: 지식산업사, 2006
6 김아영, 탁하얀, 이채희, "성인용 학습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 연구, 24, 39-59, 2010
7 장성숙, "가족주의와 현실역동상담의 일체적 관점",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 대회 논문집, 2007
8 이경님, "아동의 자기통제와 관련변인간의 인과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9. 46-48, 2001
9 대니얼 코일, 윤미나 역, "탤런트코드: 재능을 지배하는 세 가지 법칙", 웅진지 식하우스, 2009
10 차경호, 김명소, 한영석, 홍기원, "한국 성인의 자존감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5, 105-139, 2006
1 Gladwell, Malcolm, "아웃라이어", 김영사, 김영사, 2009
2 황농문, "공부하는 힘", 서울: 위즈덤하우스, 2013
3 아부 승, "기적의 아키타 공부법", 김영사, 김영사, 2009
4 손영우, "전문가, 그들만의 법칙", 서울: 샘터사, 2005
5 조긍호, "이상적 인간형론의 동서비교", 지식산업사, 서울: 지식산업사, 2006
6 김아영, 탁하얀, 이채희, "성인용 학습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 연구, 24, 39-59, 2010
7 장성숙, "가족주의와 현실역동상담의 일체적 관점",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 대회 논문집, 2007
8 이경님, "아동의 자기통제와 관련변인간의 인과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9. 46-48, 2001
9 대니얼 코일, 윤미나 역, "탤런트코드: 재능을 지배하는 세 가지 법칙", 웅진지 식하우스, 2009
10 차경호, 김명소, 한영석, 홍기원, "한국 성인의 자존감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5, 105-139, 2006
11 손승아(Son Seung-Ah), 김승경(Kim Seung-Kyoung), 안경숙(Ahn Kyung-Sook),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과 심리환경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연구, 17, 127-148, 2006
12 홍세희, "특별기고,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 161-177, 2000
13 조기여, "외모관심도, 신체만족도, 자아존중감에 따른 미용성형행동 연구",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7
14 이명숙,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장애지각준비행동 간의 관계 분석", 전주대학교 국제상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15 김봉환,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7
16 조원숙, "대학생의 전공-흥미 일치도에 따른 전공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17 김은영, 임신일, "연구논문: 남자고등학생의 휴대폰 중독과 학습몰입, 학업성취와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20, 315-337, 2013
18 김주환, "그릿-잠재력을 실력으로, 실력을 성적으로, 결과로 증명하는 공부 법, GRIT", 쌤앤파커스, 2013
19 이수란, 이동귀, "자존감의 영역별 수반성과 자기 평가 간 불일치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韓國心理學會 相談心理 및 心理治療學會,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 313-335, 2008
20 이영호, 최정원, "실제자기 수준, 이상적 자기 수준 및 자기불일치 수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7, 69-87, 1998
21 조성현, 허승희, "시간관리기술 훈련이 아동의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학연구, 21, 117-131, 2008
22 이병직, 안관영, "집단주의와 성취욕구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효과 및 성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경영학연구, 31, 1311-1334, 2002
23 안도희, 정재우, "음악재능 청소년의 계획적 연습에 영향을 미치는요인: 열정과 성취 목적을 중심으로", 韓國英才學會, 영재교육연구, 20, 947-966, 2010
24 이혜련, "성격 5요인 모형(Big Five)이 사립유치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5 이선형, "여자청소년의 신체상, 자존감 및 체중에 대한 외부압력이 이상섭 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401-402, 2006
26 김영숙, 황민영, 방희정, "일반논문: 고등학생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및 우울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3, 239-261, 2014
27 이지원, 이기학,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진로의사결정문제와의 관계: 정 서적 어려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1, 55-87, 2014
28 손미경, "혼합형 자기교시 훈련 프로그램이 주의집중력이 낮은 중학생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9 오경자, 정승아, "자기불일치가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 자의식의 매개효과와 자기제시동기의 중재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 887-901, 2005
30 송정화, 박병기, "변화신념, 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 및 주관적 안 녕의 인과구조 탐색: Dweck 모형의 확장", 교육심리연구, 22, 333-350, 2008